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를 거듭하며 미국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허클베리 핀을 읽고 배워왔다. 강둑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는 톰 소여를 미국 소년의 전형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도 당연하다.
한니발은 아이들을 데려가도 좋은, 아주 매력적이고 재미있는 마을처럼 보인다. 촌스럽고 유치하게 색색으로 칠한 마을, 남부식으로 예스럽게 느릿느릿 말하는 중서부 사람들, 그리고 옥수수 속대로 만든 담뱃대, 예쁘게 표지 장정을 한 트웨인 소설책, 모형 기차, 누비이불이 선반마다 가득한 공예품 가게를 상상했다. 실용적이면서도 엉뚱한 데가 있는 싸구려 잡화점에 일용품과 플라스틱 장난감이 쌓인 모습.
하지만 마크 트웨인의 한니발은 그런 곳이 아니었다.
샘 클레멘스(마크 트웨인의 본명)는 네 살이던 1839년에 한니발로 이사 왔다. 아버지 존 마셜 클레멘스는 힐 거리에 목조 주택을 지었다. 아버지 클레멘스는 변호사이자 치안 판사였지만 양쪽으로 노력해도 많은 돈을 벌지 못했다. 지은 집을 유지할 여력이 없어 1846년 클레멘스 가족은 길 건너 집으로 이사해 다른 가족과 1, 2층으로 나눠 살았다. 1847년 아버지가 죽고 나서 어머니가 구한 돈으로 가족은 다시 아버지가 지은 집으로 이사 간다. 아버지는 전형적인 남성 부양자라기보다 금전적으로 문제가 많은 사람이었다. 또 당시 남부에서 자행되던 흑인 노예에 대한 폭력과 살인은 예민한 소년의 가슴에 상처로 남았다.
클레멘스는 열일곱에 한니발을 아예 떠났고 다시는 돌아오고 싶어하지 않았다. 자서전에서 그는 한니발을 “나른하고 질척이며 우울한” 곳으로 기억한다. 성장한 클레멘스는 작가가 되었고, 마크 트웨인이라는 가명 뒤로 숨으려 했다. 또한 소설은 소설일 뿐, 진짜는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톰 소여의 모험』을 자기 지시적 소설 기법의 유희로 끝맺는다. “이렇게 이야기를 끝내도록 하자. 이것은 순전히 소년의 모험기이므로 여기서 멈춰야 한다. 더 이상 끌고 가면 남자의 성장기가 돼 버릴 것이다. 청년에 관한 소설을 쓸 때 작가는 어디서 멈춰야 할지 정확히 알 수 있다. 결혼이다. 하지만 유년 시절에 대해 쓸 때는 가능하면 가장 잘 끝낼 수 있을 때 마쳐야 한다.”
마크 트웨인은 곧이곧대로 듣고, 순진하고 반어법을 모르는 미국인의 성향을 조롱하는 데 늘 앞장섰던 사람이다. 그는 철저하게 진정성과는 거리를 둔 사람이었다.
그런데 한니발의 집은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반트웨인적인 동화 나라로 창조되어 있었다. 진실을 오해하고 있을 뿐 아니라, 트웨인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그의 소설이 허구라는 사실을 완전히 잊어버린 듯하다. 마크 트웨인의 어린 시절 집 울타리는 하얗게 칠해져 있다. 그리고 앞에는 ‘사적지: 톰 소여의 울타리’라는 표시가 돼 있었다. 하얀 바탕에 검은 글씨를 돋을새김한 안내판 맨 위에 둥그런 표지까지 붙여놓은 것이다. 하지만 여기는 절대 역사 유적지가 아니다.
트웨인이 이 모든 것을 본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트웨인이 살아서 새로 복원된 동굴과 작가의 집을 보면 얼마나 혹평을 할지, 나는 상상이 간다.
| | |
|
* 마크 트웨인 집 (미주리 한니발) 주소
Mark Twain Boyhood Home and Museum, 120 North Main, Hannibal, Missouri 63401.
전화: 573-221-90l0 운영: Mark Twain Home Foundation. www.marktwainmuseum.org
| |
| | |
-
- 헤밍웨이의 집에는 고양이가 산다 앤 트루벡 저/이수영 역 | 메디치미디어
‘작가의 집’을 소재로, 창작 공간을 우아한 사진에 담고 작가의 문학성을 예찬한 책들은 이미 여러 권 출간된 바 있다. 『헤밍웨이의 집에는 고양이가 산다』는 헤밍웨이, 마크 트웨인 등 미국 현대 문학의 대표 작가 12명의 집을 방문하되, 작가의 집이 실제 작가의 삶을 제대로 그려내고 있는지 찬찬히 뜯어본다. 문학 교수인 저자 앤 트루벡은 작가의 집이 실제 작가나 작품이 아니라 ‘기대되는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면, 어떤 대가의 ‘문학 성지’에 대해서라도 과감하게 독설을 날린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