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만드는 방법
로봇에게도 감정이 필요하다
로봇에게 이런 가짜 지능이 아닌, 진짜 인공지능을 만들어줄 순 없는 걸까요. 그래서 사람처럼 울고, 웃고, 친구를 아끼고 사랑하고, 분노하는 마음을 갖게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요.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요즘 ‘인공지능’이라는 말이 유행이잖아요. 연산장치인 컴퓨터가 어떻게 지능을 가질 수가 있습니까?”
“아 그거? 쉬워. 이프 엘스if else 쓰면 되지.”
대학교 2학년 때였던가요. 속칭 ‘뿜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학교 선배들이 3~4학년이 되면 ‘인공지능 언어’라는 과목을 배운다고 하더군요. 듣기야 많이 듣던 단어였습니다만 한마디로 어떤 원리인지는 이해가 안 갔습니다.
담당교수님을 붙잡고 ‘인공지능이 뭐냐’고 여쭙자 한 마디로 대답하고 자리를 뜨셨는데 저는 그 말씀에 한참을 혼자 웃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교수님의 재치가 재미있어서 웃었을 뿐이지만 나중에 프로그래머로 일을 하게 되니 그때 교수님의 그 농담이 뼈저리게 다가오더군요.
로봇에게 지능을 넣어 주는 방법
흔히 ‘인공지능’이라고 말하는 자동화 기능의 정체는 대부분이 ‘조건문’입니다. 그러니 IT정보기술 관련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if else’라는 기본 명령어는 정말로 가장 중요합니다. 프로그램 언어마다 차이가 있습니다만 보통 이 명령어를 ‘if A do B else C’라는 순서로 적어 두면 ‘A라는 조건에 충족하면 B를 실행하고, 아니면 C를 실행한다’라는 뜻이 됩니다.
실제로 이런 조건문 방식은 생각을 정리할 때나 업무 순서를 정할 때 쓰면 굉장히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저녁은 심심한데 여자친구랑 만나서 놀자’는 계획을 세웠다고 칩시다. 이 일이 성사되려면 여자친구가 시간이 있는지, 그래서 나랑 놀아줄 수 있는지, 그 한 가지 조건만 확인하면 됩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집으로 가고, 충족된다면 여자친구를 만나러 가면 되겠지요.
그런데 로봇의 머리 속에 들어 있는 컴퓨터로 이런 과정을 처리하려면 조건은 훨씬 더 복잡합니다. 사람에겐 당연하다 싶은 것을 로봇은 하지 못하니까요. ‘여자친구를 만나러 집 앞까지 걸어간다’는 한 가지의 일을 실행하려면 사람은 그대로 걸어가면 그뿐입니다. 하지만 로봇은 집과 여자친구 집의 좌표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정밀한 지도 정보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현재 자신의 위치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발이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작은 돌멩이 하나까지 빠짐없이 주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한걸음 한 걸음 발을 옮길 때마다 무릎과 발목을 구부릴 각도까지 조건에 넣어야 합니다. 모터의 힘, 배터리의 잔량, 바람의 방향과 세기 등 수없이 많은 변수를 일일이 다 계산해야 합니다. 실생활에서 로봇이 이런 조건문 방식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쓰는 청소용 로봇, 세탁기, 전자레인지, 아니면 공장 같은 곳에서 물건을 집어 드는 공업용 기계 같은 것은 주변 환경이나 하는 일이 제한적입니다. 이럴 경우는 이런 ‘조건’을 수백, 수천 개 복잡하게 연결해 원하는 작업을 하도록 순서를 지정해 주면 얼핏 보기에 뭔가 자기 스스로 판단을 하고 움직이는 것처럼 ‘보여질’ 수도 있습니다. 많은 전자제품 회사가 자랑하던 그 ‘인공지능’은 결국 수많은 변수를 꼼꼼히 예측한 프로그래밍 엔지니어의 지능인 셈이죠.
이런 조건문을 짜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고, 그런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니 너도 나도 ‘완벽한 인공지능 구현’, ‘차세대 지능형 프로그래밍 기법’ 같은 거창한 수식어를 달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계의 작동순서는 결국 사람이 정하고 만들어 준다는 ‘진실’은 결코 변하지 않습니다.
로봇에게도 감정이 필요하다
로봇에게 이런 가짜 지능이 아닌, 진짜 인공지능을 만들어줄 순 없는 걸까요. 그래서 사람처럼 울고, 웃고, 친구를 아끼고 사랑하고, 분노하는 마음을 갖게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요. 현재 과학기술로 실현이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론적으로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 아예 ‘인공두뇌’를 만드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런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도 있는데 스위스 로잔 공대의 헨리 마크람 교수 연구팀이 가장 유명합니다. 이곳에서는 대용량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인간의 뇌를 가상현실 속에 만들고 있습니다. 먼저 뇌신경 세포 하나를 컴퓨터 속에 가상으로 만든 다음 이런 뇌세포를 계속 추가해가며 서로 신호를 주고 받도록 만듭니다. 그 숫자가 수만 개, 수백억 개로 많아지면 결국 인간의 뇌처럼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고를 할 수 있게 되겠지요. 진짜 인간의 뇌세포도 ‘뉴런’이라는 세포에서 주고받는 전기자극으로 움직이는 것이니까 언젠가는 ‘사람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인공 뇌’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연구팀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뇌를 다 만들었다면 그 다음엔 여러 가지 학습을 시켜 주면 지능과 감정을 갖는 것도 가능해진다는 게 마크람 교수팀의 생각입니다. 수십 년 후에, 언젠가 진짜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나타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런 ‘인공뇌’가 완성되기를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당장 완벽한 인공지능이 태어나기 어렵다면, 불편한 진실에 기대더라도 ‘쓸만한’ 로봇을 계속 개발해야 하니까요.
관련태그: 휴보이즘, 휴보, 잉키, 메로, 키보, 로봇, 전승민
‘현실세계에 도움되는 기술이 진짜 과학’이라는 모토로 국내 과학기술계 현장을 두 발로 뛰고 있는 과학전문기자. 현재 과학전문 언론사 「동아사이언스」 소속으로 ‘대덕연구 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일원)’를 전담해 취재하고 있다. 의료과학「 로봇「 국방과학 등 실용성 높은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다. 대덕연구단지 인터넷 신문 「대덕넷」 취재기자로 근무했다. 「동아일보」 신문 지면에 과학 기사를 쓰고 있으며「 인터넷 과학포털 「동아 사이언스」 일간뉴스 담당기자로 근무하고 있다. 월간 과학전문지 「과학동아」에도 정기적으로 기사를 게재하고 있다.
<전승민> 저13,500원(10% + 5%)
미국 헐리우드 영화 「로보캅」이나 「아이언맨」이 판타지이고, 일본 혼다자동차의 ‘아시모’가 로봇 산업의 현재라면, 대한민국의 대표 로봇 ‘휴보’의 위치는 어디쯤이 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보는 이미 철지난 구제품 아니냐”며, 아직도 개발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면 깜짝 놀라기도 하고, 로봇 산업에 대해 조금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