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댄서의 순정'이 실패한 이유

전 종종 일급의 예술 감독들이 만든 무성의한 장르 영화들에 대해 리뷰를 쓰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장르를 얕보지 말란 말이야!” 장르 영화들은 대충 만들어 통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선배들을 넘어서는 노력이 필요하죠.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구성주의 <엄마>와 박영훈의 <댄서의 순정>은 흥미로운 점 하나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건 이 두 영화들이 무척 촌스럽고 투박한 구닥다리 멜로드라마라는 것이죠. 이게 왜 흥미롭냐고요? 세 가지 이유에서입니다. 첫째, 구성주나 박영훈의 전작들은 모두 이런 식의 순진무구한 촌스러움과는 무관한 작품들이었습니다. 구성주의 <그는 나에게 지타를 아느냐 물었다>는 하일지의 소설을 각색한 ‘아트 하우스’ 영화였고 박영훈의 <중독>은 미스터리와 로맨스가 반반씩 섞인 비교적 날씬한 장르물이었습니다. 완성도를 떠나, 촌스러움과 별로 상관없는 영화들이었죠. 둘째, 두 영화 모두 완성도가 그냥 그랬다는 것입니다. 고두심과 문근영이라는 성실한 스타들의 활약이 없었다면 과연 본전치기라도 가능했을는지? 셋째, 시사회나 인터뷰에서 배우들이나 스탭들의 인사(또는 변명)이 다 이렇게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 영화는 결코 세련되게 잘 만든 영화는 아니지만...”

여기서 우린 ‘촌스러움’과 ‘투박함’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것들은 도대체 뭡니까? 테크닉과 실력의 부족으로 어쩔 수 없이 만들어지는 완성도나 세련됨의 결여입니까? 아마 그렇게도 평가할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왜 <엄마><댄서의 순정>을 만든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그런 투박함에 접근했던 것일까요? 암만 봐도 이건 그네들의 체질이 아닌데 말입니다. 그게 이야기에 더 어울려서? 아니면 예술적 노력을 덜 투여해도 관객들로부터 괜찮은 호응을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아마 둘 다겠지요. 그리고 이 두 영화들이 예술적으로 실패한 건 두 번째 이유가 조금 더 큰 역할을 했을 겁니다.

사람들은 투박한 작품들에 대해 종종 심한 착각을 합니다. 이건 아프리카의 이름 모를 장인들이 만든 토착 예술품을 구경하러 온 사람들이 무심코 “이런 건 우리 집 애들도 만든다”라고 내뱉는 것과 같은 논리에 바탕을 두고 있지요. 이들은 기술적으로 단순해서 만들기 쉬워 보입니다. 따라서 별 게 아니라는 거죠. 하지만 세련된 기술과 예술적 성취가 늘 같은 길을 가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이런 투박한 작품들에서 진짜 장인과 예술가의 실력이 드러나는 법이죠. 테크닉 속에 숨을 수가 없으니까요.

<엄마> <댄서의 순정>은 모두 21세기 초의 한국 영화보다는 60년대 충무로 영화에 더 가깝습니다. 황정순이나 김지미가 나오는 그 옛날 영화들요. 아마 지금 이 영화들에 진지하게 반응하는 젊은 관객들은 얼마 없을 겁니다. 즐기긴 하겠지만 진지한 영화보다는 <로키 호러 픽쳐쇼>처럼 캠피한 오락으로 받아들이겠죠. 그러나 우스꽝스러운 성우 더빙과 과장된 멜로드라마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들은 결코 쉽게 얕잡아볼 수 없는 작품들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적어도 성공작들은 당시 관객들의 심금을 울리기 위해 아주 정교하게 통제된 작품들이었습니다. 우리에게 덜 세련되어 보이는 건 그들이 그런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이죠.

여기서 <엄마><댄서의 순정>이 왜 실패했는지 드러납니다. 이들의 논리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옛날 영화들처럼 인간미 넘치는 멜로드라마를 만들자. 그러기 위해 일부러 적당히 완성도를 떨어뜨리고 촌스럽게 만들자. 제가 상상하는 게 아닙니다. 실제로 <댄서의 순정>을 만드는 사람들은 그 형편없는 CG 반딧불이가 예술적으로 한심하기 짝이 없다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근영이 그렁그렁한 눈으로 그 픽셀들을 바라보면 아무리 형편없어도 대충 먹힐 거라고 생각하고 그냥 밀어붙인 거죠. 먹혔냐고요? 문근영은 예뻤습니다. 하지만 CG 반디불이들과 멜로드라마는 여전히 시시했어요.

전 종종 일급의 예술 감독들이 만든 무성의한 장르 영화들에 대해 리뷰를 쓰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장르를 얕보지 말란 말이야!” 장르 영화들은 대충 만들어 통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선배들을 넘어서는 노력이 필요하죠. 오늘 우리가 언급한 두 편의 멜로드라마도 마찬가지입니다. 멜로드라마는 수명이 길고 관객층도 넓은 장르입니다. 이미 온갖 테크닉이 개발되었고 관객들 역시 그걸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통 때 노력의 서너 배를 투여해도 모자랄 판인데, 이 사람들은 더 어울리는 어법을 찾는답시고 일부러 완성도를 떨어트리고 있단 말입니다. 이런 상업 영화들을 보면 전 그냥 고함치고 싶습니다. “잘 할 줄 모르면 처음부터 하지 말란 말이야!”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4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오늘의 책

장재현 감독의 K-오컬트

2015년 〈검은 사제들〉, 2019년 〈사바하〉, 2024년 〈파묘〉를 통해 K-오컬트 세계관을 구축해온 장재현 감독의 각본집. 장재현 오컬트의 시작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여준다. 디테일이 살아 있는 오리지날 각본은 영화를 문자로 다시 읽는 즐거움을 선사하며, 독자를 오컬트 세계로 초대한다.

위기의 한국에 던지는 최재천의 일갈

출산율 꼴찌 대한민국, 우리사회는 재생산을 포기했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원인은 갈등이다. 대한민국의 대표 지성인 최재천 교수는 오랜 고민 끝에 이 책을 펴냈다. 갈등을 해결할 두 글자로 숙론을 제안한다. 잠시 다툼을 멈추고 함께 앉아 대화를 시작해보자.

어렵지 않아요, 함께 해요 채식 테이블!

비건 인플루언서 정고메의 첫 번째 레시피 책. 한식부터 중식,일식,양식,디저트까지 개성 있는 101가지 비건 레시피와 현실적인 4주 채식 식단 가이드등을 소개했다. 건강 뿐 아니라 맛까지 보장된 비건 메뉴들은 처음 채식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훌륭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할 말, 제대로 합시다.

할 말을 하면서도 호감을 얻는 사람이 있다. 일과 관계, 어른으로서의 성장을 다뤄온 작가 정문정은 이번 책에서 자기표현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을 전한다. 편안함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 대화법, 말과 글을 더 나은 곳으로 이끄는 방식을 상세히 담아낸 실전 가이드를 만나보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