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고열풍 속 ‘서태지 데뷔 20년’ 주목해야 하는 이유
대한민국 강타한 복고열풍의 명과 암 복고가 ‘진(進)’이 되게 하려면…
복고와 관련해 음악계에서 티아라를 순간 발화의 지점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좀 더 의미 있는 계기나 전기(轉機) 같은 용어를 동원하지는 않는다. 더 큰, 더 의미 있는 ‘현상’이 복고 흐름의 전체적 윤곽을 잡고 그 뒤 이런저런 연결고리와 사회적 이슈를 만들어냈다. 그것은 조금은 갑작스런 ‘쎄시봉’과 ‘나는 가수다(나가수)’와 같은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들의 위력적 부상이었다.
무수히 쏟아져 나온 근래 가요계의 걸 그룹들 가운데 ‘티아라’가 나름 탄탄한 인기 지평을 확보한데는 지난해 「롤리 폴리」의 히트가 크게 작용했다. 이 곡은 올해 초 티아라의 신곡 「러비 더비」가 방송과 음원 다운로딩 차트의 정상으로 솟구치는데 밑거름 역할을 했으며 4월 총선에서 지원유세에 나선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만약 투표율이 70%를 넘으면 티아라의 「롤리 폴리」 춤을 추겠다.”고 발언하게 할 만큼 보편적 인지도를 과시했다.
이 곡이 집단 호응을 일으킨 이유는 노래도 노래였지만 텔레비전을 통해서 소개된 티아라 멤버들의 의상과 춤 때문이었다. 땡땡이 무늬의 블라우스, 맥시스커트, 선글라스, 스카프, 교복, 데님 등을 착용한 의상은 정확히 1980년대 풍이었다. 아이돌 댄스 리듬에 정나미가 떨어진 기성세대는 과거 학창시절의 추억을 자극하는 것에 모처럼 호감의 시선을 보였다. 언론과 누리꾼들은 복고열풍이라고 열을 올렸다.
마케팅을 위한 순간 선택이 분명했음에도 기발했다고 할 수 밖에 없는 티아라의 복고 패션은 점차 확대되어가는 복고에 대한 관심의 범위 내로 우리가(혹은 언론이) 대대적으로 몰려가는 열풍에 길을 터주었다. 그것은 ‘1980년대로 돌아가기’였다. 「롤리 폴리」가 바람을 일으키기 2개월 전 극장가에서는 <써니>의 흥행대박이 터졌다.
이 영화에서는 보니 엠의 「써니(Sunny)」, 리처드 샌더슨의 「리얼리티(Reality)」, 신디 로퍼의 「타임 애프터 타임」(영화에서는 ‘턱 앤 패티’의 것으로 나왔지만), 나미의 「빙글빙글」 등 1980년대에 전파와 음반을 통해 청소년들 사이에서 사랑받았던 가요와 팝이 무더기로 흘러나왔다. 30-40대 주부들은 스토리와 사운드트랙은 물론, 극중 배우들의 옷차림에도 회상에 젖었다. 「롤리 폴리」가 <써니> 뒤에 위치했기에 누군가는 「롤리 폴리」의 티아라를 “써니의 도플갱어”로 규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복고와 관련해 음악계에서 티아라를 순간 발화의 지점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좀 더 의미 있는 계기나 전기(轉機) 같은 용어를 동원하지는 않는다. 더 큰, 더 의미 있는 ‘현상’이 복고 흐름의 전체적 윤곽을 잡고 그 뒤 이런저런 연결고리와 사회적 이슈를 만들어냈다. 그것은 조금은 갑작스런 ‘쎄시봉’과 ‘나는 가수다(나가수)’와 같은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들의 위력적 부상이었다.
쎄시봉과 나가수
2010년 가을 60대의 노병들인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이 MBC의 예능프로 <놀러와>가 마련한 자리 <쎄시봉 콘서트>에 출연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성질의 유려하고 로맨틱한 노래를 선사하면서 새파란 20대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충격과 경이를 몰고 왔다. 이 느닷없는 흐름은 저 옛날 1970년대에 득세했던 포크송의 재림(再臨)이었다. 해를 넘겨 설 특집 TV프로로 확대 편성되면서 더 불길이 높아 오른 쎄시봉 바람은 무교동 소재의 업소 ‘쎄시봉’의 명물이자 당대의 천재인 이장희를 불러들였다.
전국의 악기점들은 고객들이 포크의 중심 악기인 통기타를 일렉트릭 기타보다 더 찾는 것을 보고 쎄시봉 바람을 체감했으며 쎄시봉 시대의 일원인 「물 좀 주소」의 한대수가 지난해 생애 첫 디너쇼를 하게 된 것도 쎄시봉 열풍 덕이었다. 쎄시봉 가수들의 인기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한인들 사이에서도 꼭짓점으로 달아올랐다. 쎄시봉에서 주목할 것은 상기했듯 젊은이들이 반응했다는 사실이다.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이장희의 포크송은 젊은 세대의 청 감수성으로는 과거의 케케묵은 음악, 그들 말로 ‘구린’ 음악일 수 있음에도 소통이 이뤄졌다고 할까.
쎄시봉 열풍은 따라서 젊은 세대 기준으로 가장 멀리 거슬러간 트렌드로 평가받는다. (송창식과 윤형주가 1947년생이라면 현재 대학생인 1990년생 기준에서는 아버지보다 나이가 훨씬 많다) 보통은 길어봤자 한 세대 전으로 복고가 이뤄지는데 반해 1.5세대 혹은 2세대 위로 건너뛰었기 때문이다. 쎄시봉은 새천년 초입에 불었던 ‘7080’ 붐과는 성격이 다르다. 7080 수요자는 대부분 그 문화를 체험한 어른들이었고 7080 트렌드 정체 역시 기성세대의 문화적 역공으로 규정되었다. 쎄시봉은 젊은이들이 귀를 쫑긋 세웠다. 이런 일은 국내 대중음악사상 거의 최초였다.
더 무게가 둔중한 흐름은 하지만 <나가수> 그리고 <슈퍼스타K>, <불후의 명곡>, <위대한 탄생>, <케이팝 스타>와 같은 TV 프로가 꾸려낸 오디션 열풍이었다. 2011년은 ‘오디션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고 당장 지금도 방송은 오디션 형식의 프로에 시청률을 기대하고 있다. 오디션 프로의 순기능은 비주얼과 댄스가 아닌 고전적인 가창력을 음악의 기본으로 소환한 것도 있지만 편곡의 중요성과 함께 잊을 뻔했던 무수한 오래된 명곡이 속속 우리 곁으로 돌아오게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무명과 스타 가수 가릴 것 없이 경합에 참가한 출전자들은 10년 전에서 심지어 30년 전에 유행한 노래들을 불렀다. 조용필의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남진의 「님과 함께」, 신중현의 「미인」, 산울림의 「회상」, 김현식의 「내 사랑 내 곁에」, 박완규의 「천년의 사랑」 같은 올드 송이 돌아온 것이다. 어떤 복고의 흐름도 오디션 프로가 주조해낸 되돌아가기 물줄기에 주도권을 내주어야 했다. 젊은 직장인들의 대화 콘텐츠는 갑자기 소녀시대, 투애니원, 빅뱅, 비스트 등 아이돌 그룹의 신곡이 아니라 시차가 족히 20년은 나는 왕년의 가요 명곡으로 바뀌었다.
관련태그: 복고, 써니, 롤리 폴리, 쎄시봉, 나가수, 1980년대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17,800원(19% + 1%)
네오 소울의 차세대 주자로 주목 받는 복제할 수 없는 진한 음감의 소유자! Amy Winehouse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UK 앨범차트 2주 연속 1위 및 2007 브릿 어워드 최우수 앨범 및 여가수 2개 부문 노미네이트에 빛나는 화제의 2집 신보 앨범! [Back To Black] 이미 유수의 음악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