검색

이라영의 정치적인 식탁

  • 최신 순
  • 인기도 순
  • 에필로그 : 할머니들을 위하여

    장례식인지 만찬 회동인지 알 수 없는 그 개미떼의 행렬을 보며 생각했다. 어차피 먹는다는 건 매번 장례식이구나. 내 식탁은 늘 다른 누군가에게는 장례식인 셈이다. 내 삶은 누군가의 죽음을 흡수하며 지탱한다. (2018. 06. 26)

    할머니 장례식 죽음 등록일: 2018.06.26

  • 퍼스트 키친

    정치인이 남성에 고정되어 있고 이 남성의 아내들은 남편을 위해 안팎에서 밥을 푼다. 유권자들은 (남성) 정치인의 (여성) 배우자들이 모여 자원봉사 하는 모습을 훈훈하게 바라본다. 이는 모두 ‘일하는 남자’와 ‘남자를 보조하는 여자’를 자연스럽게 보기 때문이다. (2018. 06. 14)

    해외교민 간장게장 자원봉사 퍼스트 키친 등록일: 2018.06.14

  • 웨딩 케이크에 대한 신념

    이처럼 어떤 차별은 관습으로 뿌리내려 산업이 되어 다양한 형태로 우리 일상에 스며든다. 나아가 어떤 차별은 종교적 신념이나 표현의 자유로 둔갑하기 쉽다. (2018. 05. 29)

    웨딩 케이크 표현 차별 결혼 등록일: 2018.05.29

  • 여자들이 좋아하는 맛

    여성들이 좋아하는 식당 ‘분위기’는 허영이 둥둥 떠다니는 장소처럼 그려진다. 반면 시끌벅적하고 투박하고 토속적이며 편한 분위기에서 얼큰하고 뜨거운 뭔가를 땀을 흘리며 먹으면 ‘진짜 맛’이라는 묘한 관념이 있다. (2018. 05. 15)

    여성화 취향 분위기 관계 등록일: 2018.05.15

  • 선술집의 민주주의

    모두 손에 맥주 잔을 들고 흰 셔츠를 입은 그들의 단체사진을 바라보며 ‘경제’의 얼굴에 대해 생각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사람들은 대통령, 비서실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러 기업인들이었다. (2018. 05. 02)

    민주주의 경제 시티 태번 권력 등록일: 2018.05.02

  • 반야의 씹는 소리

    늙으면 맛도 잃어버리는 줄 그때는 모르고 할머니가 요즘 왜 이리 정신 없는 행동을 자주 할까, 조금 짜증스러워 했다. 해주는 밥 얻어먹는 주제에. 때로 젊음은 이렇게 무지에 기반하여 늙음을 향해 상처를 준다. (2018. 04. 18)

    반야 늙은 개 반려인 외모 차별 등록일: 2018.04.18

  •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되어 있듯이

    낯 모르는 사람부터 가까운 사람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어려운 순간을 지나왔다. 그때 내가 깨달은 것이 있다면, 남에게 신세지는 것에 대해 너무 결벽증적으로 어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었다. 거리를 두면서도 때로 우리는 침투할 수밖에 없는 관계를 맺고 산다. (2018. 04. 03)

    소화기 플라스틱 호스 사회구성원 관계 등록일: 2018.04.03

  • 펜스 룰 : 여성을 배척하라

    접대부나 엄마로 여기지 않고 여성과 관계 맺는 법을 모르는 심각한 상태에 이른 남성들은 가장 쉬운 방법인 배제를 택한다. 여자를 유혹하지도 여자에게 유혹받지도 못한다. (2018. 03. 20)

    펜스룰 약자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성폭력 등록일: 2018.03.20

  • 할머니의 미역 줄거리

    얼마 전 할머니 기일이라 엄마에게 물어봤더니 할머니는 사과와 명태를 좋아했다고 한다. 가자미 식해를 맛있게 만들던 할머니는 정작 흰살 생선을 쪄서 먹기를 좋아했다. 사랑이 뭔지도 모르면서 사랑 타령 할 때가 많다. (2018. 03. 09)

    돌봄 노동 할머니 보이지 않는 가슴 등록일: 2018.03.09

  • 여자가 잘 들어와야 해

    ‘집안의 어른’은 단지 나이가 많다고 어른이 되지 않는다. 여성은 어른이 아니다. 특히 결혼 안 한 여자는 어른 취급을 못 받는다. 가장 어른으로 대접받는 여성은 바로 ‘아들의 엄마’다. ‘시어머니 되기’는 그렇게 발생한다. (2018. 02. 20)

    명절 증후군 결혼생활 집안의 어른 여성 등록일: 2018.02.20

이전 1234다음

오늘의 책

지나간 시절을 쓰며, 마침내 맞이한 계절

2023년 신동엽문학상 수상작가 이주혜의 장편소설. 한 사건으로 인해 혼자가 된 주인공. 정신과 상담 끝에 누구에게도 하지 못한 말을 일기쓰기 수업을 들으며 쓰게 된다. 글쓰기로 고통스러운 현실을 되돌아보면서 진정으로 이별을 고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100명의 산타가 만드는 100배 즐거운 크리스마스!

일 년 내내 크리스마스 준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산타마을! 산타 마을에 사는 100명의 산타들은 저마다 중요한 역할을 맡아서 크리스마스를 준비해요. 산타들이 어떻게 크리스마스를 준비하고, 크리스마스가 끝난 후 무엇을 하는지 궁금하다면 다 같이 산타 마을로 놀러 가 볼까요?

육아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불량육아』 김선미 작가 4년 만의 신작. 이번엔 20년 책육아와 함께 저자 개인적 성장을 이뤄낸 경험을 말한다. 알싸한 말투로 그간의 동반 성장 기록을 솔직히 담아낸 책은 '육아 내공'이 곧 '인생 내공'이었음을 전하며 성공의 법칙 100가지를 안내한다.

언더독의 성공 공식

'뉴스에서 춤추는 아나운서'로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채널에서 종횡무진 활약 중인 정영한 아나운서의 이야기다. 열악한 환경을 받아들이고 뛰어넘어 1600 대 1의 경쟁력을 제치고 MBC 아나운서가 되기까지 펼친 자신만의 전략과 성공 공식을 들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