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이보다 더 깊은 상실감을 노래하는 시는 없으리라 - 「초혼(招魂)」이 절창(絶唱)인 이유

초혼(招魂)은 전통 장례절차 중의 하나이다. 죽은 사람이 생전에 입던 옷을 들고 지붕같이 높은 곳에 올라가 저승으로 가지 말고 다시 돌아오라고 마지막으로 혼을 부르는 것이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초혼(招魂)」이 절창(絶唱)인 이유

초혼(招魂)은 전통 장례절차 중의 하나이다. 죽은 사람이 생전에 입던 옷을 들고 지붕같이 높은 곳에 올라가 저승으로 가지 말고 다시 돌아오라고 마지막으로 혼을 부르는 것이다.
김소월의 시 「초혼」의 화자는 지금 산봉우리에 올라가 마지막으로 죽은 이의 혼을 부르고 있다. 그런데 그 죽은 이는 화자가 몹시 사랑하면서도 살아 있을 땐 사랑한다고 말 한 번 못 해본 사람이다. 이것이 「초혼」의 화자가 놓여 있는 상황이다. 당연히 정서가 격할 수밖에 없다. 그 격한 정서는 「초혼」의 서두에서 파도가 겹쳐져 밀려오는 듯한 리듬으로 표현되고 있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虛空)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김소월, 「초혼」 전문


1연은 이 시의 화자가 죽은 이의 혼을 부르는 것이다. 호격조사와 감탄부호로 끝나는 3음보율의 행을 겹쳐놓음으로써 마음에 이는 격한 감정의 질풍과 노도를 급한 호흡으로 드러내고 있다.
2연의 1, 2행에서는 호흡이 한 박자 늦춰지고 있다. 격한 감정의 흐름이 완만해지며 자신을 돌아본다. 돌아보면 죽은 이에게 마음속에 품고 있던 사랑한다는 말 한 번 건네보지 못했다. 이제 죽은 뒤에야 비로소 그를 사랑했던 사람이라고 부른다. 사랑했던 사람이라고 부르는 2연의 3, 4행에서 감정의 흐름이 조금 격해지고 호흡이 빨라진다.
3연에서는 화자의 시선이 자신에게서 자신을 둘러싼 세계로 옮겨간다. 공간이 넓어지면서 시의 호흡이 완만해진다. 이 연은 신화적 해석이 필요한 연이다.
우리나라 전통장례에서는 죽은 사람은 지하로 내려가거나 하늘로 올라가지 않는다. 서쪽으로 아주 멀리 수평이동을 해서 간다. 바리데기 무가에서도 바리데기는 부모를 살리기 위해 생명수를 가지러 서쪽 멀리 수평이동을 해서 간다. 서쪽 멀리 어디로 가는 것일까?
유라시아 북부 초원지대를 이동해 다녔던 유목민들은 사람이 죽으면 ‘조상들의 산’으로 돌아가 조상들과 함께 산다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다시 태어나고 다시 돌아가는 영원 회귀를 한다는 것이다. ‘조상들의 산’은 ‘영혼의 산’이고 우주의 중심에서 우주를 받치는 우주 산이며, 신들의 세계인 하늘과 땅을 잇는 하늘 사다리이기도 하다. 유목민들에게 조상들의 산이 그만큼 중요했기 때문에 그들은 옮겨다니는 곳마다 ‘조상들의 산’을 정해 제사를 지냈다. 그래서 시베리아 북만주 일대에는 적산(赤山), 그들의 발음으로 하면 부르칸 산이 여기저기 많다. 적산, 부르칸 산은 빛의 산, 즉 조상들의 산이란 뜻이다. 우리나라에는 백(白)자 들어가는 그럴듯한 산이 많은데 흰 백자가 들어가는 산 역시 본디는 빛의 산, 조상들의 산이란 뜻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여기저기 이동해 다니면서 그때그때 조상들의 산을 정해 제사를 지내긴 했지만 원조의 원조 조상들의 산은 유목민들이 이동해오기 시작한 서쪽 멀리에 있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까마득한 서쪽 멀리에 있는 원조의 원조 조상들의 산으로 가야 한다. 그래서 염을 할 때는 죽은 사람의 입에 쌀알이나 동전을 넣어주며 “천 석이요, 이천 석이요” “천 냥이요, 이천 냥이요” 한다. 서쪽 멀리 가려면 많은 노잣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3연 1행의 붉은 해가 걸려 있는 서산마루는 사랑하는 사람이 까마득히 먼 그 원조의 원조 조상들의 산, 영혼의 산을 향해 떠난 길이 있는 곳이다.



3연의 2행에서는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사슴은 유목민들의 신화에서 매우 의미심장한 동물이다.
시베리아 어뱅키 족 신화에는 하늘사슴이 나온다. 밤은 하늘사슴이 하늘 가운데 떠 있는 아름다운 해를 탐내어 두 뿔 사이에 걸고 하늘 숲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온다. 어뱅키 족의 샤먼이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이 하늘사슴을 쫓아가 해를 찾아오는 것이다. 샤먼이 하늘사슴을 사냥하여 해를 찾아오면 낮이 된다. 극북 지방에선 육 개월이 밤이고 낮이니까 낮이 된다는 건 봄이 오게 하여 만물을 소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화적 관념에서 사슴왕 개념이 나왔다. 『삼국사기』의 고구려, 백제 초기 왕들의 기록을 보면 몇 줄 안 되는 한 왕의 기록 속에 사냥 나가서 흰 사슴을 잡아 국가의 경사라 기뻐했다는 기록이 자주 보인다. 어뱅키 족의 샤먼처럼 왕이 흰 사슴을 사냥하여 해를 찾음으로써 봄이 오고 만물이 소생하게 되었으니 국가의 경사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초기 왕들은 사슴왕들이었다.

사슴은 이와 같이 우주동물이며 해를 걸고 오는 그 뿔은 우주수(樹)와 같은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슴의 무리가 슬피 운다는 건 우주적 차원에서 무언가 심각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3연의 3행, 4행에서 이 시의 화자는 ‘떨어져 나간’산 위에서 죽은 이를 부르고 있다. 화자가 서 있는 산은 무엇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것일까? 조상들의 산, 영혼의 산을 향해 가는 길로부터, 영원 회귀의 길이 열려 있는 세계로부터 떨어져 나갔다고밖에 볼 수가 없다. 사랑했던 죽은 이가 먼 서쪽의 조상들의 산, 영혼의 산을 향해 길을 떠나는 것과 함께 그 길은 끊어져버렸다. 이제 영혼이 영원히 돌아갈 길을 잃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4연의 3행에서 부르는 소리는 사랑했던 죽은 이에게 닿지 못하고 비껴갈 수밖에 없고, 4행에서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멀게 느껴질 정도로 공허감을 느끼는 것이다.

「초혼」은 단순히 사랑했던 이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가 아니다. 사랑했던 이의 죽음과 함께 혼이 영원히 돌아갈 길이 끊어져버린 상실감, 영원 회귀가 가능했던 전통적 우주의 붕괴와 그로부터의 단절감과 공허감을 노래한 것이다. 그래서 연애시라기에는 그 상실감의 울림이 너무 깊고 크다. 식민지 근대에 사람들이 느꼈던 상실감을 이보다 더 깊고 강렬하게 노래한 시가 달리 있을 수 없다는 점에서 초혼은 절창이다. 아마 이후에도 이보다 더 깊은 상실감을 노래하는 시는 있을 수 없으리라.

「초혼」에 나타나는 공간은 김소월의 다른 시들에 나타나는 공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광활하다. 「초혼」에는 유목의 바람이 불어가는 황량하고 광활한 공간과 유목의 격한 바람이 있다. 김소월은 유목시대로부터 이어져온 바람에 대한 언어감각을 지녔던 마지막 시인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