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예스 책꽂이 > 김작가의 귀가는 대로
괴물같은 라인업에도 침묵한 관객들
어느 음악팬의 유럽록페스티벌 정복기
페스티벌의 입장권은 팔찌다. 대부분은 페스티벌이 끝난 후 팔찌를 떼어버리지만 그의 손목에는 한 주 한 주가 지나갈 때마다 팔찌가 늘어갔다.
(본 내용은 “여자 관객에 맥주 투척해도 환호하는 축제?” 와 이어집니다.)
★페스티벌의 입장권은 팔찌다. 천이나 플라스틱, 비닐로 만들어진 팔찌가 페스티벌 행사장 안에서의 신분증이다. 대부분은 페스티벌이 끝난 후 팔찌를 떼어버리지만 그의 손목에는 한 주 한 주가 지나갈 때마다 팔찌가 늘어갔다.
락암링을 시작으로 블루스 페스티벌을 거쳐, 그다음 주 런던 하이드파크에서 열린 하드록콜링 공연에서 폴 매카트니의 무대를 봤다. 음악팬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소망할 수밖에 없는 폴 매카트니의 공연을 말이다.
자신의 솔로곡뿐 아니라 비틀즈의 명곡들을 폴 매카트니는 불렀다. 마지막 곡으로는 당연하게도〈Hey Jude〉를 불렀다. 노인부터 어린아이까지 그 노래를 합창한 건 당연한 일. 아무리 비틀즈라고는 하지만 한국에서 그 옛날의 뮤지션이 모든 세대에게 지금껏 사랑받는 경우가 있었던가. 그만큼 훌륭한 뮤지션이 없었기 때문일까.
꼭 그렇지는 않다. 지나간 것의 가치를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또한 자국의 과거문화에서 계속 새로운 뭔가를 창출해나가는 영국의 문화 때문이다. 그 안에서 혁신과 갱생이 이뤄지고 또한 옛것과 새것이 하나로 연결된다. 그렇게 권위를 획득한 예술인은 기꺼이 까마득한 후배들과 함께 공연하며 영국의 대중음악에 창작자의 깃발을 세워왔다. 불과 10년 전의 유명가수가 한 세대만 지나면 이름조차 낯선 이 땅의 문화에서는 언감생심, 꿈도 못 꿀 일이다. 말로만 전통이 있는 곳과 전통이 실재하는 곳의 차이다.
★물론 여행 내내 좋기만 한 건 아니었다. 희로애락의 축소판이 여행일진데, 우리의 삶과 마찬가지로 안 좋은 순간들이 있는 게 인지상정. 잉글랜드에서의 일정이 끝나고 찾아간 벨기에가 바로 그랬다.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 근처에서는 록 베르히터(Rock Werhiter)라는 페스티벌이 열린다. 보통 유럽 페스티벌은 금?토?일, 3일간 열리지만 이 페스티벌은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만 개최된다. 그런데 라인업이 최강이다. 올해는 그린데이, 뱀파이어 위크엔드 등이 출연했고 록 베르히터의 이름이 전 세계 음악팬들에게 알려진 2008년의 경우는 라디오헤드, 시규어 로스, 벡, 메탈리카…… 세계 최강의 라인업을 자랑했다.
인구도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적고 딱히 록의 강국도 아닌 벨기에에서 이런 괴물 같은 라인업이 가능한 건 두 가지 이유다.
첫째, 벨기에가 차지하는 지형적 요인이다. 서유럽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벨기에의 특성상 이런저런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뮤지션들이 중간 기착지로 왔다갔다거리는 데 불편함이 없어서다. 또 하나는 록 베르히터가 벨기에 정부의 국책사업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다른 페스티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티켓값만 받고도 세계적인 뮤지션들을 부르는 게 가능하다.
그러나 전통이 없기 때문일까. 록 베르히터는 그에게 가장 실망스러운 페스티벌이었다. 앞서 말한 ‘페스티벌 분위기’가 전혀 나지 않았던 것이다. 관객들은 침묵했다. 밴드들이 애써 호응을 유도해도 객석에서의 반응은 1분을 채 가지 않았다.
조용하기로 소문난 일본관객들조차 저리 가라 할 수준이었으니, 뱀파이어 위크엔드가 결국 “이건 페스티벌이야! 제발 좀 놀라고!”라고 노골적으로 외친 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베르히터에서는 도둑도 맞았다. 누가 그의 자전거 가방을 훔쳐간 것이다. 벨기에 경찰의 불친절함과 나 몰라라 하는 분위기가 여행 최악의 상황에 불을 지폈다.
이런 불유쾌한 기분은 그러나 불과 다음 주, 즉 7월 초에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T 인 더 파크(T In The Park)에서의 감동이 싹 쓸어갔다. 글래스톤베리, 레딩 페스티벌과 함께 영국의 3대 페스티벌이자 스코틀랜드 최대의 페스티벌인 T 인 더 파크는 그에게 ‘지역공동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재정의에 다름아니었다. 철저히 스코틀랜드 사람들 위주로 집객이 됐고, 그 어느 페스티벌보다 활기찬 페스티벌이었다.
무엇보다 그를 벅차게 했던 건 마지막 날 헤드라이너였던 카사비안의 공연이 끝난 다음이었다. 앙코르를 요청하는 10만 관객 앞에 나타난 건 밴드가 아닌 스코틀랜드 전통의상을 차려입은 백파이프 연주자였다. 그는 말없이 스코틀랜드의 국가를 연주했다. 여느 나라의 페스티벌이었다면 야유가 쏟아지거나 잘해야 냉담한 반응이 나왔을 테지만 스코틀랜드인들은 오히려 더 큰 함성과 함께 모두가 국가를 합창했다.
한편으로는 전체주의로 볼 수도 있겠지만 스코틀랜드인의 긍지를 상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그런 긍지가 월드컵에 ‘영국팀’이 아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웨일즈로 나뉜 팀들이 출전하게 하는 힘이 아닐까. 국가라는 이름에 앞서는 지역공동체 의식 말이다. 그가 그전, 그리고 그후에도 이어진 록페스티벌 투어에서도 최고의 순간으로 꼽는 장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