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장정일의 독서일기

  • 최신 순
  • 인기도 순
  • 김상봉의 『도덕교육의 파시즘』을 읽다

    모두 아는 사실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과 중엔 ‘철학’이 없다. ‘국민윤리’가 철학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아무런 반성 없이 사용하고 있어서 그렇지, 국민윤리란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는 철학의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생경한 용어이다

    김상봉 도덕교육 장정일 등록일: 2007.10.24

  • 이덕일의 『누가 왕을 죽였나』를 읽다

    『누가 왕을 죽였는가』(푸른역사, 1998)라는 제목으로 초간되었다가 최근 제목을 바꾸어 재간된 이덕일의 『조선 왕 독살사건』(다산초당, 2005)은, 27명의 임금 가운데 독살설에 휘말린 8건의 사례를 연구한다.

    이덕일 누가 왕을 죽였나 등록일: 2007.10.17

  • 존 B. 베리의 『사상의 자유의 역사』를 읽다

    진도는 나가지 않은 채 죽어라 복습만 시키는 한국 사회가 바로 짜증의 정체이다.

    존베리 사상의자유의역사 장정일 등록일: 2007.10.10

  • 장하준의 『사다리 걷어차기』를 읽다

    자본주의의 정사正史는 이렇게 말한다. 그 하나, 영국과 미국은 자유방임주의 정책과 자유무역을 앞서 행했기 때문에 최초의 산업국가로 성공할 수 있었고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반면, 국가 주도의 개입주의 정책을 고수했던 나라들은 산업화에 뒤졌다.

    장하준 사다리 걷어차기 등록일: 2007.10.02

  • 박성래의 『레오 스트라우스: 부활하는 네오콘의 대부』를 읽다

    박성래의 『레오 스트라우스』를 읽는 중에, 유럽에서 태어난 사탄의 아들 데미안이 미국 대통령의 양자로 입양되는 설정으로 발전되었던 걸작 오컬트 무비 <오멘(The Oman)> 시리즈가 저절로 떠올랐다.

    박성래 레오스트라우스 등록일: 2007.09.19

  • 존 키건의 『전쟁과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읽다

    이치석의 『전쟁과 학교』를 읽는 도중에 서점에서 존 키건의 『전쟁과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발견했다. 두서없이 책갈피를 넘겨 가며 읽다가 프랑스혁명 이후 “의무교육이 도입되면서 신병으로 충원될 자원[학생]들은 규율과 징계에 익숙해졌고, 군사훈련에 적합하도록 훈육되었다”라는 구절을 보고 책을 샀다

    존키건 전쟁과 우리가 사는 세상 등록일: 2007.09.12

  • 리영희의 『대화』를 읽다

    두 사람의 대담집이라고는 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대담 형식으로 푼 리영희의 자서전이다. 이 책을 읽으며 크게 깨우친 것이 있다면, 지성인의 자주성과 세계성에 관한 것이다. 리영희 선생의 모든 글이나 사고의 기본 전제는 ‘한국에 관한 글을 쓰면서 세계 (문제)를 아울러 생각하고, 세계 (문제)에 관한 글을 쓰면서 동시에 한국을 생각한다’는 점이다.

    리영희 대화 등록일: 2007.09.05

  • 정두희의 『조광조』를 읽다

    조선 중기에 속하는 중종 시절, 34세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왔던 조광조는 훈구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1519)로 목숨을 잃었다. 그는 죽고 난 뒤 유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순교자’로 조선왕조의 유교 문화를 발전시킨 ‘초석’으로 추앙받지만 당대의 평가는 상반되었다. 이이는 ‘학문이 채 대성하기도 전에 갑작스레 요로에 올라, ..

    정두희 조광조 등록일: 2007.08.29

  • 조영래의 『전태일 평전』을 읽다

    이 책의 초판이 나왔던 해는 1983년이다. 나는 1980년대 말에 이 책을 처음 읽었다. 그때 내게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은, 전태일이 평화시장 재단사들을 규합해서 만들었던 모임의 이름이었다. 전태일은 근로기준법에 여덟 시간만 노동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을 몰랐으니 바보가 아니었느냐”면서 모임을 ‘바보회’로 정한다. 지혜로워지기 위해..

    조영래 전태일 평전 등록일: 2007.08.22

  • 유용주의 『마린을 찾아서』를 읽다

    이 책이 ‘노동일기’라는 제목을 달고 <한겨레신문>에 연재될 때부터, 나는 유용주의 독자였다. 자전소설이기도 한 이 책의 작가는 초등학교(국민학교)를 졸업한 직후, 부모·가족과 헤어져 온갖 노동 현장을 전전한다. 작가는 어린 나이에 감당할 수 없는 과중한 노동을 하면서도 노동을 증오하기보다는, 삶의 한 부분으로 감싸 안는다. 한 소년의 성장을 노동의 시각으..

    유용주 마린을 찾아서 등록일: 2007.08.16

이전 1다음

오늘의 책

부와 성공을 부르는 아침 습관의 힘

힘들었던 과거를 극복하고 글로벌 사업가로 성공하는 데 가장 큰 원동력이 된 켈리 최 회장의 아침 루틴을 소개한다.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전작 『웰씽킹』에 이어 생각을 행동으로 바꾸는 실천법을 알려준다. 100일, 하루 20분 모닝 루틴으로 원하는 삶에 다가가 보자.

평생 건강 솔루션

『당신도 느리게 나이 들 수 있습니다』 정희원 작가가 두 번째로 출간한 감속 노화 실천법. 지금 생활 습관이 20년 후 내 모습을 결정한다면? 생애 주기에 따라 생활 요소를 조절해 노화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오늘부터 당장 따라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실천법을 소개한다.

공중그네 닥터 이라부의 17년 만의 귀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친 우리에게 기발한 진단으로 웃음을 되찾아줄 닥터 이라부가 돌아왔다. 오쿠다 히데오의 업그레이드된 유머러스함으로 이라부와 마유미 콤비가 더욱 강력해졌다. 환자들에게 기발한 처방법을 내리면서 다시금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마법 같은 소설.

우리는 대체 왜 그 '행동'을 할까?

"왜 인간은 서로에게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굴고, 때로는 더할 나위 없이 너그러워지는가?" 우리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 그 양면성에 대한 역작. 집필에만 10년 이상 걸린 이 책은 인간 본성을 다양한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종합해 살펴본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