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세상의 큰집에서는 추어탕을 끓인다

사실 우리 집에서 추어탕을 끓인 기억은 한 번도 없다. 왜냐, 우리 집은 딸만 셋이기 때문에. 아니, 딸만 있는 집이라고 어째서 추어탕을 못 끓여 먹는단 말인가? 그러나 그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사실 우리 집에서 추어탕을 끓인 기억은 한 번도 없다. 왜냐, 우리 집은 딸만 셋이기 때문에. 아니, 딸만 있는 집이라고 어째서 추어탕을 못 끓여 먹는단 말인가? 그러나 그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미꾸라지는 가시내들이 잡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법으로 정해진 건 아니지만 하여간 그랬기 때문에. 미꾸라지 잡는다고 그 하얀 종아리 흙탕물에 넣고 싶지는 않기 때문에(촌가시내들이라도 소녀랍니다! 그래서 우리 가시내들은 머시매들이 흙탕물 범벅을 하고 미꾸라지 잡는 논둑에서 새침하게 구경만 한답니다. 우리가 구경하고 있으면 머시매들은 흙탕물 못 뒤집어써서 안달이랍니다. 우린 미꾸라지보다 흙탕물 못 뒤집어써 안달이 난 그 머시매들 구경이 더 재미났지요!). 각설하고, 아무리 맑은 웅덩이도 미꾸라지 한 마리만 떴다 하면 금방 흙탕물이 되고 마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정말 ‘미꾸라지 한 마리 때문에’ 혹은 ‘미꾸라지 같은 한 놈 땜에’라는 말이 실감이 난다.

추어탕을 안 끓여주면 미꾸라지도 불에 그슬려 먹을 놈들

미꾸라지는 손으로 잡으려면 아마 영원히 잡히지 않을 것이다. 미꾸라지는 손에 잡힐 만하면 진짜 미끄럽게 잘도 빠져나간다. 미꾸라지 잡는 머시매들을 보고 있으면 내 속이 다 답답하다. 지금까지 내가 써온 먹을거리 중 대다수는 여자들, 혹은 우리같이 여자아이들 손에서 채취되어 밥상에 올랐다. 그런데 이제야 남자들 혹은 남자아이들에 의해 거두어진 먹을거리에 대해 쓰게 되었다. 그러나 또 그것을 요리하는 것은 엄마들이나 우리 여자들 몫이다. 그러니 결과적으로 남자들, 더군다나 머시매들은 여자들 아니면 굶어죽게 생겼다.

그래도 머시매들은 어떡하든 안 굶어죽으려고 그랬는지 어쨌는지, 언젠가 보니까 뱀을 잡아서 신문지에 싸가지고 불에다 구워 먹더라니. 그러고 또 언젠가는 옛날 문둥이들이 살다 간 굴에서 연기가 나기에 들여다보니 머시매들이 나무에 토끼를 꿰어 바비큐를 해먹고 있더라니. 하긴, 즈이 엄마나 누나나 여동생이 추어탕을 안 끓여주면 미꾸라지도 그냥 불에다 그슬려 먹을 놈들이다, 그러고도 남을 놈들이다. 종철이, 승택이, 준택이, 정택이…… 나는 너희들이 통명산 작은 정재나무 굴속에서 무슨 짓을 했는지 알고 있다.

추어탕 없으면 가을은 없다

추어탕이라는 말도 있듯이 미꾸라지가 가장 맛있을 때는 가을철이다. 추수를 하려고 논에 물을 빼면 미꾸라지들이 논바닥에서 누렇게 파닥거렸다. 그걸 그냥 주워 담기만 하면 될 것 같은데 미꾸라지는 워낙 미끄럽고 뻘 같은 논바닥 속으로 잽싸게 몸을 잘 피해 그러지는 못하고, 웅덩이를 파고 삼태기로 건져올렸다. 그걸 집에 가져와 소금으로 숨을 죽인 다음에 폭 고아서 얼개미에 내린 다음에 씰가리(*시래기.)를 넣고 된장기도 좀 하고 확독에다 쌀과 생고추와 마늘을 함께 갈아 붓고 거기에 젬피가루를 넣으면 걸쭉한 추어탕이 완성된다.

가을걷이 때가 되면 날은 으실으실 춥고 몸은 사방이 안 아픈 데 없이 아프고, 아침에 눈뜨면 손가락이 펴지지 않을 만큼 날마다 고되기만 하다. 그럴 때 추어탕 한 솥 끓여놓으면 가을걷이 일꾼들 먹을거리 걱정은 안 해도 된다. 일꾼들은 멀건 된장국 먹고는 일을 못 한다. 고깃국은 못 줘도 추어탕 정도는 끓여줘야 한다. 그러고 보면 가을의 농부들이 몸을 의지하는 것은 추어탕이다. 추어탕을 안 먹고는 나락도 못 베고 콩도 못 거두고 고구마도 못 캔다. 추어탕 없으면 가을은 없다.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햅쌀밥에 구수한 추어탕 한 그릇.

아, 몸과 마음에 꽉 찬 가을, 꽉 찬 행복! 그 정도는 먹어야 ‘아, 우리가 먹고 살려고 일을 하는구나.’ 실감이 난다. 적어도 햅쌀밥에 미꾸라지 살 톱톱한 추어탕 정도 먹으라고 우리가 그렇게 일을 하고 살았구나, 하고. 일꾼들에게 추어탕은 일 년 농사의 부상이다. 쌀은 본상이고 미꾸라지는 부상이다. 부상은 일종의 보너스다. 보너스는 많을수록 기분 좋다.

선옥아, 저녁에 추어탕 끓일 텡게 와서 불 좀 때도라

우리 집은 논이 없었다. 아버지는 논을 사기 위해 객지로 돈을 벌러 갔고, 아들이 없는 우리 집은 그래서 추어탕 먹기가 어려웠다. 논도 없고 아들도 없고 아버지도 없으니 추어탕을 끓일 만한 여건도 아니고, 추어탕 끓여놔도 누가 먹을 만한 사람이 없었다. 미꾸라지는 주로 남자 아이들이 잡고 추어탕은 주로 남자 어른들이 먹었다. 그러니 나나 우리 가족들이 먹은 내 기억 속의 추어탕은 거의 우리 집에서 끓인 추어탕이 아니라 남의 집에서 끓인 것들이다. 딸이 없는 집들이 얻어먹은 돈부죽이랄지, 봄철 나물 반찬들이 거의 다른 집들에서 온 것이듯이.


그런데 남의 집에서 만들어 내게 온 음식이라도 우리 집 음식 같다. 나나, 우리 언니나, 내 동생이나, 혹은 우리 엄마도(그리고 다른 집의 딸들과 그 엄마들도) 가까운 이웃집에서 그날 특별한 음식을 한다 하면 그 집에서 가서 최소한 불을 때주고 한 끼를 해결하고 돌아오는 것이 하나도 이상할 게 없는 시절이었다. 우리가 안 가면 그 집에서 오라고 몇 번이나 발걸음을 하고, 그래도 안 가면(대부분 일이 바빠서 못 가면) 기어코 음식을 가지고 왔다. 그러니 그 집 음식이 우리 집 음식이요, 우리 집 음식이 또 그 집 음식이 되는 것이었다. 돈부죽을 끓여도 그러는데 추어탕은 말해 무엇 하랴. 그 집 엄마는 당연하다는 듯, 꼭 내가 자기 딸인 것처럼, “선옥아, 저녁에 추어탕 끓일 텡게 와서 불 좀 때도라”고 했다. 그러면 나는 내가 그 집 딸인 것처럼 익숙하게 그 집 부엌에서 불을 때고 마늘을 까고 설거지를 하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 아이들은 동네 어른들이 공동으로 ‘쓰는’ 자식들이었다. 윗집 사는 셋째라는 머시매는(그 애 집은 딸은 없고 아들이 일곱인가 여덟인가 그랬다. 그래서 첫째 둘째는 기호, 기수인데 셋째부터는 그냥 셋째, 넷째 식으로 불렀다) 우리 엄마가 “아이 시째야, 우리 집 소가 말을 안 듣는다. 니가 와서 좀 소막에 들여넣어주라”고 하면 냉큼 와서 소를 외양간에 들여놓아주는 것은 물론 소여물까지 썰어주고 갔다. 나는 지금도 셋째를 고맙게 생각한다.

기쁨과 슬픔을 함께 먹는 기분

맛있네 맛있네 해도 우리 큰집 추어탕만큼 맛있는 게 또 있을까. 나는 솔직히 우리 엄마가 한 음식보다 우리 큰엄마가 한 음식이 더 맛있었다. 우리 집은 아버지도 없고 딸만 셋이라 밥상이 그리 걸지도 못하고 늘 헌 반찬 위주라 윤기가 없었다. 그러다 큰집에 가면 할아버지, 큰아버지도 계시고 사촌들도 많아서 밥상이 걸고, 우리 큰엄마 음식 솜씨가 좋아 또 밥상에 윤기가 돌았다. 나는 내가 우리 큰아버지 딸로 안 태어나고 우리 아버지 딸로 태어난 것이 얼마나 원통했던가. 내가 큰집 딸로 태어났으면 음식에 관한 이 글들도 훨씬 풍성했을 텐데. 적어도 추어탕을 다른 집에 갖다 주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썼으면 썼지, 얻어먹는 ‘안 쓰고 싶은 이야기’는 쓰지 않아도 됐을 터인데.

하지만 나는 써야 한다. 그리고 쓸 수밖에 없다. 그 가을에 논이 없었던 우리 엄마가 품을 팔러 간 집들에서 먹었던 추어탕에 대해서. 그때는 품앗이든 품팔이든 주인집에서 점심과 저녁을 주었다. 그러면 놉(일꾼)의 아이들까지 가서 밥을 먹었다. 그것은 얻어먹는 게 아니라 당연히 가서 먹는 것이다. 울 엄마 따라가서 먹었던 그 숱한 추어탕들. 그래서 나는 지금도 추어탕을 먹을 때면 엄마 따라 가서 먹었던 집들의 추어탕들이 떠오른다. 아들 많고 논도 많고 식구들 많고 북적북적했던 집들, 마당에는 볏가리가 그득한 집들(그 집들은 대부분 큰집들이었다). 오래된 나무대문은 우람하고 시억시억한 상머슴에 말 잘 듣는 꼴머슴이 서늘한 저녁인데도 우물물을 퍼서 푸푸거리며 등목을 하는 집.

추어탕은 내게 가을의 풍성함과 함께 내가 가지지 못한 것들에 대한 결핍감을 동시에 일깨우는 음식이 되었다. 추어탕을 먹을 때면 기쁨과 슬픔을 함께 먹는 기분이 든다. 나는 아버지에게서 토지를 물려받지 못한 가난한 할아버지의 작은아들의 딸이다, 작은집 애다. 작은집들은 추어탕을 별로 안 끓여 먹는다. 더구나 딸만 있는 작은집이니. 추어탕은 아들 많은 큰집들에서 끓인다. 가을 저녁이면 세상의 큰집들은 아들들이 잡아온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이느라고 부산하다.

큰어머이 기다려요, 선옥이가 가서 불 때드릴게요오!

※ 운영자가 알립니다.
『행복한 만찬』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24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행복한 만찬

<공선옥> 저10,800원(10% + 5%)

공선옥이 먹고 자란 것들을 둘러싼 환경들, 밤과 낮, 바람과 공기와 햇빛, 그것들을 대하는 사람들의 몸짓과 감정들이 실린 스물여섯 가지 먹을거리 이야기을 담은 음식 산문집. 봄이면 쑥 냄새를 좇아 들판을 헤매고, 땡감이 터질듯 무르익는 가을이면 시원한 추어탕 한 솥을 고대하던 지난시절의 기억들을 소복한 흰 쌀밥 ..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나를 살리는 딥마인드

『김미경의 마흔 수업』 김미경 저자의 신작.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아왔지만 절망과 공허함에 빠진 이들에게 스스로를 치유하는 말인 '딥마인드'에 대해 이야기한다. 진정한 행복과 삶의 해답을 찾기 위해, 마음속 깊이 잠들어 있는 자신만의 딥마인드 스위치를 켜는 방법을 진솔하게 담았다.

화가들이 전하고 싶었던 사랑 이야기

이창용 도슨트와 함께 엿보는 명화 속 사랑의 이야기. 이중섭, 클림트, 에곤 실레, 뭉크, 프리다 칼로 등 강렬한 사랑의 기억을 남긴 화가 7인의 작품을 통해 이들이 남긴 감정을 살펴본다. 화가의 생애와 숨겨진 뒷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현대적 해석은 작품 감상에 깊이를 더한다.

필사 열풍은 계속된다

2024년은 필사하는 해였다. 전작 『더 나은 문장을 쓰고 싶은 당신을 위한 필사책』에 이어 글쓰기 대가가 남긴 주옥같은 글을 실었다. 이번 편은 특히 표현력, 어휘력에 집중했다. 부록으로 문장에 품격을 더할 어휘 330을 실었으며, 사철제본으로 필사의 편리함을 더했다.

슈뻘맨과 함께 국어 완전 정복!

유쾌 발랄 슈뻘맨과 함께 국어 능력 레벨 업! 좌충우돌 웃음 가득한 일상 에피소드 속에 숨어 있는 어휘, 맞춤법, 사자성어, 속담 등을 찾으며 국어 지식을 배우는 학습 만화입니다. 숨은 국어 상식을 찾아 보는 정보 페이지와 국어 능력 시험을 통해 초등 국어를 재미있게 정복해보세요.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