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예스 책꽂이 > 김진경의 ‘신화로 읽는 세상’
바람의 현대적 의미 - 김진경의 신화로 읽는 세상
김윤식은 어느 글에선가 김소월은 우리 언어의 가장 깊은 지층인 고생층(古生層)에 닿아 있는 시인이고, 서정주는 삼국시대로 거슬러올라가는 불교적(佛敎的) 지층에 닿아 있는 시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바람의 현대적 의미
김윤식은 어느 글에선가 김소월은 우리 언어의 가장 깊은 지층인 고생층(古生層)에 닿아 있는 시인이고, 서정주는 삼국시대로 거슬러올라가는 불교적(佛敎的) 지층에 닿아 있는 시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맞는 말이다. 김소월의 시가 닿아 있는 것은 삼국시대 훨씬 이전의 유목적 지층이며, 우리 언어의 가장 깊은 뿌리 부분이다. 그래서 김소월의 시는 서구 문학이론으로는 제대로 접근하기가 어렵다. 유목민들의 언어인 우랄알타이어, 그에 속한 한국어가 형성되어 나온 배경과 특징, 그것을 담은 신화들에 바탕을 둬서 접근하지 않으면 김소월의 시는 제대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얼핏 보기엔 무척 단순해 보이는 시인데 어떻게 그렇게 깊고 큰 울림을 주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김소월의 시가 우리 언어의 가장 고대적인 지층에 닿아 있다고 해서 케케묵은 과거인 것은 아니다. 가장 깊은 뿌리에 닿아 있다는 것은 가장 강한 생명력으로 끊임없이 되살아온다는 걸 뜻한다. 그래서 대표적 모더니스트인 김수영의 절창 「풀」에서 김소월 시의 바람을 만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 김수영, 「풀」 전문
이 시를 김소월의 시와 비교해보면 바람과 시적 화자의 관계가 거꾸로 뒤집혀 있는 걸 알 수 있다. 김소월의 시에서 시적 화자는 제자리에 멈추어 서서 불어왔다 가는 바람을 운명처럼 받아들이며 애상에 잠겨 있는 수동적 존재이다. 그런데 김수영의 시에서는 거꾸로이다.
위 시의 1연에서는 바람이 능동적인 존재이고 풀은 동풍이 불어서 눕고 날이 흐려서 우는 수동적 존재이다. 그런데 이 관계는 2연에서부터 역전이 되기 시작한다. 풀은 바람보다 빨리 눕고 바람보다 빨리 울고, 바람이 부는 강도보다 훨씬 더 깊이 눕기도 한다. 풀은 단순히 부는 바람이나 날씨에 일방적으로 좌우되는 존재가 아니다. 3연에서는 바람과 풀의 관계가 완전히 역전된다. 풀은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바람보다 늦게 울어도/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3연에서는 풀이 능동적 존재이고 바람은 그 풀의 행위에 의해 자신을 드러낼 수밖에 없는 수동적 존재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