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God Save The ‘Queen Mary’- 메리 제이 블라이즈 내한 공연

여왕 폐하여 영원하라!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1월 16일, 경희대 평화의 전당 무대 위에 오른 메리 제이 블라이즈는 분명 힙합 소울의 여왕이었다.

여왕 폐하여 영원하라! 1월 16일, 경희대 평화의 전당 무대 위에 오른 메리 제이 블라이즈는 분명 힙합 소울의 여왕이었다. 쩌렁쩌렁한 울림은 아우라의 위엄이 깃들어 있었으며, 온몸을 짜내며 흐느끼는 울음에서는 공감을 이루는 자애심이 느껴졌다. 월드 투어 <Music Saved My Life>의 일환으로 아시아 지역의 첫 관문이었던 최초의 한국 행차에, 관객들은 2000년대의 디바가 과연 누구인지 온몸으로 만끽했다.

객석은 주로 일부 흑인들과 20대 여성으로 꽉 채워졌다. 이는 곧 그녀의 음악을 집약하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유연하게 튀어 오르는 바운스가 매력인 힙합 스타일의 곡과, 여성의 심정을 대변하는 소울 풍의 알앤비 넘버들이 그녀의 위상을 존재케 한 공신들이었다. 다행히도 이날은 무려 30곡에 가까운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두 갈래의 스타일을 모두 감상할 수 있었다.


‘안녕하세요, 코리아!’를 우렁차게 외치고 한걸음씩 걸어 나오며 쇼는 시작했다. 타이트하게 달라붙은 검은 가죽 슈트를 입었기에 튼실하게 발달한 신체가 더욱 부각되었다. 이것이 불혹을 넘긴 나이에도, 두 시간동안 줄기차게 이어온 공연에서 지친 기색하나 내보이지 않던 이유였다. 댄서들과 일체가 되어 격한 안무를 춰도, 제 감정에 못 이겨 혼신을 다해 부르짖을 때에도 호흡은 여전히 생기가 나돌았다. 몸으로 노래를 폭발했기 때문이다.

래퍼 더 게임(The Game)의 「Hate it or love it」을 샘플링한 「MJB da MVP」가 시작을 끊고, 다크차일드(Rodney ‘Darkchild’ Jerkins)가 프로듀싱한 「The one」과 「Enough cryin'」등 최근에 발표한 클럽 풍의 싱글들이 연이어지자 관객들은 모조리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녀도 이에 화답하듯 「Be happy」를 부르면서 선글라스를 벗고 본모습을 드러냈다. 뭐에 홀린 듯이 몸을 흐느적대며 초기 최고 히트곡인 「Real love」가 흘러나오자 공연장의 분위기는 최고조에 다다랐다.


흥미로운 광경도 포착되었다. 오른쪽 관객석에 밀집해있던 흑인 팬들은 흔치 않은 흑인 아티스트의 내한공연을 기다렸다는 듯이 완전히 공연에 심취했다. 특히 노먼 휘트필드(Norman Whitfield) 사단의 소울 밴드인 로스 로이스(Rose Royce)의 곡을 리메이크한 「I'm going down」을 부르자 이들의 얼굴에 환한 미소가 그려졌다. 박수를 치며 몸을 맡기는 풍경의 기시감은 AFKN에서 접할 수 있었던 소울 트레인 쇼(Soul Train Show)와 연결되었다.

격렬했던 전반부의 열을 식히지 못했는지 그녀는 웃옷을 벗어 흰색 탱크탑을 입은 채 다시 무대 위로 걸어 나왔다. 후반부에 에너지를 쏟아 부으며 공연의 백미를 연출했기에 열을 방출해야 했다. 그녀의 대표적인 알앤비 곡들은 이별 후의 쓰라림을 다룬 경우가 많다. 뮤지션의 길을 걸으면서도 굴곡진 삶을 살았던 회한이 그대로 투영되어 공감을 주었던 것이다. 이날도 「Your child」나 「I never wanna live without you」에 이어, 주먹을 불끈 쥐며 흑인 보컬의 파괴력으로 압도한 「Not gon' cry」를 부르고 나서는 온몸에 진이 빠지도록 열창했다. 노래가 멈춘 후, 순간의 정적이 흐르자 관객은 경탄을 금치 못하며 모두 다 기립박수로 응답했다.


워낙 혼을 빼놓게 하는 공연이었던지라, 「Just fine」과 빌보드 싱글 정상에 오른 「Family affair」를 부르자 벌써 마무리에 도달했다는 사실에 아쉬움이 밀려왔다. 하지만 관객들은 「Just fine」의 후렴구를 블라이즈와 함께 연호하며 끝까지 음악을 즐겼다. 마지막 앙코르곡인 「Be without you」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뜨는 관객들을 찾아볼 수 없었다. 「Be without you」의 후반부를 멋진 드럼 연주로 마무리한 투어 밴드의 퍼포먼스가 콘서트의 마지막 방점을 찍었다.

서두에 따뜻한 환대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공연 후 감동을 받고 돌아갈 것을 보증한 그녀의 약속은 200% 지켜졌다. 힙합을 좋아하는 20대 전후의 젊은 세대나, 감미로운 발라드를 사랑하는 부모 세대 모두, 올 겨울 최고의 추위에도 불구하고 공연장을 찾은 가치를 얻고 홀을 나섰을 것이다. 얼마만큼 객석이 찰 것인가에 대한 우려도 기우에 불과했다. 이보다 더 드라마틱한 여성 팝 보컬의 공연을 접할 수 있을까! No More Drama!

글 / 홍혁의 (hyukeui1@nat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오늘의 책

김훈이 담아낸 시대의 눈물과 웃음

우리 시대 문장가 김훈의 신작 산문집. 생로병사의 무게를 실감하며 지나온 그의 치열했던 '허송세월'을 담은 책은 간결하고도 유려한 글맛으로 이 시대의 기쁨과 슬픔을 마주한다. '본래 스스로 그러한 세상'을 파고들어 삶의 비애와 아름다움을 포착한, 김훈 산문의 미학을 만나볼 시간이다.

사라질 직업에 관한 세밀화

『고기로 태어나서』 한승태 신간. 기술 발달로 없어질 확률이 높은 직업과 작업장의 모습을 세밀하게 담았다. 그 대상은 직업 소개소, 콜센터, 택배 상하차, 뷔페식당, 빌딩 청소다. 힘들고 괴로운 노동 현장이 마냥 슬프지만은 않게 느껴지는 건, 한승태 저자의 필력 덕분이다.

우리는 서로를 계속 안아줄 수 있을까?

한국 청소년 문학의 가장 뜨거운 이슈, 이꽃님 작가 신작. 『죽이고 싶은 아이 2』가 이꽃님 월드의 완벽한 결말을 알린다. 서은의 죽음에서 시작된 두 여고생의 진실과 믿음, 그 절망 끝에서 피어난 희망을 그렸다. 아무리 무너져 내린 삶이라도 다시 일으켜 세워야만 하는 것이 삶이므로.

나만의 ETF 투자 전략

국내 최고의 ETF 전문가인 김수정 저자가 ETF 투자를 위한 모든 것을 한 권에 담았다. ETF의 종류부터 투자자가 알아야 할 내용과 투자 전략까지 상세히 다룬다. 안전하고 성공적인 투자는 물론, 나에게 맞는 ETF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데 최적화된 투자서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