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값: 버지니아 공대 사건을 바라보며…
지구촌 사람들이 버지니아 공대 학살로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동안 지구상에서는 수많은 사람이 계속 죽어나갔습니다. 아직도 세상 곳곳에서는 전쟁과 테러와 부당한 정부 때문에 버지니아 공대에서 죽은 사람들의 몇백 배나 되는 사람들이 살해당합니다.
우린 모든 사람은 평등하고 사람의 생명은 다 소중하다고 배웁니다만… 정말 그런가요? 사실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분명히 우리보다 더 낫거나 중요한 사람이 있고, 못나거나 쓸모없거나 심지어 유해한 사람도 있습니다. 프랭크 카프라의 <멋진 인생>은 바로 그래서 거짓말입니다. 조지 베일리가 없는 세상이 조지 베일리가 있는 세상보다 못했던 건, 자살을 기도하기 직전까지 조지 베일리가 보통 사람의 평균보다 훨씬 중요하고 유익한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천국에서도 그를 구하고자 천사를 보낸 거죠. 보통 사람에겐 그런 일은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도 우린 사람의 목숨이 여전히 소중하다고 배웁니다. 왜일까요? 그건 우리가 비교적 여유로운 세계에서 여유로운 삶을 살기 때문입니다. 원리적으로나마 모든 사람의 목숨에 신경을 쓰는 사회는 예상외로 적고 또 젊습니다.
코니 윌리스의 시간 여행 SF 소설 『둠즈데이 북』은 근사한 예가 될 수 있을 겁니다. 이 소설은 시간 여행 기술이 발명된 미래 세계와 역병이 유행하는 중세 시대를 번갈아가며 진행됩니다. 시간 여행자인 주인공은 알 수 없는 사고로 과거에 갇혀서 갑자기 마을을 덮친 전염병과 싸우게 되지요. 이 소설에서 재미있는 건 윌리스가 묘사하는 중세 사람들이 죽음을 보는 관점입니다. 한마디로 그들은 놀라울 정도로 태평해요. 사랑하는 사람이 병에 걸려 죽어가는 동안에도 그들은 매정할 정도로 무덤덤합니다. 이 소설에서 독자가 분명한 시간 갭을 느끼는 것도 그 태도 때문이죠. 바로 그런 태도 때문에 그들은 사극 복장을 한 현대 배우가 아닌 중세 유럽인처럼 보입니다.
왜일까요? 그건 당시 사람들의 목숨값이 지금보다 쌌기 때문입니다. 당시 사람들의 수명은 우리보다 훨씬 짧았고 병이나 사고로 죽을 확률도 높았죠. 죽음에 대비하고 기대치를 낮게 잡지 않으면 그들은 정신적으로 버텨내지 못합니다. 죽음과 삶에 대해 현대인과 같은 기준을 세우면 인구 절반이 트라우마에서 헤어나지 못할 걸요.
그런 세계를 사는 사람들은 쉽게 가혹해집니다. 『향수』에서 장 바티스트 그르누이의 엄마는 자기가 직접 낳은 아기를 다섯이나 죽게 방치했지만 어떤 죄의식도 느끼지 않았죠. 당시 그런 계급에서 그런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기 때문입니다. 우린 연쇄살인마를 처형하는 데에도 엄청난 압력을 받는 사회에 살지만 바로 백여 년 전까지만 해도 사형 집행은 대중오락이었죠. 세라 워터스의 『핑거스미스』를 읽어보세요. 주인공 가족은 창문에서 교수형 광경이 보이는 집에 살면서 입장료를 받아먹고 살지요. 『몬테크리스토 백작』에서는 사형집행인이 말 그대로 죄수를 때려죽이는 이탈리아 처형 장면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게 바로 우리가 비교적 문명사회라고 생각하는 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던 일이에요. 아무도 그 설정을 지어내지 않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