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 킴, 전에 없던 소리와 콘셉트
림 킴 <Generasian>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2020. 01. 08)
과격한 「Sal-Ki」 로 김예림을 살해한 림킴은 <Generasian>으로 본인의 이미지 변신이 즉흥적인 일탈이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얼마나 독한 결심인지 이름과 배경 지식을 가리면 그 누구도 과거의 그가 <슈퍼스타 K3>의 투개월로 데뷔한 솔로 가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없을 정도다. 유년기 유학 경험으로부터 발견한 동양과 여성의 정체성 아래, 거칠고 파괴적인 선동과 실험을 이어가는 림킴에게선 일단 ‘단단히 준비된’ 모습이 포착된다.‘민족요’의 수미상관 구조 속 노래들은 확실히 충격과 공격, 전복을 의도하고 있다. 긴 공백기의 내면 탐구 과정을 호기롭게 신세계라 선언하는 「민족요(Entrance)」의 우리 가락부터 ‘아시아 현상’을 노래하는 「Yellow」, 인더스트리얼으로부터 잔뜩 벼린 날붙이들의 거친 충돌 「Digital khan」과 신비로운 「Mong」, 「Yo-Soul」까지. 프로듀서 노 아이덴티티(No identity)와 림킴은 전에 없던 소리와 전에 없던 콘셉트를 향해 거침없이 진군한다.
변화의 중심축이 잘 잡혀 있어 그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 호접몽의 개념을 빌린 「Mong」과 마법(Magic)의 동양 개념 「Yo-Soul」의 신비로운 멜로디에서 림킴은 자연스러운 뮤즈가 되어 최적의 가창을 들려준다. 본인이 보컬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밝힌 랩도 「Sal-Ki」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 일본 교복, 조신함, 중국 경극 등으로 희화화된 동양 여성의 고정관념을 비틀어 반항하는 「Yellow」의 삐딱함, 「Digital khan」의 당당함 모두 무리 없이 소화한다.
유교 문화권 하의 억압적인 젠더 구조, 가부장제 사회 속 고통받는 한국 여성들에게 림킴의 행보와 음악은 상당한 카타르시스로 다가온다. 동시에 <Generasian>은 무국적을 지향한다. 인터넷 시대 디지털 유목민을 유목 민족의 지도자 ‘칸’으로 격상하여 「Digital Kahn」이라 선포하고, 「민족요(Entr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영어 가사로 쓴 것이 그 증거다. 언뜻 장점 같지만, 언어나 문화 등 민족적 색채를 더 강화하는 것이 최근 세계 시장에서 더 호응을 끌어냄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다.
림킴은 수많은 아시아 여성 뮤지션들의 발화에 분노와 전통의 언어를 더하며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우리의 민속 음악, 실험적인 테크노, 힙합을 자유로이 풀어내는 모습은 영국의 엠아이에이(M.I.A), 아프리카 토속의 리듬을 전자음으로 풀어낸 뉴욕의 제이린(Jlin)을 연상케 한다. 아시아의 경우 대만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등 중화권 위주로 많은 아티스트들이 정체성을 당당히 표현하며 편견에 맞서고 있는데, 림킴이 이 흐름을 영리하게 포착했다.
아티스트 개인에게 <Generasian>은 훌륭한 ‘전세 뒤집기’지만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작품인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대개 독특한 콘셉트로 승부하는 아티스트들은 구성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권을 꽉 쥐고 있는데, 림킴의 ‘동양 여성’은 자주적인 모습 아래 앞서 언급한 레퍼런스와 프로듀서의 색채가 꽤 짙다.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아이유의 성장은 가파르다
아이유 <Love Poem>
단순히 듣는 것에서 나아가 능동적인 청취행위를 유도하여 음악 역시 하나의 문학작품임을 재차 깨닫게 했다.
결론부터 말해 긴 호흡으로 오래도록 들을 수 있는 앨범이다. 첫 만남은 다소 무난하다 느낄 법하지만, 재생횟수가 늘어갈수록 촉촉히 스며드는 특유의 감성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각 트랙에 담겨 있는 이야기들은 들으면 들을 수록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고, 여러 갈래로 확장되며 앨범 자체에 긴 생명력을 부여한다. 단순히 듣는 것에서 나아가 함께 그것들을 해석해보고 각자 자신에게 맞는 의미로 찾아 나가는 일들이 수반된다는 것. 그리고 그 찾아낸 의미들을 확인하기에 위해 다시금 앨범을 들으며 전보다 조금 더 이 노래들을 좋아하게 되는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된다는 것. 화려한 포장없이 음악적 매무새만으로 이 정도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아이유의 성장은 정말 가파르구나 라는 생각을 새삼 하게 된다.
전반적인 구성은 그가 주연을 맡았던 영화 <페르소나>와 닮아 있다. 각기 다른 6개의 단편이 아이유라는 자아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영화와 다른 것은, 배우의 역할에 한정되었던 이전과 달리 이번엔 감독까지 맡으며 전반적인 과정을 지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르로 보면 로맨스도 있는가 하면, 수필도 있고, 에세이도 있고, 시도 있는 느낌이나, 주인공의 문법이 확실한 덕분에 앨범의 통일성은 무리없이 유지된다. 정성스럽게 동봉되어 있는 해설지는 자신의 의도를 정확히 밝힘으로써 듣는 이들에게 단순한 감상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청취행위를 유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나는 이런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라고 묻는 것처럼.
이처럼 여전히 언어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는 모습이나, 그렇다고 음악적인 부분에서 소홀한 것은 또 아니다. 오히려 각 이야기에 딱 맞는 음악을 입혀 주제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 이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이기도 하다. 노랫말에 맞는 장르 선택도 선택이지만, 전작과의 차이라면 역시 어느 때보다도 ‘함께 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는 것이다. 발매 직후에 콘서트 계획이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리얼세션 기반의 합주가 생동감과 현장감을 부각시킨다. 이전의 앨범이 오로지 자신만의 것이었다면, 이번엔 오랫동안 함께해 온 뮤지션들과의 협업이 보다 부각되어 있다는 인상이다.
새로운 시도가 가장 응집되어 있는 곡이라면 역시 「그 사람」이다. 보다 장르적으로 접근한 블루스 기타와 좀처럼 들을 수 없는 음울한 목소리가 이제까지의 노선을 살짝 꺾으며 재미있는 의외성을 발한다. 「너랑 나」를 잇는 8년만의 후속작으로 기대를 모은 「시간의 바깥」은 뮤지컬식 구성에 아이리시의 이국적인 감성을 얹으며 완벽한 판타지를 구현한다. 순식간에 현실로 복귀해 영화 <페르소나> 속 ‘밤을 걷다’의 등장인물로 분하는 「자장가」는 그 이별의 감성에 모든 것을 쏟아부은 아이유 가창의 백미.
예상을 웃도는 로킹함으로 사람들을 깜짝 놀래키는 「Blueming」에선 1980년대 뉴웨이브의 향수가 숨어있다. 잔향을 품은 디스토션과 퍼커션이 만개하는 사랑의 감정을 발랄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할까. 여기에 처음과 마지막에 각각 자신과 타인을 향해 귓속말을 건네며 우리의 삶을 돌아보고 다짐하게 만드는 「Unlucky」와 「Love poem」까지. 언뜻 보면 시대나 장르의 일관성이 없는 백화점식 구성으로 보일 수 있으나, 그 근간에 곧게 뿌리내린 유니크한 자아가 주인이 누군지 의심하지 않게 만든다. 그 안에서 우리는 이질감없이 소리를 타고 흐르는 이야기를 몇 번이고 반복해 곱씹을 뿐.단단하게 자신을 가꾸어 온 자만이 건넬 수 있는, 역량과 재능이 똘똘 뭉쳐 빛을 내는 한 장이다. 점점 싱어송라이터들의 개성이 묵살되어 가는 시대에, 메인스트림에 있는 이가 이 정도로 창작의 측면이 부각된 작품을 선보였다는 사실이 고무적이다. 앨범이라는 개념을 보다 크게 바라봄과 동시에 더욱 폭넓은 소재의 스토리텔러로 거듭났다는 사실은 <Chat-Shire>(2015)와 <Palette>(2017)를 비교했을 때 가장 빛나는 성과가 아닐까 싶다. 여기에 단순히 듣는 것에서 나아가 능동적인 청취행위를 유도한다는 것과 음악 역시 하나의 문학작품임을 재차 깨닫게 했다는 점. 정말 지금의 아이유는 그 누구도 이길 수 없을 것만 같다.
관련태그: 림 킴, Generasian, 정체성, 아이유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