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바나나박사 물리학에 쪼인트 맞다
애인한테 차인 기억을 지울 수 없나요?
잊고 싶어도 잊을 수 없는 아픈 기억의 딜레마
뇌의 기억은 사리지기 위해 존재한다. 언젠가는 모든 기억이 사라진다. 하지만 사람들의 아픈 추억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아픈 기억을 쉽게 지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마지막 순간 뇌가 깜빡거림을 멈추면 그 후엔 아무것도 없다”
최근 논란이 된 양자 우주론의 대가 스티븐 호킹 박사의 말이다. 사람이 죽으면 천국도 없고 지옥도 없는 망가진 컴퓨터와 같은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물리적 근본은 뇌에 존재하는 전기적 에너지가 사라지면 제로의 세계, 땅으로 사라진다는 의미다. 물리적으로 땅은 제로 상태의 역학적, 전기적 에너지를 갖기 때문이다.
아픈 기억은 지우기 어렵다
뇌의 기억은 사리지기 위해 존재한다. 언젠가는 모든 기억이 사라진다. 하지만 사람들의 아픈 추억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아픈 기억을 쉽게 지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없다. 기억이란 무엇인가? 어떤 상황에 대해 정보를 뇌에 전기적 신호로 남겨놓았다 다시 잠시 끄집어내는 기능을 말한다. 물론 장기적인 기억과 단기적인 기억이 있다. 아픈 추억이나 즐거웠던 추억은 장기적인 기억이다. 이런 기억은 뇌 속 시놉시스에 확고한 흔적으로 남기 때문에 지우기 어렵다.
격렬하게 즐거웠던 기억 중 하나인 한일 월드컵을 어느 누가 머릿속에서 지울 수 없다. 이런 기억은 뇌 속 시놉시스에 흥분과 함께 각인된 신호로 절대 지워질 수 없다. 또 다른 기억으로 자신이 심하게 무시당했다든지, 애인에게 처절히 채였다든지, 심하게 쪽팔린 일이라든지, 너무 슬퍼서 다른 사람에게 말도 꺼내고 싶지도 않은 기억은 심장에 박힌 못처럼 절대 잊혀질 수 없다.
인간의 성장은 기억의 축적이다. 매일 매일 새로운 기억을 집어넣고 필요 없는 기억은 버리며 하루를 마감한다. 입력하고, 저장하고, 꺼내는 이 세 단계 중 하나에 이상이 생기면 뇌로서의 기능이 사라진다. 치매에 걸리면 정보를 입출력하는 신경세포에 이상이 생겨 기억을 못하게 되는 이치다.
|
|
|
관련태그: 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