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나는 모든 인간에게서 시를 본다 ‘정호승 시인’

시인은 시를 써야 시인입니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정호승 시인의 중심에는 늘 시가 자리했다. 그리고 시의 중심에는 본질과 서정이라는 두 개의 축이 드리워져 있었다. 그의 작품이 평이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주는 것은 삶에 대한 성찰, 고통과 아픔까지도 감사히 받아들이는 낮은 자세와 무관치 않다.

소설가 박성천이 『책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책을 만든다』를 통해 만난 문화예술인 7인에 대한 인터뷰 후기를 매주 화요일, 연재합니다.

 

20140422_정호승 시인_CHB_6549.jpg


“모든 인간에게서 시(詩)를 본다.”

 

정호승 시인의 말이다. 그의 말은 생전의 마더 테레사 수녀가 했던 “모든 인간에게서 신(神)을 본다”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정호승 시인은 매우 조심스럽고 겸손하게 말을 했지만, 그것은 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주는 철학일 터였다. 예상했던 대로 그는 타고난 시인이었다. 흔히 하는 말로 “뼛속까지” 시인이었다. 고등학교 진로를 정한 이후 단 한번도 주저하거나 흔들림 없이 이 길을 걸어왔다.


사람이니까 외로울 수 밖에 없다.

 

정호승 시인은 원초적으로 외로울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삶을 아름답고 서정적으로 그려낸다. 아련히 펼쳐진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곡조를 붙이면 하나의 서정적인 노래가 된다. 

 

“어떠한 경우에 시가 되었다 또는 시가 되지 않았다는 표현을 하는데요, 시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부지불식간에 찾아옵니다. 그러나 그 순간은 오랜 성찰과 고통의 통과라는 전제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제 시 중에「이슬의 꿈」이라는 작품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이슬은 햇볕에 말라 흔적 없이 사라진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햇살과 한 몸이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시인이 자신만의 관점으로 대상을 형상화할 때 비로소 시가 이루어집니다.”

 

그는 시든 소설이든 문학의 본질을 잃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인다. 사실 예술만큼 본질이 강조되는 분야도 없다. 본질이 장르 자체뿐 아니라 그 길을 걸어가는 예술가의 존재 이유와도 직결되기 때문일 터이다. 정 시인에게 ‘본질’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그만의 시 정신이 아닐까 싶다. 

 

 

깊은 울림, 전통가락 그리고 맑은 서정

 

“저는 늘 시에 감사하며 독자에게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시가 있었기에 나라는 사람이 존재하며 또한 앞으로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1973년에 대한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니 올해로 시를 쓴지 만 41년이 됩니다. 오랫동안 시업(詩業)을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늘 감사하는 마음과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져왔기 때문입니다.”

 

그의 시에 담긴 빛나는 서정성, 삶에 대한 관조의 시선은 한 구절의 잠언을 읽는 것 같은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순천의 선암사 해우소에서도 그의 잠언같은 시구를 접할 수 있다. 시인은 눈물이 나는 날에는 열차를 타고 선암사에 가보라고 권한다. 그곳 해우소에서 마음껏 울다 보면 나름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선암사의 해우소가 명소가 되어버린 건 전적으로 그의 시「선암사」때문이다.


시를 써서는 온전히 밥을 먹고 살기 힘든 세상에서 그는 그렇게 시를 붙들고 42년째 묵묵히 시인의 길을 걷고 있다. 불현듯 그가 ‘모든 인간에게서 시를 보는 것’처럼, 나는 인간에게서 ‘무엇’을 봐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 

 

인터뷰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 기자인 내가 사람에게서 봐야 할 것은 무엇이며, 또한 독자들은 내게서 무엇을 보길 원하는지 생각해 보았다.

  

“시인은 시를 써야 시인입니다. 저는 죽을 때까지 시를 쓸 작정입니다. 시란 자기 자신과 한 시대를 이루는 인간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과정이니까요. 마더 테레사 수녀는 모든 인간에게서 신을 본다고 했습니다. 저의 경우는 모든 인간에게서 시(詩)를 본다고 말하고 싶네요. 우리는 이제 영혼의 양식이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저의 시작(詩作)이 영혼의 양식을 소중하게 여기는 작업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정호승 시인은 197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시「석굴암을 오르는 영화」가,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첨성대」가,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위령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정호승 시인의 시는 언제나 부드러운 언어의 무늬와 심미적인 상상력 속에서 생성되고 펼쳐진다. 오랜 시간 바래지 않은 온기로 많은 이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그의 따스한 언어에는 사랑, 외로움, 그리움, 슬픔의 감정이 가득 차 있다.


1989년 소월시문학상, 2000년 정지용문학상, 2009년 지리산문학상, 2011년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시집『슬픔이 기쁨에게』,『서울의 예수』,『새벽편지』등이, 시선집으로는『내가 사랑하는 사람』,『흔들리지 않는 갈대』등이, 어른이 익는 동화로 『연인』,『항아리』,『모닥불』,『기차 이야기』등이, 산문집『소년부처』등이 있다.


 


img_book_bot.jpg

 


 

 

책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책을 만든다박성천 저 | 미다스북스(리틀미다스)
『책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책을 만든다』는 우리 시대 최고의 작가 23명에게 책이 작가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고, 또 그로 인해 어떤 작품을 쓰게 되었는지에 대한 인터뷰를 모은 책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대표 소설가, 시인, 지성인과 문화예술인인 공지영, 조정래, 은희경, 최재천, 김병종, 유시민 등 자신만의 색깔로 책을 짓는 작가들의 내밀한 고백을 한데 모았다. 이들은 왜 책을 쓰게 되었고, 책은 어떻게 그들의 삶을 변화시켰는지 이 인터뷰집에 모두 담겨 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박성천(소설가)

소설가이자 광주일보 기자인 저자는 다양한 영역에 걸친 글쓰기를 통해 사람과 세상, 문화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인문학자다. 문학 기자와 『예향』 기자로 활동하면서 문학 관련 기사뿐 아니라 우리 시대 화제가 되는 인물 인터뷰, 다양한 문화 담론, 인문학적 주제, 학술 전반에 대해 깊이 있는 글을 쓰고 있다.

오늘의 책

트럼프의 귀환, 위기인가? 기회인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을 거머쥔 트럼프. 글로벌 무역 질서를 뒤흔들 트럼프 2기 정부의 명암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국제 정세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설명하는 박종훈 저자의 신간이다. 강경한 슈퍼 트럼프의 시대에 직면한 대한민국이 어떠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지 그 전략을 제시한다.

이래도 안 읽으실 건가요

텍스트 힙에는 별다른 이유가 없다. 독서가 우리 삶에 필요해서다. 일본 뇌과학계 권위자가 뇌과학으로 입증하는 독서 예찬론. 책을 읽으면 뇌가 깨어난다. 집중력이 높아지고 이해력이 상승하며 즐겁기까지 하다. 책의 장르는 상관 없다. 어떤 책이든 일단 읽으면 삶이 윤택해진다.

죽음을 부르는 저주받은 소설

출간 즉시 “새로운 대표작”이라는 타이틀을 얻으며 베스트셀러가 된 작품. 관련 영상을 제작하려 하면 재앙을 몰고 다니는, 저주받은 소설 『밤이 끝나는 곳』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등장인물들이 함께 떠난 크루즈 여행 중 숨겨진 진실과 사라진 작가의 그림자가 서서히 밝혀진다.

우리 아이 영어 공부, 이렇게만 하세요!

영어교육 전문가이자 유튜브 <교집합 스튜디오> 멘토 권태형 소장의 첫 영어 자녀 교육서. 다년간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육의 현실과 아이들의 다양한 학습 성향에 맞는 영어 학습법을 제시한다. 학부모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과 실천 방안을 담았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