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집은 누구를 위한 집인가
우리 모두의 최후의 보루는 가족, 미래보다 현재에 집중해야
지금 우리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일까요.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집을 비워두고 아이들을 닦달하는 이상한 풍경을 우리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그냥 다들 그러니까, 그런 식으로 위안하며, 혹시 모를 자식의 성공적인 대학 입시를 위해 참아야 하는 걸까요. 집을 다시 가족이 사는 곳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건 그냥 우리가 실천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는 대학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족에 있습니다.
나는 날마다 집으로 돌아옵니다. 하루 일과가 잘 마무리되어 집으로 돌아오는 발걸음이 한없이 가벼울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는 얼른 집에 가서 다 잊고 쉬어야지 하는 마음으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열쇠를 꺼내거나 벨을 누른 후, 등 뒤의 세상과 내일 다시 문을 열고 나설 때까지 잠시 이별합니다. 하루의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하고, 밥을 먹고, 텔레비전의 오락프로를 보고, 가족과 그날의 소소한 일상을 나누고, 그리고 잠자리에 듭니다.
집이란 결국 가족이 하나의 지붕 아래 모여 있는 장소입니다. 궁극적으로는 가족이 시작이며 끝이지요. 그러나 요즘의 집에는 가족이 없습니다.
그냥 집만 혼자 있습니다. 그리고 밤이나 12시 넘어 가족들이 자신의 문을 통해 집으로 들어옵니다. 현관에 달린 감지등이 인기척을 느끼고 졸린 눈을 비비며 일어나서 살짝 비추어주고 금세 다시 잠에 빠집니다.
뭐랄까, 집이란 링에 오르기 위해 긴장을 늦추지 않고 심호흡을 하는 복서들의 대기실 같습니다. 집은 그냥 혼자서 비어있는 속을 바라봅니다.
가족이 없는 집, 혹은 가족이 있으나 각자의 방에서 각자의 생각을 하는 현대의 집, 아니 한국의 집. 한국적 특수성이 집에는 그렇게 표현됩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일까요.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집을 비워두고 아이들을 닦달하는 이상한 풍경을 우리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그냥 다들 그러니까, 그런 식으로 위안하며, 혹시 모를 자식의 성공적인 대학 입시를 위해 참아야 하는 걸까요. 집을 다시 가족이 사는 곳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건 그냥 우리가 실천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는 대학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족에 있습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 모두의 최후의 보루는 가족입니다. 미래보다 현재에 집중해야 합니다. 그것이 집입니다.
ⓒ 박영채 |
| |||||||||||||
노은주
1969년 원주에서 태어났다. 홍익대 건축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월간 플러스, 공간사에서 건축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다 수목건축에서는 건축기획을, 서울포럼에서 웹진기획을 했다. 리빙TV의 「살고 싶은 집」, 교보웹진 「Pencil」 등을 통해 비평 활동을 했으며, 1999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는데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중심이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하기 위해 이들은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고, 도시를 산책한다. 그 여정에서 집이 지어지고, 글과 그림이 모여 책으로 엮이곤 한다.
홍익대, 중앙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SALUBIA Time capsule’, ‘외침과 속삭임’(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환원된 집’(이루 갤러리) 등의 전시회를 열었다. 2011년 ‘금산주택’으로 공간디자인대상을 수상했고, 2012년 한국건축가협회 아천상을 수상했다. 2012년 에 멘토 건축가로 출연했으며, 그 외 <명사들의 책읽기> 등에 출연했다. 저서로 《집주인과 건축가의 행복한 만남》 《서울풍경화첩》 《이야기로 집을 짓다》 《나무처럼 자라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등이 있고, <세계일보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임형남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홍익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주)간삼건축, (주)삼우설계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다루다가 (주)SF도시건축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했다. 1999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는데,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중심이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하기 위해 이들은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고, 도시를 산책한다. 그 여정에서 집이 지어지고, 글과 그림이 모여 책으로 엮이곤 한다.
홍익대, 중앙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SALUBIA Time capsule’, ‘외침과 속삭임’(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환원된 집’(이루 갤러리) 등의 전시회를 열었다. 2011년 ‘금산주택’으로 공간디자인대상을 수상했고, 2012년 한국건축가협회 아천상을 수상했다. 2012년 에 멘토 건축가로 출연했으며, 그 외 <명사들의 책읽기> 등에 출연했다. 저서로 《집주인과 건축가의 행복한 만남》 《서울풍경화첩》 《이야기로 집을 짓다》 《나무처럼 자라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등이 있고, <세계일보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13,500원(10% + 5%)
11,700원(10% + 5%)
11,700원(10% + 1%)
13,500원(1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