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과학자도 인문학 해야 하지만, 인문학자도 과학 알아야… - 장회익 교수
연구자나 학자보다는 ‘공부꾼’으로 불리길 원하는 물리학자
산다는 것은 무엇이고, 배운다는 것은 무엇일까. 또 우리는 왜 배워야 하며, 어떻게 살아야 할까. 정재승 교수(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가 장 교수를 만났다. 중앙일보와 예스24가 공동 기획한 '희망의 인문학'의 첫 특별 공개 대담에서다. 2003년 퇴임 뒤 충남 아산에 살고 있는 장 교수는 독자들과 만나려고 기차를 타고 서울을 찾았다. 25일 오후 7시30분 서울 상수동 이리카페에서 열린 대담에서 장 교수는 “따로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았다. 연구하던 과학을 삶과 연결해 고민하기 시작하니 사람들이 나를 인문학자로 불렀다. 과학과 인문학은 함께 가야 한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구분하기를 좋아한다. 삶과 죽음, 전통과 현대, 서양과 동양을 나누고 과학과 비과학, 인간과 자연을 구분한다. 인문학과 과학을 별개의 것으로 논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다. 지식과 삶의 분리를 당연하게 여기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장회익(73) 서울대 명예교수가 우리 사회에서 차지하는 자리는 각별하다. 물리학자이면서도 인문학적 주제를 천착해온 그에게 삶은 앎을 추구하는 과정 자체였고, 과학 연구가 곧 철학적 성찰이었다. 그가 주창한 '온생명’은 이 같은 학문의 통합과 소통의 결실이다.
산다는 것은 무엇이고, 배운다는 것은 무엇일까. 또 우리는 왜 배워야 하며, 어떻게 살아야 할까. 정재승 교수(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가 장 교수를 만났다. 중앙일보와 예스24가 공동 기획한 '희망의 인문학'의 첫 특별 공개 대담에서다. 2003년 퇴임 뒤 충남 아산에 살고 있는 장 교수는 독자들과 만나려고 기차를 타고 서울을 찾았다. 25일 오후 7시30분 서울 상수동 이리카페에서 열린 대담에서 장 교수는 “따로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았다. 연구하던 과학을 삶과 연결해 고민하기 시작하니 사람들이 나를 인문학자로 불렀다. 과학과 인문학은 함께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승 : 『공부도둑』은 보통 과학자들이 쓴 자서전과 달랐습니다. 우리도 외국학자들이 쓰는 그런 자서전이 나왔구나 했죠. 너무 즐겁게 읽었고, 많이 권했던 책입니다. 공부해 온 이야기, 소소한 에피소드가 담겨 당시에도 화제가 되었죠. ‘학문이 담긴 창고의 열쇠를 훔치는 공부도둑이 되길 원했다’고 하셨는데요. 교수님의 어린 시절은 어땠나요.
장회익 : 처음부터 특별한 사람이 아니었나 생각하시는데요. 결코 그렇진 않습니다. ‘대단하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어요. 그냥 공부를 즐기는 사람이었지요.
|
|
|
|
|
* 이 기사는 정재승 교수와 장회익 교수 대담 기사 중 전반부입니다. 전문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장회익 교수 대담 기사 전문 보기
관련태그: 장회익
<장회익> 저13,500원(10% + 5%)
온생명 녹색사상가 장회익의 70년 공부인생 이야기 배우는 사람 장회익의 아름다운 공부인생을 담은『공부도둑』. 이 책에는 저자의 집안 내력과 부모님에 대한 이야기, 어린 시절 학업을 중단했던 이야기, 청주공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유학 시절 등과 같이 한평생 몸과 마음으로 공부한 공부인생이 풍성하게 담겨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