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흑. 흑. 너무 하잖아요 <혹성탈출>

제작진에게 간절히 바라는 한 가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하지만, 이보다 더 놀라운 것은 바로 영화 속에 담긴 메시지였는데, 실로 충격적이었다. 어느 정도로 충격적이었느냐면, 15년 전에 영화 <캐스트 어웨이>를 봤을 때만큼 충격적이었다.

나는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를 싫어하는데, 어쩌다가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을 됐다. 이유인 즉슨 영화에 관해서라면 신뢰하는 한 지인이 “아! 나도 블록버스터를 끔찍이 싫어한다니까. 그치만 혹성 탈출은 달라. 마치 몸에 좋은 패스트푸드 같다니까”라며 알 수 없는 말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디 그럼, 나도 한 번…’ 하며 확인하는 심정으로 보았다.

 

여기서 하나 더 고백하자면, 나는 좀 고약하다 싶을 정도로 편견을 바꾸지 않는 유형의 인간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까짓것, 블록버스터가 다 거기서 거기지’ 하며 팔짱을 굳건히 낀 채 극장의자에 몸을 파묻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자 점차 ‘어. 어.  왜 이러지’ 하다 그만 잔뜩 몰입하여 봐버렸다. 마치 만화 영화에 영혼을 뺏긴 아이처럼 나도 모르게 집중해 봐버렸다. 전투 신에 자본을 진탕 쏟아 부어 특수효과로만 치장했을 줄 알았는데, 영화가 시작되고 한참 지날 때까지 전쟁은커녕, 유인원과 인간 간의 심리적 교감만을 다루며 서사가 진행됐다. 나는 결국 ‘으음. 블록버스터에서도 이런 걸 하는군’하며 생각을 고쳐먹었다. 물론, 대사의 수준은 조악했지만, 블록버스터에도 스토리가 생겼다는 게 꽤나 감격할 일이었다.

 

하지만, 이보다 더 놀라운 것은 바로 영화 속에 담긴 메시지였는데, 실로 충격적이었다. 어느 정도로 충격적이었느냐면, 15년 전에 영화 <캐스트 어웨이>를 봤을 때만큼 충격적이었다.  <캐스트 어웨이>에서 톰 행크스는 4년간의 고독하고 혹독한 표류 생활을 마친 뒤, 마침내 극적으로 고향으로 돌아간다. 공기와도 같았던 문명과 가족마저 낯설어진 톰 행크스는 고향에 도착한 뒤, 묵묵히 하나의 일을 수행한다. 그것은 바로 자신의 표류로 인해 미처 완수하지 못했던 택배배달. 그러고 보면, 무인도에서 그가 외로운 생활을 버틸 수 있었던 것도, 생존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고객이 탁송한 배구공(즉, ‘윌슨’)과 통조림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주문이 있었기에 생존이 가능했던 것’이다.

 

영화를 보고 나서 든 생각은 심플했다. 톰 행크스를 살린 것도 ‘페덱스’였고, 톰 행크스가 살아나서 행한 임무도 ‘페덱스’의 배달이었다. 이 영화는 143분에 걸쳐, ‘무인도에서도 페덱스와 함께라면 살아날 수 있으며, 페덱스는 무인도에서도 살아남는 정신으로 임무를 완수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었다. 이 때문에 나는 실로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이다. ‘돈을 내고 143분 짜리 광고를 봤다니!’

 

혹성탈출2.jpg

영화 <혹성탈출> 스틸컷 (영어 잘하는 주인공 유인원 시저)

 

다시 <혹성 탈출>로 돌아오자. 전편의 부제가 ‘진화의 시작’인 탓인지, 이제 영화 속 광고는 ‘진화’하여 두 편을 담고 있다. 우선, 첫째는 ‘전력 공사’의 PR. 


영화 속 인간들은 유인원들의 생활을 존중하고, 그들의 삶을 침범하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그간 지켜왔던 존중의 경계를 넘어야만 하는 일이 발생하니, 그것은 바로 ‘전력 난’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인간들은 전기를 아예 쓸 수 없게 됐다. 그리고 유인원들의 본거지에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수력 발전소’가 있다. 유인원들의 생존 공간에 침입한다는 것은 전쟁을 예고하는 위험한 일이지만, 인간들은 전기가 없으니 스마트 폰을 쓰지 못한다. 인터넷도 못 쓴다. 아이팟으로 음악도 못 듣는다. 게다가, 냉장고에 시원한 콜라가 없다. 당연한 말이지만, 얼음도 없다. 예고된 전쟁을 불사하면서까지, 가동이 중단된 수력발전소를 향해 전진하는 인간의 모습은 이제 전기는 우리에게 산소와 같다고 설득하는 것 같다. <캐스트 어웨이>는 2시간 이상의 ‘페덱스 광고’였고, <혹성탈출>은 전력공사의 홍보영화였다. 거, 참.

 

하나 이것도 약과일 뿐. 실로 놀라운 주제는 다른 데에 있었다. 그것은 바로 ‘원숭이도 몇 년만 투자하면 영어를 한다!’는 것. ‘아니, 어째서 유인원이 영어를 한 단 말이야?!’라는 나의 의문에 영화는 답이라도 하듯, 주인공 유인원인 ‘시저’가 한 학자로부터 영어를 배우는 장면을 보여줬다. 학자는 침팬지에게 사과를 보여주며 앵글로 색슨 족 특유의 매끈한 발음으로 ‘애~쁠’이라고 하고, 이를 유심히 지켜보던 원숭이 시저는 ‘우우우~’ 옹알이를 하다가, 급기야 나보다 매끄럽고 유창하게 ‘애플’을 발음한다. 그때의 무력감과 충격이란. 게다가 더 깊은 좌절에 빠졌던 것은 종종 나도 못 알아듣는 ‘제이슨 클락(인간 주인공. 아, 이 무슨 이질적인 표현이란 말인가)’의 발음을 시저는 다 알아 들었다는 것이다. 더 충격인 것은, ‘시저’ 뿐만 아니라, 다른 유인원들도 시저와 영어로 대화한다. 

 

영화가 시작하고 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에이. 그래도 시저만 영어를 하겠지’ 싶었는데, 굉장히 다혈질인 데다가 무식하기까지 한 유인원마저도 태연하게 영어로 대화하는 장면에서 나는 그만 울고 싶어졌다.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영어를 배워온 지, 어언 25년. 나는 시저보다 못한 인간이었던 것이다. 이 영화의 메시지는 너무나 간명하다.  ‘영어를 배우세요! 유인원도 애플부터 시작한답니다. 애쁠~!’ 


이 보다 더 도발적인 영어 학습 홍보 영화가 있을까 싶다.  

그나저나, 절망에 빠진 내가 제작진에게 간곡히 바라는 것이 한 가지 있다.  

영화에서 시저는 과연 몇 년간 영어를 공부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부디 시저가 나보다는 영어 공부를 오래 했길 바란다.

 

*
애쁠~ 애쁠~ 애~쁠

 

[추천 기사]

-강동원 “<군도>, 부끄럽지 않은 작품 될 것”
- 하정우 “<군도> 강동원, 다시 봤다”
- 하정우 강동원 주연 <군도:민란의 시대> 2014년 여름 개봉
- 하정우 강동원 주연 <군도:민란의 시대> 포스터 2종 공개!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4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최민석(소설가)

단편소설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로 제10회 창비신인소설상(2010년)을 받으며 등단했다. 장편소설 <능력자> 제36회 오늘의 작가상(2012년)을 수상했고, 에세이집 <청춘, 방황, 좌절, 그리고 눈물의 대서사시>를 썼다. 60ㆍ70년대 지방캠퍼스 록밴드 ‘시와 바람’에서 보컬로도 활동중이다.

오늘의 책

수많은 사랑의 사건들에 관하여

청춘이란 단어와 가장 가까운 시인 이병률의 일곱번째 시집. 이번 신작은 ‘생의 암호’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사랑에 관한 단상이다. 언어화되기 전, 시제조차 결정할 수 없는 사랑의 사건을 감각적으로 풀어냈다. 아름답고 처연한 봄, 시인의 고백에 기대어 소란한 나의 마음을 살펴보시기를.

청춘의 거울, 정영욱의 단단한 위로

70만 독자의 마음을 해석해준 에세이스트 정영욱의 신작. 관계와 자존감에 대한 불안을 짚어내며 자신을 믿고 나아가는 것이 결국 현명한 선택임을 일깨운다. 청춘앓이를 겪고 있는 모든 이에게, 결국 해내면 그만이라는 마음을 전하는 작가의 문장들을 마주해보자.

내 마음을 좀먹는 질투를 날려 버려!

어린이가 지닌 마음의 힘을 믿는 유설화 작가의 <장갑 초등학교> 시리즈 신작! 장갑 초등학교에 새로 전학 온 발가락 양말! 야구 장갑은 운동을 좋아하는 발가락 양말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호감은 곧 질투로 바뀌게 된다. 과연 야구 장갑은 질투심을 떨쳐 버리고, 발가락 양말과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위기는 최고의 기회다!

『내일의 부』, 『부의 체인저』로 남다른 통찰과 새로운 투자 매뉴얼을 전한 조던 김장섭의 신간이다.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며 찾아오는 위기와 기회를 중심으로 저자만의 새로운 투자 해법을 담았다.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 삼아 부의 길로 들어서는 조던식 매뉴얼을 만나보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