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문학이 사랑한 꽃들
수많은 소설 작품이 현실을 반영하는 것처럼 우리 주변의 꽃과 식물이 소설에 등장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독자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꽃’을 주목한다. 소설의 어떤 대목에서 야생화가 나오는지, 그 야생화가 어떤 맥락으로 쓰였는지 소개한다.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냄새가 난다.’
강신재의 단편 『젊은 느티나무』의 첫 문장이다. 1960년 이 소설이 나오자 한동안 젊은 연인들 사이에서는 ‘비누 냄새’가 유행어가 됐다고 한다. ‘비누 냄새’에서 풍기는 신선하면서도 성적인 연상 작용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소설은 이처럼 첫 문장부터 싱그럽고 감각적이다.
열여덟 살 여고생 숙희와 스물두 살 대학생 현규는 두 사람의 부모가 재혼하는 바람에 맺어진 오누이다. 법적으로는 남매지만 한집에 살면서 사랑이 싹튼다. 아무리 의남매라 하더라도 남매간 사랑은 지금도 흔치 않은 소설 소재인데, 오십여 년 전에는 충격적인 내용이었을 것 같다.
숙희는 재작년 처음 오빠 현규를 보았을 때부터 사랑의 감정을 느꼈다. 어색한 시간이 흐르고 서로 친해지자 애정은 더욱 깊어가지만, 오빠도 자기를 사랑하는지 너무 궁금하다. 그런데 어느 날 숙희가 오빠 친구로부터 러브레터를 받자 오빠는 숙희에게 화를 낸다. 숙희는 오빠도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루 말할 수 없는 환희에 휩싸인다.
하지만 사회 통념상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기에 숙희의 번민은 깊어간다. 그런 와중에 어머니가 미국에 있는 아버지에게 가서 일 년쯤 살고 올 것이라고 말한다.
숙희는 ‘아무도 막아낼 수 없는, 운명적인 사건’이 일어날 것 같은 예감에 세상과 등지려고 마음먹고 시골집으로 내려간다. 숙희는 날마다 뒷산에 올랐다. 거기엔 ‘젊은 느티나무 그루 사이로 들장미의 엷은 훈향이 흩어지곤 하는’ 곳이 있었다. 며칠 후 현규가 그곳으로 올라오는 것이 보였다.
그가 이삼 미터의 거리까지 와서 멈추었을 때 나는 내 몸이 저절로 그 편으로 내달은 것 같은 착각을 느꼈다. 사실은 그와 반대로 젊은 느티나무 둥치를 붙든 것이었다.
“그래, 숙희, 그 나무를 놓지 말어. 놓지 말고 내 말을 들어.” (중략)
“이제는 집에 돌아오겠다고 약속해 주겠지? 내일이건 모레건 되도록 속히…….”
나는 또 끄덕여 보였다.
“고마워, 그럼.”
그는 억지로처럼 조금 미소하였다. 그리고 빙글 몸을 돌려 산비탈을 달려 내려갔다. 바람이 마주 불었다.
나는 젊은 느티나무를 안고 웃고 있었다. 펑펑 울면서 온 하늘로 퍼져 가는 웃음을 웃고 있었다. 아아, 나는 그를 더 사랑하여도 되는 것이다……. _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중에서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이다. 현규가 “우리에겐 길이 없지 않어. 외국엘 가든지……”라고 말하자 숙희가 너무 기뻐하면서 끝나는 내용이다. 느티나무를 붙들고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숙희의 모습은 좀 코믹하면서도 애절하다. ‘젊은 느티나무’는 소설 속 주인공들의 젊음과 건강함을 상징하면서, 두 사람의 사랑이 앞으로 느티나무처럼 커갈 것임을 암시하는 것 같다.
강신재(1924~2001)는 서울 출신으로, 1949년 김동리 추천으로 등단한 이후 1950~60년대엔 『젊은 느티나무』 같은 파격적인 소재로 수많은 애정 소설을 발표했다. 한국문학가협회상, 여류문학상, 예술원상, 중앙문화대상 등을 받았고 여류문학인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느티나무 ⓒ알리움
서울 가로수 66퍼센트는 은행나무 ? 버즘나무
느티나무는 숲 속에서 자라는 자생 나무보다는 정자나무나 가로수로 더 친근하다. 느티나무 가로수길은 깔끔하면서도 세련된 인상을 준다.
대표적인 가로수는 은행나무와 버즘나무(플라타너스, 정확히는 양버즘나무)다. 1980년대 초엔 양버즘나무가 서울 가로수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으나,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가을 단풍이 좋다고 은행나무를 대대적으로 심으면서 은행나무가 1위에 올랐다.
1990년대 중반 두 나무의 비중은 90퍼센트에 육박했다. 그러나 두 나무는 조금씩 문제가 있었다. 은행나무는 열매가 떨어지면 도로가 지저분해지고 악취가 났다. 버즘나무는 성장이 빨라 가지치기를 자주 해야 하는 데다, 봄에 꽃가루가 날리고 흰불나방 등의 벌레가 꼬이는 편이다. 이에 따라 1990년대 들어 이 같은 단점이 적은 느티나무와 벚나무를 대체 수종으로 많이 심었다.
은행나무ㆍ 버즘나무 ㆍ 느티나무 ㆍ 벚나무 등이 4대 가로수가 가로수의 ‘훈구파’라면, 2000년대 들어 ‘사림파’ 가로수들이 본격적으로 서울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바로 이팝나무ㆍ회화나무 ㆍ메타세쿼이아다.
이렇게 해서 현재 서울 가로수는 은행나무(40.3퍼센트)ㆍ버즘나무(25.7퍼센트)ㆍ느티나무(11.3퍼센트)ㆍ 벚나무(9.2퍼센트)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이팝나무 ㆍ회화나무 ㆍ메타세쿼이아가 2~3퍼센트를 차지해 ‘7대 가로수’를 형성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볼 때는 지방마다 벚꽃축제를 유치하려고 벚나무를 대거 가로수로 심는 바람에 벚나무가 1위이고, 나머지 분포는 비슷하다.
남이섬 메타세쿼이아 길 ⓒ알리움
젊은 느티나무
강신재 저 |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의 한국문학전집 그 31번째 권, 강신재 소설선 『젊은 느티나무』. 1950,6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작가 강신재의 중단편 10편을 수록한 작품집이다. 강신재 특유의 서정적인 문체와 관조적인 시선, 지적인 분석력이 단편 읽기의 재미를 더한다. '비누 냄새' 나는 풋풋한 사랑 이야기에서 끈끈한 '점액질'의 어두운 욕망에 이르기까지 운명의 폭력성과 존재론적 한계를 줄기차게 탐구해온 강신재의 소설 여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관련 기사]
- 삶이 곧 소설이었던 기구한 인생
- 도라지꽃을 바탕화면으로 깐 아이
- 유유자적 살롱의 5년간의 기록
-신부의 녹의홍상을 닮은 협죽도
12,420원(10% + 5%)
12,600원(1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