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다시 보고 싶은 책
『삼대』
1930년대 고품격 막장 드라마?
삼대는 한자로 三代, 즉 한 집안의 세 세대를 가리키는 제목입니다. 주인공은 세 사람으로, 돈 많은 거부 조의관과 그의 아들 조상훈, 그리고 사실상 관찰자적 주인공 입장에 가까운(소설은 삼인칭 전지적 시점입니다만) 조덕기입니다.
고단한 하루를 끝낸 사람들이 집에 와서 모이는 곳은 거실 TV 앞입니다. 가끔은 과일도 깎고 가끔은 음료도 마시면서 옹기종기 모여 뉴스도 보고 드라마도 보는데, 역시 하이라이트는 뉴스 끝난 직후에 벌어지는 방송사 간의 드라마 경쟁입니다. 월화 드라마, 수목 미니시리즈 등으로 편성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이들 드라마 시청률 경쟁이야말로 방송가 안팎을 좌지우지하는 힘겨루기입니다.
비단 TV만이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온라인 주요 포털들은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웹툰과 칼럼을 통해 유저 사이의 페이지뷰 경쟁을 펼치고 있기도 하고, 과거로 돌아가 보면 주요 신문사의 만평들이 이끌어 온 인기도 매체 간의 경쟁 요소였습니다.
오늘은 그 미디어 간 경쟁의 아주 오래전 한 축을 이끌었던 소설 한 편을 돌이켜 보려 합니다. 1930년, 가장 대중적인 매체가 신문이었던 시절 한반도의 양대 신문이었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당대의 소설가 두 명을 전면 배치하여 연재소설 전쟁을 벌입니다. 동아일보는 이광수의 『흙』, 조선일보는 염상섭의 『삼대』였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그중 염상섭의 『삼대』를 들춰 보고자 합니다.
『삼대』는 한자로 三代, 즉 한 집안의 세 세대를 가리키는 제목입니다. 주인공은 세 사람으로, 돈 많은 거부 조의관과 그의 아들 조상훈, 그리고 사실상 관찰자적 주인공 입장에 가까운(소설은 삼인칭 전지적 시점입니다만) 조덕기입니다. 소설은 약 10여 달에 걸쳐 신문 연재를 통해 이 세 사람의 집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풀어나가면서 독자들의 인기를 얻었습니다.
소설의 인기 비결은 무엇보다도 현실성이었고, 그 현실성 덕택에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명작의 반열에 손꼽힐 수 있었습니다. 주인공 조덕기는 갑부 집안의 자제로, 당시 좀 있는 집안이라면 누구나 기본 코스였던 일본 유학을 하고 있는 젊은이였습니다. 소설은 있는 집 자식인 조덕기가 방학을 맞아 잠시 조선에 돌아오는 지점부터 시작됩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그려지는 『삼대』 속의 조선은 정말 1930년대의 조선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습니다.
1930년대는 아시다시피 일제의 무단 통치가 서서히 ‘황국 신민 정책’으로 바뀌기 시작하던 때였습니다. 윽박지르던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 식민지인을 일본인의 하위 계층으로 편입하려 했던 이러한 시도는 『삼대』와 같은 소설의 자유로운 인쇄를 허용했을 뿐 아니라, 실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처럼 일제 테두리 안에서의 상거래와 교육 또한 허용했습니다.
특히 주인공 조덕기 집안처럼 어느 정도 돈깨나 있는 집안이라면 그 혜택은 서민과는 또 다른 면이 있었습니다. 어지간한 일본인 서기와도 뇌물로 친해진 사이였고, 지금으로 본다면 일일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재벌 집 정도와 맞아떨어질 듯한 위치였습니다. 그런 개념이라면 『삼대』의 조덕기는 이른바 재벌 2세 유학파, ‘엄친아’쯤 되겠습니다.
엄친아 덕기가 귀국해서 맞이하게 된 집안 상황은 그러나 좀 꼬여 있습니다. 소설의 두 번째 재미는 바로 이 인물 관계에서 발생합니다.
당장 조부 조의관은 아직까지도 신문물과 제도에 마음이 곱지 않은 인물입니다. 그는 양반 출신은 아니지만, 엄청난 돈으로 족보를 사고 제사를 지내면서 자신의 가문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명예라고 생각하는 인물입니다. 따로 후처를 두어 늘그막에 어린 자식을 보기도 하는 등, 전근대 조선에서 익숙했던 생활양식과 사고를 고스란히 유지하는 인물입니다.
그런데 그의 아들 조상훈은 아버지인 조의관과는 일면 비슷하면서도 일면 다른 인물입니다. 아버지의 돈으로 일본도 아닌 미국 유학을 마친 모던 보이이자 인텔리인 조상훈은 심지어 기독교 신자입니다. 신문물의 세례와 동의어나 마찬가지인 기독교 신자로서의 상훈은 인텔리 계층으로서의 일반적인 행동 양태를 고스란히 따라갑니다. 교회를 세우고 선교하고, 그 선교를 통해 미개한 민족을 개화시키고자 하는 마음을 가진 인물이기에 조의관과는 잘 맞을 리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상훈은 인텔리계층의 또 다른 특징, 위선성 또한 보여줍니다. 가진 재산으로 한편에선 민족운동가를 후원하면서도, 한편에선 그 운동가의 딸과 은밀한 관계를 맺기도 합니다. 그의 취미는 노름과 술이고, 이런 방탕함은 집안 재산에 심대한 위협이 되어 조의관과의 관계를 계속 악화시킵니다.
조의관의 손자이자 조상훈의 아들인 조덕기는 그야말로 30년대의 ‘모던 뽀-이’입니다. 동경대학과 와세다를 중심으로 젊은 층에 크게 확산되던 마르크스주의가 소설 속 덕기와 친구들 사이에서 계속 등장하고(당시의 마르크시즘은 혁명론보다도 일종의 지식인에게 필요한 액세서리로도 기능 했습니다.) 신세대 직종이자 부와 명예가 보장되는 판검사, 변호사를 꿈꿉니다. 아버지처럼 방탕하지도 않고 할아버지처럼 핏줄에 집착하지도 않는 덕기는 삼대의 마지막 세대이자 이들 모두의 미래가 되는 입장에서 사건들을 맞이하고 헤쳐나갑니다.
이 오묘한 인물 관계로부터 벌어지는 이야기들은 앞서 말한 현실성과 맞물리며 사건의 전개를 농밀하게 만들어 갑니다. 가진 돈으로 명예를 사고자 했던 할아버지는 세월을 못 이겨 결국 쓰러지고, 이른바 ‘예수쟁이’ 노름꾼인 아들이 가산을 탕진할 것이 두려운 할아버지는 아들이 아닌 손자에게 재산을 물려주기로 합니다. 거기에 할아버지의 늘그막 애첩이 유산을 노리고 암살극을 벌이고, 아들에게 넘어간 유산을 탐내는 아버지는 아들의 재산을 훔치기 위한 방법도 도모합니다. 아, 이쯤 되면 요즘 말로 ‘막장’ 소설일 수도 있겠습니다.
|
관련태그: 고전
<염상섭> 저/<정호웅> 편13,500원(10% + 5%)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출간 기념 이벤트 이벤트 하나. 구매하시는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세 분께 '고급 회전 책장'(20만원 상당)을 드립니다. 이벤트 둘. 열 다섯 분께 『서유기』10권 세트를 드립니다. 이벤트 셋. 모든 구매 독자께 예스24 적립금 1000원을 드립니다. 이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