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문화어, 얼마나 알고 있나?
남북한 언어 차이
통일에 대비한 언어 단일화 작업에 속도를 내려면 비슷한 쓰임새를 지닌 낱말을 복수표준어로 인정하는 것도 방법일 듯싶다. (2018. 07. 12)
질문 하나. 북한에서는 우리의 ‘오징어’를 ‘낙지’라고 하고, 우리의 ‘낙지’를 ‘오징어’라고 한다는데 사실일까? “남한의 오징어를 낙지라고 하는 건 맞다. 하지만 북한에서의 오징어는 낙지가 아닌 ‘갑오징어’를 지칭한다.” 질문 둘. 북한에서는 전구(電球)를 ‘불알’이라고 한다는데…. “전혀 아니다. 북한이 1960년대 문화어로 바꾼다면서 ‘불알’이라고 하려 했던 적은 있지만 ‘전등알’이 문화어다.”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남북 필수 용어집〉(2013년)에 실린 내용이다. 광복 이후의 남북한 언어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실례(實例)들이다.
‘눈물로 지새우시던 내 아버지 이렇게 얘기했죠 죽기 전에/꼭 한번만이라도 가봤으면 좋겠구나 라구요∼.’ 한국적인 정서를 노래하는 가수 강산에의 ‘라구요’의 한 구절이다. 이 노래 제목도 남북한 언어 차이를 드러낸다. 남한에서 많은 이가 즐겨 쓰는 ‘∼라구’ ‘∼하구요’는 중부 방언이고, 표준어는 ‘∼라고’ ‘∼하고요’다. 즉, 우리말법대로라면 노래 제목은 ‘라고요’가 맞지만 말맛에 끌려 ‘라구요’라고 쓴 것 같다. 북한에서는 둘을 모두 쓴다.
우리는 표준어에 매우 엄격하지만 북한은 복수표준어를 폭넓게 허용하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남한의 비표준어가 북한에서는 문화어인 경우가 많다. ‘까발기다’ ‘또아리’ ‘수리개’ ‘아지’가 그렇다. 많은 이가 ‘비밀 따위를 속속들이 들춰내다’라는 뜻으로 ‘까발기다’를 입에 올린다. 하지만 이 낱말은 표준어 ‘까발리다’에 밀려 사투리 신세다. ‘뱀이 또아리를 틀고 있다’거나, 가린다고 가렸으나 가장 요긴한 데를 가리지 못했다는 뜻의 ‘또아리 샅 가린다’는 속담 속의 ‘또아리’도 마찬가지.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을 때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에 따라 ‘똬리’에 표준어 자리를 넘겨주었다. 수리개는 ‘솔개’의 함경 방언, 아지는 ‘가지’의 강원 방언에 머물러 있다. 허나 이들 모두 북에서는 당당히 문화어다.
통일에 대비한 언어 단일화 작업에 속도를 내려면 비슷한 쓰임새를 지닌 낱말을 복수표준어로 인정하는 것도 방법일 듯싶다. ‘뜰’의 북한어로 묶어두었던 ‘뜨락’이 입에 널리 오르내리자 표준어로 인정한 것처럼.
지금 우리말글손진호 저 | 진선북스
다소 지루해지기 쉬운 말법을 재미있게 알리려 방송이나 영화 등에 나타난 낱말을 인용해 ‘지금 우리말글’의 흐름을 살피기도 했다.
관련태그: 표준어, 북한의 문화어, 통일, 언어 단일화
1987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어문연구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콘텐츠기획본부 전문기자로 3년여간 연재했던 말글칼럼을 깁고 더해 이 책을 냈다. 정부언론외래어심의위원회 위원과 부위원장, 한국어문기자협회장을 지냈다. 2003년 표준국어대사전을 분석해 한국어문상 대상(단체)을, 2017년 한국어문상 대상을 받았다.
<손진호> 저10,800원(10% + 5%)
『지금 우리말글』은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라는 제목으로 2014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3년여간 동아일보에 연재된 글을 엮은 것으로, 독자들이 읽기 편하도록 내용을 깁고 더했다. 반드시 알아야 하거나 갈무리해두면 좋은 낱말, 헷갈리기 쉬운 표현 등을 다뤄 독자들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우리말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