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탱이네 귀농 이야기를 담은 책
『아이들은 자연이다』를 읽었습니다. 도시의 생활이 어쩔 수 없이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고 시간에 갇혀 지내게 되는 것이라면 시골에서의 생활은 자연의 시간에 맞춰 살아가는 동안 우리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인 그저 소박한 존재임을 깨닫게 되는 삶이란 것을 어린 탱이가 가르쳐주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도시를 떠나 시골로 들어가고자 하는 개인의 삶의 선택에서마저도 심사숙고를 해야만 하는 처지이고, 우리네 아이들은 흙의 냄새보다는 콘크리트 바닥의 열기에 익숙합니다. 이런 우리와 아이들 자신을 위해, 삶의 방향성보다 속도를 더욱 중시하는 도시 생활에서 잠시 벗어나 그림책을 펼치고 시간을 거꾸로 돌려, 지구 저 편에 위치한 미국이란 나라의 19세기 뉴잉글랜드 지방으로 가보는 것은 어떨까요? 첨단 자본과 마천루를 상징하는 미국의 이미지는 마음에서 지워버리고 말이죠. 아마도 아이들은
『달구지를 끌고』를 펼치기도 전에 “엄마, 달구지가 뭐야?”라고 물어올 것입니다. 어쩜 엄마도 달구지를 눈으로 직접 보지 못했으니 제대로 설명하기에는 뭔가 부족한 것을 느껴질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책 속에 달구지에 대한 모든 묘사가 들어있으니까요.
|
|
그림책으로 번역된 목가적 교향곡이다. 그림과 글의 완벽한 조화는 19세기 뉴잉글랜드 지방의 전원 분위기를 재창조해냈다.”라며 혼북(Horn Book)은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
10월이 되면 농부는 1년간 거두어들인 것들을 달구지에 가득 싣습니다. 4월에 농부가 깎아 두었던 양털, 그 양털을 가지고 농부의 아내가 겨우내 짠 숄, 아내가 자은 털실을 가지고 딸이 만든 벙어리장갑, 또 겨우내 가족 모두가 모여 만든 양초와 아들이 깎아 만든 자작나무 빗자루, 밭에서 캐낸 감자와 순무와 양배추들, 꿀과 벌집, 3월에 단풍나무에서 수액을 받아 졸여 만든 단풍나무 설탕, 그리고 뒷마당 거위들에게서 떨어진 깃털까지. 이 모든 것들을 싣고 농부는 장이 있는 포츠머스로 길을 떠납니다. 언덕을 넘고 계곡을 지나고, 시냇가를 따라 걷고, 여러 농장과 마을을 지나 자신이 키운 것들을 팔고 아끼던 소까지 팔았습니다. 그리고 농부는 시장을 돌아다니며 겨울을 나기 위해 벽난로 불 위에 매달아 놓을 무쇠솥, 딸에게 줄 수예 바늘, 아들에게 줄 주머니칼, 그리고 가족 모두를 위한 박하 사탕을 사서 다시 먼 길을 돌아 가족들에게로 돌아옵니다. 다시 겨울이 시작되면 농부는 새 멍에를 깎아 만들고, 농부의 아내는 아마 섬유로 리넨 천을 짜고, 그 리넨 천에 농부의 딸은 수를 놓습니다. 4계절의 주기를 가지고 변화하는 자연과, 그 자연의 흐름을 따라 살아가는 소박한 삶의 모습이 목판화를 연상시키는 바바라 쿠니의 그림과 도날드 홀의 시적인 언어로 따뜻하게 살아납니다.
이 작품은 출간되자 많은 찬사를 받았는데, <뉴욕 타임즈> 북리뷰는, “다시 다시 반복해 읽고 싶은 책이다. 마음에 쏙 드는 그림책이다. 어른과 아이 모두를 감동시킨다.”고 평했다고 합니다. 바바라 쿠니는 이 책으로 1979년 칼데콧 상을 받았습니다. 1959년 그녀의 그늸책
『챈티클리어와 여우』에 이은 두 번째 수상이었지요.
그림책의 음유 시인 바바라 쿠니(Babara Cooney)
|
|
2000년 삶을 마감한 바바라 쿠니 여사
|
"나는 어쩌다 그림책에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되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수십 년 동안 그림을 그려온 저의 노력이 삽화란 형태로 형상화되었다는 것이죠. 저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화가를 꿈꾸어 왔고 본격적으로 미술 공부를 하기 위해 메사추세츠 주에 있는 스미스 컬리지를 갔지요. 그 곳에서 응용 미술과 예술사 등을 공부했습니다. 제가 그 곳을 졸업할 때 드로잉, 목탄 정물화와 누드화, 수채 풍경화, 친구들과 친척들의 캐리커처 등, 많은 습작품을 가질 수 있게 되었지요.“
위의 인용문은 바바라 쿠니 여사가 쓴
를 실은 1998년 3/4호 혼북 매거진(Horn Book Magazine)의 일부분입니다. 계속해서 그녀가 쓴 회고담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현실 세계에 어떻게 발을 들여놓아야할지 몰랐습니다. 독서광이었던 저는 막연히 책의 삽화 작업으로 목표를 좁혀 생각하면서 뉴욕의 출판사들을 찾아다녔습니다. 한참 뒤에야 일거리를 찾았지만 그 때 아트 디렉터는 제게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리라고 주문했지요. 그래서 아트 스튜던츠 리그(The Art Students' League)에서 저는 에칭과 석판 인쇄술을 배웠습니다. 또한 그림에 대한 생각도 흑백으로 하기 시작했습니다. 작곡가들이 악보를 필보하듯이 그때 저는 유명 화가들의 작품을 매일같이 모사했습니다. 제게 커다란 도움이 되어준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y)의 그림에서 저는 그가 창조해낸 흑백이면서도 섬세하고 장식적인 패턴의 대담한 면 활용 방식에 매료되었습니다. 그 후로 서른다섯 권 이상의 제 책에서 이때 배운 미술적 방법으로 삽화 작업을 했지요. 그러면서도 마음에서는 여전히 채색화를 언젠가 그려야겠다는 소망을 떨쳐낼 수 없었습니다. 물론 흑백 삽화를 인쇄하는 것이 다색 삽화 인쇄에 비해 훨씬 비용이 저렴했지만, 제 아트 디렉터는 저에게 색체 감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그의 말이 제게 커다란 오기를 심어주었지요.”
“인쇄기술의 발달로 저의 삽화에도 네 가지 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당시 저는 각각의 색을 각각의 종이나 비닐 필름에 그려야만 했습니다. 물론 그 때까지도 주조 색은 여전히 검정이었지만, 마젠타, 노랑, 시안 등의 화사한 색으로 그림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만으로도 기뻤지요.”
우리는 여기에서 그녀의 채색 그림책이 나올 때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동안 그녀가 기초적인 삽화 작업에 충실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채색화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는지 그녀의 이야기를 더 들어 보도록 할까요?
|
|
흑백으로만 제작된 작품, (위)American Fok Songs for Christmas (아래) Little Wom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