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카데미 시상식에 대한 가장 올바른 반응

그런 상인 줄 알면서도 정작 수상 결과가 발표되면 상은 이 영화 대신 저 영화에게 가야 했다고 또 투덜거리는 거죠. 이미 아카데미상이 어떤 행사인지 규정해놓고서도 자기 맘에 드는 결과를 바라는 겁니다. 엄청 이중적이지 않습니까?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아카데미 시상식이 끝났습니다. 고만고만한 영화들이 적당히 모여 있던 해라 대단한 서스펜스나 반전은 없었습니다. 모두 기분 좋게 상을 받고 기분 좋게 갔지요. 마지막 작품상이 발표되기 전까지는 분위기가 참 좋았습니다.

문제는 작품상이었죠. 다들 탈 거라고 생각했던 <브로크백 마운틴> 대신 <크래쉬>가 받았으니까요.

그게 그렇게 뜻밖이었을까요? 아뇨. <크래쉬>가 작품상을 탈 거라는 예측은 이전에도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예언자는 시카고 선 타임즈의 로저 이버트죠. 그는 믿어도 될 만한 사람입니다. 경험이 많고 적중률도 높거든요.

그래도 사람들 맘이 그렇지 않은가 봅니다. 벌써부터 <크래쉬>라는 영화에 상을 준 것에 불만인 사람들이 많으니까요.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케네스 튜런 같은 경우는 노골적인 동성애 영화인 <브로크백 마운틴>에 상을 주기 싫고 그렇다고 양심에 찔리기도 싫은 사람들이 적당히 선택한 작품이 <크래쉬>라고 비꼬았습니다. 이버트는 그에 대해 <크래쉬>가 상을 탄 건 이슈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그것이 더 좋은 영화였기 때문이라도 맞받아쳤고요.

어느 쪽이 옳을까요? 다들 조금씩 옳고 조금씩 틀립니다. 물론 케네스 튜런이 제시한 사고 과정을 밟아 투표한 사람들도 있었을 겁니다. 이버트가 생각한 것처럼 단순히 <크래쉬>가 더 좋은 영화라고 생각되어서 투표한 사람들도 있었을 거고요. 튜런이나 이버트나 저나 그 퍼센트가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이게 아카데미상과 같은 인기투표의 특징이죠. 수상 결과에 분명한 의견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겁니다.

<브로크백 마운틴>이 동양 감독인 이안의 작품이기 때문에 인종주의를 의심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특히 이런 의심은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권 사람들에겐 더 강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이안은 이 영화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탔습니다. 아카데미가 감독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을 받은 거죠. 그 정도로 충분치 않습니까? 오히려 이번 게임에서 이안은 언제나 우위였습니다. 작품상을 받은 <크래쉬>의 감독 폴 하기스가 감독상을 받지 못했던 건 그가 상대적으로 무명이었기 때문이겠죠. 하기스와는 달리 이안은 존경받은 일급 명사이고 훌륭한 필모그래피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 주면 괜히 미안할 만큼 동글동글한 매력의 소유자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인종 카드가 들어가 봐야 얼마나 들어갔겠어요? 거의 안 들어갔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합니다.

아카데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좀 괴상한 구석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카데미의 성격을 비판합니다. 지나치게 상업적이다, 지나치게 주류 할리우드적이다, 지나치게 보수적이다... 그런 상인 줄 알면서도 정작 수상 결과가 발표되면 상은 이 영화 대신 저 영화에게 가야 했다고 또 투덜거리는 거죠. 이미 아카데미상이 어떤 행사인지 규정해놓고서도 자기 맘에 드는 결과를 바라는 겁니다. 엄청 이중적이지 않습니까?

웃기는 건 그 규정된 이미지 자체도 그렇게까지 정확하지 않다는 겁니다. 네, 아카데미상엔 보수적이고 안전한 경향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는 동안에도 꾸준히 예외적인 결과도 나왔고 종종은 관객들의 기대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카데미가 하나의 성격만 고수하는 상이라면 이 상의 역사에는 예외가 지나치게 많습니다.

아카데미에 대한 가장 올바른 반응은 ‘그 쪽은 그러려니’하고 시상결과를 하나의 자료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아카데미상을 받았다고 나쁜 영화가 좋은 영화가 되는 것도 아니고 받지 않는다고 좋은 영화가 영원히 묻히는 것도 아닙니다. 그건 그냥 업계 행사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놈의 상이 가진 상징성과 그와 고정된 선입견이 버리기엔 너무 크죠. 덕택에 매년 있는 행사는 짜고 치는 고스톱 비슷해집니다. 비판이랍시고 뻔한 이야기들이 끝도 없이 반복되는 것도 그 때문이죠. 제가 이런 이야기들에 점점 지쳐가는 것도 당연합니다.

참, 이야기를 끝내기 전에 한 가지 물어봅시다. 요새 인터넷 게시판 사용자들이 할리우드나 아카데미를 비판할 때 당연한 진리처럼 써먹는 괴상한 반유태주의 비슷한 것의 정체는 뭡니까? 영화 게시판에 가보면 ‘보수적인 할리우드 유태인’이 영화 세상의 악의 축이라도 되는 것 같습니다. 보면 그냥 어이가 없어요. 이 주장에 따르면 할리우드의 유태인들은 모두 변장한 시오니스트들이면서 WASP 문화의 절대 수호자이고 미국에 리버럴한 유태인은 노엄 촘스키밖에 없을 테니 말입니다. 이건 심지어 반유태주의적인 감정을 가진 미국인이나 유럽인들의 고정관념과도 별로 닮은 구석이 없습니다. 도대체 어디다가 총을 쏘아대는 건지. 그 총에서 나가는 건 도대체 뭔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5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오늘의 책

트럼프의 귀환, 위기인가? 기회인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을 거머쥔 트럼프. 글로벌 무역 질서를 뒤흔들 트럼프 2기 정부의 명암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국제 정세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설명하는 박종훈 저자의 신간이다. 강경한 슈퍼 트럼프의 시대에 직면한 대한민국이 어떠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지 그 전략을 제시한다.

이래도 안 읽으실 건가요

텍스트 힙에는 별다른 이유가 없다. 독서가 우리 삶에 필요해서다. 일본 뇌과학계 권위자가 뇌과학으로 입증하는 독서 예찬론. 책을 읽으면 뇌가 깨어난다. 집중력이 높아지고 이해력이 상승하며 즐겁기까지 하다. 책의 장르는 상관 없다. 어떤 책이든 일단 읽으면 삶이 윤택해진다.

죽음을 부르는 저주받은 소설

출간 즉시 “새로운 대표작”이라는 타이틀을 얻으며 베스트셀러가 된 작품. 관련 영상을 제작하려 하면 재앙을 몰고 다니는, 저주받은 소설 『밤이 끝나는 곳』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등장인물들이 함께 떠난 크루즈 여행 중 숨겨진 진실과 사라진 작가의 그림자가 서서히 밝혀진다.

우리 아이 영어 공부, 이렇게만 하세요!

영어교육 전문가이자 유튜브 <교집합 스튜디오> 멘토 권태형 소장의 첫 영어 자녀 교육서. 다년간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육의 현실과 아이들의 다양한 학습 성향에 맞는 영어 학습법을 제시한다. 학부모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과 실천 방안을 담았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