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다시 보고 싶은 책
『소유냐 존재냐』
토익 990이 네이티브를 만들지는 못한다
한번쯤 우리 스스로의 독서와 공부를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소유냐, 존재냐』를 읽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쁨일 것입니다.
“당신이 사는 집이 당신을 말해줍니다.”
“요즘 어떻게 지내냐는 질문에, 내 차를 보여주었습니다.”
집과 차로 스스로를 말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광고로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는 사회에서 우리는 살아갑니다. 인기 베스트셀러 도서의 제목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인 적도 있었고, 젊은이들에게서 존경받는 직업군 1위는 CEO라는 결과 발표가 그리 놀랍지 않은 시대입니다.
저 광고문구들이 품고 있는 뜻을 풀자면 대략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소유가, 존재를 말한다.’ 그리고 하필 그 광고 메시지가 말하는 주제를 정확히 다루는 고전이 한 권 존재합니다. 무려 제목도 ‘소유냐 존재냐’(to have or to be). 제목만 들어도 어느 정도 내용이 짐작 갈 이 책은 그러나 독자의 짐작 이상으로 풍부한 사고의 흐름을 보여 주어 많은 이들에게 지금도 큰 감동을 남기는 책으로 자리합니다.
독일 심리학자인 에리히 프롬이 저술한 『소유냐 존재냐』는 처음 우리나라에서는 ‘소유냐, 삶이냐’로 번역되었습니다만, 최근 들어 삶보다는 존재라는 표현이 보다 가깝다는 주장에 힘입어 신번역서들은 대부분 『소유냐 존재냐』의 타이틀로 출간되고 있습니다.
본 코너에서 앞서 소개했던 책, 『계몽의 변증법』에서는 인간 이성의 발흥 이후 제기된 이성의 역기능에 문제를 제기했던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이야기를 드린 바 있습니다.(☞ 보러 가기) 에리히 프롬도 심리학자지만 그가 다루는 주제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주제와 동일합니다. 『소유냐 존재냐』는 그러한 에리히 프롬의 문제의식과 철학적 작업들이 총화된 책입니다. 프롬 또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마찬가지로, 이성과 계몽에 의해 보장되었던 인류의 아름다운 미래상이 실제 현실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이유를 찾고 있으며, 그 속에서 특히 ‘소유’라는 개념에 집중합니다.
프롬에 의하면, 애초에 자본주의 사회를 구성하는 기초 개념인 사유재산은 약탈의 개념을 포함합니다. ‘Private’라는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privare(빼앗다)’라는 사실은 많은 것을 암시합니다. 종교의 시대였던 중세에 표면화되지 않았던 소유에 대한 갈망은 그 소유가 스스로의 계급을 대변했던 부르주아지들의 득세가 시작된 근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덕목의 하나가 됩니다.
사유재산으로부터 발생한 권력이 득세하는 산업혁명 이후의 시대부터는 그래서 소유가 본격적으로 개인과 계급의 존재를 드러내는 수단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산업혁명과 부르주아지의 시발점으로 이야기되는 영국의 인클로저encloser 운동은 바로 ‘자신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울타리 치기에서 비롯됩니다. 이렇게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함으로써 개인은 주장한 소유 재산만큼의 권리를 얻고, 이를 통해 결국 사회 속에서 스스로의 존재를 드러냅니다. 이 초기의 소유 형태는 자본주의의 고도화와 함께 발전하며, 이제 소유가 곧 존재를 대변하는 시대를 이끌어 냅니다.
이와 동시에 진행된 것이 언어에서의 소유 개념입니다. 저자는 이러한 사회 변화와 동시에 진행된 언어에서의 소유격 변화를 주시합니다. 기존의 화법에서 ‘나는 잠을 잘 못 잔다.’는 갈수록 ‘나는 불면증을 가지고 있다.’로 옮겨가는 경향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언어학계의 연구에 프롬은 주목합니다. 소유로 존재를 드러내는 사회 형태가 언어생활에도 영향을 주며, 이는 곧 의식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는 통찰입니다.
|
관련태그: 고전
<에리히 프롬> 저/<차경아> 역10,800원(10% + 5%)
독일 출신 유대인 에리히 프롬이 말년에 저술한 「소유냐, 존재냐」는 현대사회 인간존재의 문제에 대한 그의 사상을 총결산한 책이다. 범인의 일상적 경험에서부터 불타, 그리스도, 에크하르트, 마르크스 등의 사상까지 더듬으면서 그는 인간의 생존양식을 두가지로 구별한다. 재산·지식·사회적 지위·권력 등의 소유에 전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