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이토록 영화같은 당신
낯선 도시에서 멘토를 만나는 행운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나는 피로하다 고로 도시인이다
도시인들은 여가 또한 아무렇게나 소비되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도시인들은 기를 쓰고 여유로운 휴가를 얻기 위해 고속도로의 정체를 뚫고 간다. 보드리야르의 말대로 도시인들에게 피로는 도시의 삶, 혹은 자본주의가 만들어준 형벌일 것이다.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소피아 코폴라 감독, 2003
도시를 부유하면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바꾸어가는 새로운 인류, 도시유목민. 도시유목민은 생산하지만 그것은 소모와 탕진을 위해서이며, 이 소모와 탕진을 생산으로 인한 피로의 회복이라는 그럴듯한 상투구로 해석한다. 그러나 소모와 탕진은 오히려 생산-피로의 가중치가 되어 피로는 결국 도시인들의 삶 자체가 되어버린다. “나는 피로하다, 고로 도시인이다”라는 명제는 어떤가.
도시인들은 여가 또한 아무렇게나 소비되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도시인들은 기를 쓰고 여유로운 휴가를 얻기 위해 고속도로의 정체를 뚫고 간다. 보드리야르의 말대로 도시인들에게 피로는 도시의 삶, 혹은 자본주의가 만들어준 형벌일 것이다. 탈脫도시하였다고 해서 그곳에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도 아니고 낯선 자아정체성을 만나는 것도 아니다. 그곳은 또 하나의 의사도시擬寫都市이자, 도시의 연장일 뿐이다. 도시는 특정 지역이 아니라 하나의 속성이며 도시인은 특정 지역의 사람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인 것이다.
과부하된 이미지 사이로 비닐우산을 쓴 여자가 지나간다. ‘샬럿(스칼릿 조핸슨)’이다. 한눈에 봐도 그녀, 피로하다. 이 피로는 무료와 무기력의 피로이다. 그녀는 다만 사진작가인 남편을 따라 도쿄에 와서 ‘정착’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호텔에서 ‘숙박’하고 있다. 글을 쓰고 싶었으나 만성화된 우울은 ‘쓰다’라는 동작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남편은 연신 ‘사랑한다’는 말을 흘리지만, 그것은 습관적인 기표의 남용일 뿐이다.
도시의밤. 초로初老의남자가지나간다. ‘밥해리스(빌머레이)’이다. 그는낮 동안의 광고 촬영으로 지쳐 있다. 광고 프로듀서가 길게 설명한 것을 통역자가 한마디 영어로 자신에게 전하는 것에 내내 어리둥절하면서 보낸 하루였다. 메이크업도 지운 상태이고 옷은 구겨져 있고 이야기를 나눌 사람도 없다. 문득 고개를 들어 올려다본 곳에 너무나 멋진 ‘자신’의 이미지가 있다. 광고 전광판, 거대한 사이즈로 상업화된 우울의 표정을 짓고 있는 자신. 낯설다. 미국에 있는 자신의 아내와 통화해보지만 아내는 집을 치장할 인테리어 타일을 고르는 것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이 둘이 호텔 카페에서 마주친다. 일어가 낭자한 도시에 영어가 영어를 알아보았는데, 단지 언어가 서로 통한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일어와 영어가 서로 번역 불통lost in translation이다가, 드디어 번역하지 않아도 되는 그런 상태만은 아닌 듯하다.
영화의 포스터에 나온 대로 누구나 발견되기를 원하는 것인데Everyone want to be found, 이 둘은 상대에게 노출되었고, 알튀세르 식으로 말하자면 호명이 되어 주체가 된 것이다.
밥은 샬럿에게 오랫동안 주저했던 글쓰기를 하라고 조언하고, 샬럿은 밥에게 갖고 싶었지만 항상 나이를 의식해서 사지 못했던 스포츠카를 사라고 말한다.
|
|
관련태그: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영화
<한귀은> 저12,420원(10% + 5%)
영화는 우리네 인생을 담고 있다. 책이 글자로 그것을 담았다면 영화는 영상과 음악, 텍스트를 모두 사용하여 인생을 담아낸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같은 인생'을 꿈꾸지만 그 역이 먼저이지 않을까? 그 정도로 영화는 우리네 인생과 맞닿아 있다. 그렇기때문에 우리는 영화를 통해 박장대소 하고, 위로를 얻고, 또 함께 ..
<소피아 코폴라>,<빌 머레이>,<지오바니 리비시>8,800원(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