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2010 남아공 이야기
[정혜윤의 월드컵 관전기]
나는 부부젤라 소리에 제목을 붙여주고 싶다
나는 부부젤라 소리에 제목을 붙여주고 싶다. 아프리카여. 아픈 대지여. 식민지 국경선의 조국들이여. 힘껏 나팔을 불어라. 대지가 진동하도록. 진정한 고요를 찾아서. 그 옛날 요루바족 전사들이 위험을 알리는 악기를 불어댔듯이.
나의 오빠가 축구장에서 맹장으로 쓰러진 이래 축구는 우리 집안의 금기였다. 그 여름의 흙먼지 가득한 운동화는 불운의 상징이었고 불효의 상징이었고 (좀 복잡한 논리로) 처음 만난 고통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래서 우리는 축구를 경험이 아니라 체험으로 사랑하기로 맘먹었다. 우리는 축구보다 축구 선수의 동작들을, 축구보다 축구 선수의 가능성과 망설임과 해석의 여지를, 축구보다 축구선수들의 삶을 사랑했다. 우리는 축구에서 페어 플레이란 말을 처음 배웠으며 격렬하게 몸을 쓰는 ‘전사인 동시에 신사인’ 남자들을 처음 알게 되었다. 팀이면서도 개인인 것, 테크닉이면서도 정신인 것, 스포츠면서도 춤인(이를테면 나는 메시의 동작을 보면서 ‘let there be love’를 흥얼거리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것 역시 축구를 보며 알게 되었다.
나는 ‘한 사람은 모두를 위해, 모두는 한 사람을 위해’ 같은 모토(비록 <삼총사> 주제가인 「all for one」 같기는 하지만)에 대해 생각해보기 시작했고 승리한 팀만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혹은 승리할 때만 팀을 사랑해서 안 된다는 최소한의 도덕 몇 가지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좀 더 시간이 흐른 뒤에는 ‘페어 플레이하다’라는 말 자체가 주는 복잡한 의미도 알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페어(fair)하고 싶다고 해서 아무나 페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란 것을 눈치 채게 되었다. 페어하기 위해선 적어도 늘 불리하지는 않아야 했다. 나는 몇몇 선수들의 페어(fair)함에도 혹은 페어하지 못함에도 깊이 끌렸다.
그리고 또 나는 이런 말에도 끌렸다. 이를테면 아르헨티나전을 끝내고 박지성이나 허정무 감독이 한 말, “아르헨티나전은 이제 잊었습니다. 나이지리아전을 준비하겠습니다.” 이 말은 일상적인 말 같지만 그러나 나는 바로 이런 말들에서 ‘끝은 시작이다’란 말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끝은 시작이다.’ 이 문장은 영원한 반복을 말한다. ‘끝은 시작이다.’ 이 문장은 다음 경기. 다음 게임을 맞는 정신 상태를 말하는 것 같지만 너무나 답답한 나머지 슬프고 신비롭기까지 한 삶의 구조를 말하기도 한다. ‘끝은 시작이다’라는 말은 영원한 반복에의 도전. 영원한 반복에의 신성한 신봉이자 조롱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들은 축구를 생사가 걸린 문제라고 여긴다. 나는 이런 태도가 맘에 들지 않는다. 다시 말하지만 축구는 그보다 (삶보다) 훨씬 중요한 일이다”라는 빌 생클리 감독의 말이야말로 이 월드컵 기간에 내가 가장 자주 생각하는 그 무엇이다. 축구가 삶보다 훨씬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어쩌면 축구가 끝과 시작 사이에 놓여 있어서 아닐까? 우리는 모두 끝과 시작 사이에 무언가를 두고 싶어 하고 그것이야말로 우리의 본질적으로 가장 진지하고도 엄숙한 소망 아닌가? 인생의 어느 순간 우리는 ‘삶보다 훨씬 중요한 무슨 일인가를 찾아내는 것’이 삶보다 훨씬 중요한 것이란 듯 굴기도 한다. 나는 이 월드컵 기간의 비명을 지르게 하는 뜨거운 열기 속에서, 광장을 가득 매운 붉은 호흡 아래서 바로 그 기운을 감지한다. 끝과 시작, 일상과 반복, 권태와 환멸에 절대 굴복할 수 없다는 황홀한 반란과 일탈.
기대하지 못하는 순간에 골이 들어가길 기대하게 하는 것. 불안한 가운데 소망을 품게 하는 것, 어떤 뜨거움의 내부로 우리도 빨려 들어가게 하는 것, 결코 우리를 차분하게 두지 않는 것들, 필드 전체를 가로 지르며 뛰던 1986년의 마라도나, 1990년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무찌르며 카메룬을 세계지도에 그려 넣은 카메룬 선수들. 정대세가 뛰어올라 주고, 지운남이 받아 넣은 골, 파라과이의 산타크루스, 이탈리아의 맹공을 막아낸 뉴질랜드의 골키퍼 마크 패스턴, 뒷골목 빈민촌 냄새와 정열과 도약의 냄새를 풍기는 선수들, 축구공을 그녀라 부르며 사랑하는 선수들, 모두 축구의 매력이다. (이 글을 쓰는 지금 막 정대세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그의 티셔츠 아래 어떤 그림이 있는지 우리는 결코 알 수 없게 되고 말 것인가? 나는 정대세의 삶과 그의 선택과 그의 세 조국이 처한 2010년의 상황들에도 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축구를 공을 쫓아 이리저리 정신없이 뛰어다니는 스물두 명 남자의 얼빠진 놀이 이상으로 짐짓 받아들이며 파도타기 응원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노래를 부르는 우리 관객들, 손이 부르트도록 박수를 치는 평소에는 말이 없던 수줍은 아가씨들 역시 축구의 매력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번 2010년 월드컵에는 눈길을 끄는 것. 나 개인적으로는 부부젤라를 빼놓을 수 없다. 만약 누군가 나에게 소리에 대해서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소리는 길을 잃지 않게 해주는 것이에요.”
나는 부부젤라 소리를 멕시코와 남아공 개막전 때 처음 들었다. 그때는 하루 종일 벌떼들이 우글대는 벌판에 귀를 막고 납작 엎드려 있는 기분이었다. 벌이 아니라 벌들이 내는 소리가 나를 먹어버릴 수도 있겠구나 생각했다. 나중에 부부젤라 소리가 코끼리를 부르는 소리 혹은 코끼리 소리일 수도 있단 이야기를 들었다. 그 이야기를 듣자 나는 묘하게도 희망봉에 이르는 파도는 폭이 2킬로미터나 된다는 이야기를 떠올렸다. 그 2킬로미터짜리 파도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파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 파도는 최소한의 물방울만큼 작게 쪼개질 수 있다. 나는 부부젤라 악보를 찾아보았다. 그것은 빵 같고, 뭉크의 「절규」에 나오는 동그란 입의 고통 같았고, 아니면 정반대로 입이 함빡 벌어지는 커다란 기쁨과도 같아 보였다. 동그란 감정 같았고, 함성을 지르는 입 같았고, 알파벳 O자와도 같았다.
|
마술적 저널리즘을 꿈꾸는 라디오 피디. 세월호 유족의 목소리를 담은 팟캐스트 [416의 목소리] 시즌 1, 재난참사 가족들과 함께 만든 팟캐스트 [세상 끝의 사랑: 유족이 묻고 유족이 답하다] 등을 제작했다. 다큐멘터리 [자살률의 비밀]로 한국피디대상을 받았고, 다큐멘터리 [불안], 세월호 참사 2주기 특집 다큐멘터리 [새벽 4시의 궁전], [남겨진 이들의 선물], [조선인 전범 75년 동안의 고독] 등의 작품들이 한국방송대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삶을 바꾸는 책 읽기』, 『사생활의 천재들』, 쌍용차 노동자의 삶을 담은 르포르타주 『그의 슬픔과 기쁨』, 『인생의 일요일들』, 『뜻밖의 좋은 일』, 『아무튼, 메모』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