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70년대 단팥빵처럼…

그란하 라 파야레사 Granja La Pallaresa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주문을 마치자 재빨리 나오는 그것. 기름에 튀긴 바삭바삭한 추로스 한 접시와 숟가락으로 떠먹어야 될 묵직한 초콜라테. 컵이 넘쳐라 얼마나 많이 퍼 주는지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르다. 땟자국처럼 컵 가장자리에 묻어 있는 데도 싫지만은 않다. 바삭한 추로스를 거기에 푹 담가 찍어 먹는데, 들큼하고 고소한 맛. 그러다 폭신폭신한 엔사이마다를 하나 베어 무니 얼굴에는 가루분과 함께 행복감이 폴폴 날린다. 소박한 촌스러움은 편안하다. 그리고 그것이 오랜 역사 때문이라면 왠지 정겹다.

 
유럽 맛보기
김보연 글,사진 | 시공사
유럽의‘진짜’음식들이 보여준 특별한 맛 이야기 세계적인 스타 셰프의 감동적인 코스 요리부터 소박한 보통 사람들의 손맛 담긴 음식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진짜배기 음식을 찾아 유럽 곳곳을 누빈 고군분투 미식 여행의 기록. 겉보기엔 우아하지만, 실제로는 고생바가지였던 저자 김보연의 유럽 맛 기행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찾아 떠난 여행이 아니었다. 유럽 땅에서 자라고 그곳의 물, 바람, 시간이 만들어낸 그곳의 음식들, 그곳 사람들의 장인 정신이 담겨 있는 소울 푸드에는 미슐랭 가이드의 별점으로는 가늠할 수 없는 깊이와 감동, 이야기가 있었다.
관광객들로 복닥거리는 바르셀로나의 람블라스 거리. 여기서 한 블록만 들어가면 작은 샛길 하나가 나온다. 건물 새 빈틈처럼 지나치기 쉽지만 우연히 그 속에 발길이 닿는다면 예상치 못한 모습에 조금은 놀라게 된다. 한 줄기 햇빛이 겨우 드는 좁은 골목에 무채색의 화랑들과 소박한 카페테리아들이 멈춰 있다. 세련된 분위기라기보다는 왠지 세월의 넉넉함이 느껴지는 소박한 뒷골목, 페트릭솔.

그냥 마음 내키는 대로 걸어 다녀도 좋지만, 자연스레 발길이 멈추는 곳이 있다. 바로 그란하 라 파야레사(Granja La Pallaresa). 쇼윈도의 먹음직스러운 추로스 때문에 누구나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빼꼼히 안을 들여다본다. 열리고 닫히는 문을 통해 초콜릿 냄새가 솔솔 풍겨 나온다. 1947년에 문을 연 소박한 카페. 예전에는 신선한 젖소의 젖을 직접 짜서 팔았던 밀크 바이자 간식거리를 해결할 수 있는 곳이었다.

스페인의 공식 낮잠 시에스타가 거의 사라진 바르셀로나. 그러나 이 거리만큼은 그 오랜 역사를 지켜 온다. 한낮에 이곳의 진득한 초콜라테 한 잔에 추로스를 먹고, 엔사이마다(Ensaimada, 반죽에 돼지기름이 들어가는 둥근 모양의 흰색 빵)도 하나 베어 물고 싶었는데 낮잠 시간이 끝나려면 기다려야 한다. 나 같은 사람들이 하나둘씩 모여들지만, 문을 열기로 한 시간이 한참을 지나서야 꾸물꾸물 셔터가 올라간다.


유리 안 수북이 쌓여 있는 추로스가 눈에 들어온다. 나무틀로 된 문을 열고 들어가니 빛바랜 타일 장식에 닳고 닳은 바닥과 바닥을 직직 긁는 낡은 의자들. 테이블마다 놓여 있는 촌스러운 책받침 메뉴는 맛탕 소스 묻은 우리네 분식집 메뉴판처럼 끈적끈적하다. 모든 메뉴에 번호가 적혀 있는데 역시 1번 메뉴는 소콜라타 에스파뇰라(Xocolata Espanyola). 추로스도 그렇고 엔사이마다, 멘하르 ?랑크(Menjar Blanc, 아몬드 크림 푸딩)에 이르기까지 카탈루냐 사람들의 출출한 배를 책임질 간식거리들이다.

주문을 마치자 재빨리 나오는 그것. 기름에 튀긴 바삭바삭한 추로스 한 접시와 숟가락으로 떠먹어야 될 묵직한 초콜라테. 컵이 넘쳐라 얼마나 많이 퍼 주는지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르다. 땟자국처럼 컵 가장자리에 묻어 있는 데도 싫지만은 않다. 바삭한 추로스를 거기에 푹 담가 찍어 먹는데, 들큼하고 고소한 맛. 그러다 폭신폭신한 엔사이마다를 하나 베어 무니 얼굴에는 가루분과 함께 행복감이 폴폴 날린다. 소박한 촌스러움은 편안하다. 그리고 그것이 오랜 역사 때문이라면 왠지 정겹다.


이곳에 올 때마다 이상하게 떠오르는 게 있다. 70년대에는 동네 빵집에서 빵 한 접시와 우유를 시켜 놓고 미팅을 했단다. 난 그 세대는 아니어도 테이블 몇 개 놓고 장사했던 동네 빵집을 기억한다. 고소한 크로켓, 두툼한 크림빵과 튼실한 단팥빵이 있던 곳. 가끔 엄마를 따라 시장에 가다 그곳에 들러 우유 한 잔과 곰보빵을 먹으면 얼마나 신이 났는지. 지금은 대부분 흔적조차 사라진 곳들. 이곳이 왠지 편안하다. 좋다.

그란하 라 파야레사 Granja La Pallaresa

주소: Petritxol 11, Barcelona
전화: 93 302 2036
오픈: 09:00~13:00, 16:00~21:00
교통: Liceu역에서 도보 5분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5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유럽 맛보기

<김보연> 글,사진12,150원(10% + 5%)

유럽의‘진짜’음식들이 보여준 특별한 맛 이야기 세계적인 스타 셰프의 감동적인 코스 요리부터 소박한 보통 사람들의 손맛 담긴 음식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진짜배기 음식을 찾아 유럽 곳곳을 누빈 고군분투 미식 여행의 기록. 겉보기엔 우아하지만, 실제로는 고생바가지였던 저자 김보연의 유럽 맛 기행은 단순히 맛있는 음..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잘못된 세상에 맞선 위대한 순간들

지식 교양 구독 채널 '오터레터' 발행인 박상현이 쓴 책. 최근까지도 인류는 성별, 민족, 인종에 따른 차별이 당연한 세상에서 살았다. 차별과 혐오를 지탱한 건 무지였다. 편견에 맞서 세상을 바꾼 사람도 있었다. 『친애하는 슐츠 씨』는 그 위대한 장면을 소개한다.

우리가 서로의 목격자가 되어 주기를

안희연 시인의 4년 만의 신작 시집. 이 세계에 관한 애정과 사랑을 잃지 않고, 어둠에서 빛 쪽으로 계속 걸어가는 시인의 발걸음이 시 곳곳에서 돋보인다. 이별과 죽음을 겪을지라도 기어코 사랑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시들을 다 읽고 나면, “비로소 시작되는 긴 이야기”가 우리에게 도래할 것이다.

천선란 세계의 시작에 관한 이야기

소설가 천선란의 첫 단독 에세이. 작가를 SF 세계로 이끌어준 만화 〈디지몬 어드벤처〉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디지몬'을 통해 모험에 설레고 용기에 위로받으며, 상상의 힘을 얻었던 어린 시절에 작별 인사를 건네는 작가. 지금의 천선란 세계를 만든 불씨가 되어준 아름다운 세계에 대한 책.

챗봇 시대 필수 가이드

마우스 클릭만으로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본격 AI 시대. 일상부터 업무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챗봇을 다룬다. GPT 챗봇의 최신 동향부터 내게 맞는 맞춤형 챗봇의 기획부터 활용까지. 다양한 사용법과 실습 예제를 통해 누구나 쉽게 활용하는 챗봇 네이티브 시대의 필수 가이드.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