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땅의 교회 수와 인구의 몇십 퍼센트를 차지하는 기독교인의 머릿수를 생각하면 기독교를 진지하게 다루는 한국 영화가 거의 없다는 건 이상한 일입니다. 최근 한국 영화 속의 기독교인은 대부분 우스꽝스러운 조연이죠. <좋지 아니한가>나 <천하장사 마돈나>가 가장 뻔한 경우입니다. 신앙의 그늘 밑에서 아무런 근심 걱정 없이 방글방글 웃기만 하는 영혼 없는 인형이거나 교회에 나가는 것만으로 자신의 습관적인 죄가 커버될 거라고 믿는 단순한 위선자인 거죠. 조금 역할이 커지면 <그놈 목소리>처럼 주인공의 현실적인 고통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는 무력한 종교의 상징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그건 좀 빈약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최근엔 그 숫자가 조금씩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민병훈의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무척이나 모범적인 가톨릭 영화면서도 좋은 영화였습니다. 신앙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관객에게 도그마를 강요하지 않았고 냉소적인 국외자들 앞에서 민망해하지 않으려고 괜히 쿨한 척하지도 않았죠. <포도나무를 베어라>처럼 내부인의 관점을 유지하지는 않았지만, 신동일의 <방문자>도 기독교를 다룬 좋은 영화였습니다. 물론 많은 신자는 ‘여호와의 증인’을 이단이라고 생각할 테니 이 영화를 기독교 영화로 보고 싶지도 않겠지만, 제가 그 관점까지 받아들여야 할 이유는 없죠. 신앙과 현실 세계, 그리고 휴머니즘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전쟁과 대화에 대한 영화의 묘사는 훌륭했고 생각할 만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가장 최근에 기독교를 다룬 흥미로운 영화는 바로 이창동의
<밀양>입니다. 원작인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가 그런 것처럼 이 영화 역시 기본적으로는 외부인의 관점을 유지합니다. 정말로 끔찍한 일을 당한 한 여성에게 기독교라는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객관적으로 그려 보이는 것이죠.
시사회 반응을 보니 많은 사람이 이 영화가 기독교를 희화화했다고 걱정하며 구체적인 사례까지 지적하더군요. 읽으면서 참 사람들이 하찮다고 느꼈습니다.
<밀양>의 이야기는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이야기고 그 영화에서 묘사되는 기독교인은 제 주변에 깔렸다시피 한 수많은 기독교인과 특별히 다르지도 않거든요. 그 악의 없는 사람들의 묘사를 희화화라고 걱정한다면 처음부터 종교를 포기하는 게 나을 겁니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그렇게 거슬린다면 그건 그냥 믿음이 약한 거죠. 오히려
<밀양>은 좋은 기독교 영화가 갖추어야 할 장점이 더 많습니다. 신자의 일상이 이처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종교가 한 사람의 영혼에 남긴 영향력을 그처럼 분명히 그린 한국 영화는 많지 않아요. 열린 결말 역시 충분히 건전한 토론을 끌어낼 수 있을 정도고요. 이 영화엔 실제로 많은 교회와 신자가 내용을 알면서도 참여했는데, 이건 우리나라 기독교가 그렇게까지 근시안적인 종교가 아니라는 증거로 자랑스럽게 내밀어도 됩니다.
물론 멀리서 보면 이런 경향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습니다. 위에서 제가 언급한 시사회 반응도 그런 한계의 일부죠. 훌륭한 예술작품은 가차 없는 자기비판과 끝없는 회의가 필수적입니다. 베르나노스나 모리악과 같은 훌륭한 가톨릭 작가의 작품이 지금도 엄청난 힘을 지닌 것도 그들이 결코 종교의 울타리 안에서 안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영혼과 신과 믿음을 대상으로 끊임없이 투쟁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신자는 그런 맹렬한 영혼의 전투를 원치 않죠. 그들은 종교가 자신에게 절대적인 확신을 주고 그 확신 속에서 편안하게 안주하길 바랍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그 입장을 당연시하길 바라죠. 하긴 그 역시 종교의 역할이기도 합니다.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을 가져다주는 것 말이죠. 하지만 그건 좋은 예술가의 태도는 아닙니다. 예술작품에 대한 올바른 감상 태도도 아니고요.
참,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고전 한국 영화 한 편을 소개합니다. 13일 밤에 EBS에서 이범선의 동명 단편 소설을 각색한 김수용의 영화 <피해자>를 방영합니다. 역시 기독교 소재의 영화고 토론 대상으로 훌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