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30대 경제생활 완전 정복
“한 주식을 3년 이상 팔지 않고 가지고 계십니까?”
우리나라 부자들의 투자 비밀 ‘수익률’
현대사에서 을사늑약 이후 최고의 굴욕으로 평가되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 사건. 우리는 IMF를 떠올리면 ‘대량 해고’ 등 안 좋은 사진들이 먼저 눈앞에 지나가지만 경제 통계 측면에서는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이 있다.
현대사에서 을사늑약 이후 최고의 굴욕으로 평가되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 사건. 우리는 IMF를 떠올리면 ‘대량 해고’ 등 안 좋은 사진들이 먼저 눈앞에 지나가지만 경제 통계 측면에서는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이 있다. 바로 IMF 이후 부자들의 수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위기였지만 현금이 있었던 사람들은 반토막 아래로 내려앉은 주식과 부동산을 사 모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재테크’라는 단어가 일반 사람들에게 퍼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였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부동산 부자가 많을까, 주식 부자가 많을까?
이 질문에 오답을 얘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당연히 우리나라 부자의 90퍼센트 이상은 부동산 부자다. 그럼 또 문제 하나! IMF가 한창이던 1998년 말부터 최근 2010년 말까지, 12년 동안 코스피와 강남 부동산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무엇이 더 월등할까? 지난 12년 간 코스피 수익률은 약 520퍼센트, 강남 부동산 평균 수익률은 약 350퍼센트이다. 게임 자체가 안 된다.
첫 번째 비밀, 수익률은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보자. 당신이 매달 100만 원씩 적금을 부어 1년 뒤 만기가 되면 1,200만 원 조금 넘는 목돈이 생긴다. 그런데 이 시기마다 참 알 수 없는 일이 벌어진다. 적금 만기가 되면 갑자기 차에 이상이 생기진 않았나? 아니면 후배나 동료가 와서 돈을 빌려달라고 하질 않나, 심지어는 부모님이 갑자기 병원에 입원하신다.
만약 같은 상황에서 1,200만 원 남짓 되는 자산이 ‘적금’이 아닌 산간 도서 벽지에 사놓은 ‘토지’였다면 당신은 어떻게 처신했을까?
짐작하다시피 금융은 손대기가 쉽다. “한 주식을 3년 이상 팔지 않고 가지고 있는 분 계십니까?” 필자가 강의 때마다 던지는 질문인데, 거의 매번 ‘Yes 응답률’은 5퍼센트 이내다.
부동산은 워낙 큰 돈이 움직이는 데다, 거래 과정 및 현금화하는 시간 자체가 오래 걸리고, 세금 때문에라도 최소 3년 이상 보유를 하게 된다. 하지만 금융은 그렇지 않다. 보통 소액으로 굴리다 보니 쉽게 중도해지하고, 마음만 먹으면 바로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래서 금융자산은 ‘금리나 시장의 하락 리스크’보다 ‘중도해지의 리스크’가 더 크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중도해지 리스크는 인지하지 못하고 오로지 수익률만 쫓아다니고 있다.
두 번째 비밀, 수익률이 아닌 ‘투자 기간’이 중요하다!
앞선 12년간 수익률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부자들의 투자 노하우는 수익률이 아니다. 한 번 투자했으면 황소걸음 걷듯 천천히 걸어갈 줄 아는 ‘투자 기간’에 그 비법이 있다. 물론 오래 보유한다고 무조건 자산가치가 오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껏 투자에 실패한 이유가 잘못된 투자 결정보다는, 기다림 없는 단기투자 성향 때문이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태양계의 각도도 변하듯, 자산시장의 트렌드도 변하고 있다. 어른들의 경험에서 나오는 진리 ‘집은 무조건 일찍 사고 볼 일이다’의 신화 또한 말 그대로 과거 신화로 전락하고 있다. 앞으로 돈을 굴려 나가는 데 있어 금융자산이 포함되지 않으면 재테크 성공의 길은 요원하다는 얘기다.
그리고 금융자산을 굴릴 때 꼭 명심해야 할 것은, 금융자산도 부동산처럼 최소 3년 이상의 투자 기간을 보고 시작해야 한다는 점이다.
|
물론 3년 동안 손 대지 말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주식종목이나 펀드는 상황이 안 좋아지면 당연히 중간에 갈아 탈 수 있다(자세한 이야기는 펀드에서 하겠다). 단지, 금융 투자 마인드를 부동산 투자하듯 ‘장기간 적정 수익’으로 바꾸라는 이야기다. 이러한 마인드를 갖지 않는다면, 장담컨대 ‘부(富)’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기만 할 것이다.
<최성우> 저13,320원(10% + 5%)
30대 경제생활은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다. 자산관리 여부에 따라 은퇴 후 40년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또한 30대는 자산을 모으고 늘리는 시기로, 인생의 마라톤을 앞두고 출발점에서 어떻게 뛸 것인지 구체적인 청사진을 그려보는 단계이기도 하다. 최근 50대 혹은 60대에 들어서 미리 준비 못한 노후 준비나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