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예스 책꽂이 > 착한 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
정규 씨는 농아자다.
내가 시각 장애자나 청각 장애자를 만날 때마다 느끼는 것은 ‘맑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착하다’ 혹은 ‘순하다’라는 느낌과는 다르다. 보통 ‘착하다’와 ‘순하다’는 것은 보편적인 이해관계에 대해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한다거나, 혹은 위해한 자극이 주어질 때 이에 대한 반응 강도가 낮다는 의미와도 같은 것이지만, 이분들에게서 느끼는 ‘맑다’는 것은 좀 다르다.
이분들은 기본적으로 ‘이해’나 ‘타산’에 대해 우리네 일반인들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월급을 받는데, 내 급여가 다른 사람들보다 적다면 누구나 그 점에 대해 화를 내게 마련인데, 만약 그것을 참는다면 그 사람은 착하거나 아니면 턱없이 순한 사람이다. 혹은 동료들끼리의 술자리에서 매번 한 사람에게만 술값을 내게 하는데, 선선히 술값을 낸다면 역시 그 사람은 턱없이 순하거나 착한 사람이다.
그렇지만 만약 누군가가 같은 일을 하면서도 급여를 적게 받고, 게다가 감사하는 마음까지 가진다면, 우리가 ‘그 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나쁜 점이나, 혹은 이 사람에 대해서 바보라는 보편적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 한’ 그 사람은 ‘맑다’.
정규 씨가 그랬다.
정규 씨는 태어날 때부터 듣지도 못하고 말도 하지 못했다. 언어란 개념이고 생각은 언어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음모나 욕심, 증오나 분노도 모두 언어로 구성되고, 또 그것은 말이 되어 입 밖으로 나온다. 그러면 그 말은 다시 다른 말을 부르고 그것은 내 안에 욕심 덩어리로 똬리를 틀게 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그는 ‘맑다’. 내가 ‘그래서 맑다’라고 말하는 이유는, 정규 씨가 우리 정상인들처럼 ‘말’로 이루어진 죄를 짓지 않아서 맑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규 씨는 병원에 올 때도 칠십 노인인 홀어머니의 손을 잡고 온다. 그는 나이가 내 또래이지만 욕심이 없다. 그렇다고 지능이 특별히 낮은 것도 아닌데 우리 정상인의 기준으로 보면 약간 바보스러운 데가 있다(아니 그렇게 보이는 데가 있다).
그것은 아마 어릴 때부터 밀림에서 늑대 젖을 먹고 자란 아이처럼 우리 사회의 세속적인 개념들을 잘 익히지 못해서일 것이다. 그는 병원비를 3,000원 낼 때도 만 원짜리를 낸다. 거스름돈은 주면 받고 안 주면 그냥 ‘씨익’ 웃고 만다. 버스를 탈 때도 자장면을 먹을 때도 마찬가지다. 모르긴 해도 껌을 한 통 사더라도 그렇게 할 것이다.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지능이 낮아서 그런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의사인 내가 판단하기에는 결코 그렇지 않다. 다만 정규 씨는 어린 시절부터 영악하게 세상 사는 법을 배우지 못했을 뿐이다.
그저께 그가 노모의 손을 잡고 병원에 왔다.
나는 정규 씨의 손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않다. 그의 손은 거칠고 손등이 거북이 등가죽처럼 갈라진 데다 손바닥은 항상 벌겋게 부어 있다.
|
|
|||
<박경철> 저9,000원(10% + 5%)
시골의사 박경철이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이후 2년 만에 내놓는 에세이집. 작가가 신문, 잡지 등에 기고한 글과 따로 쓴 몇 편의 글을 모은 것이다. 작가 박경철은 두 편의 에세이에 이어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경제방송을 진행하는 방송인, 증권사 신입사원에게 투자를 가르치는 애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