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한국의 ‘곡선의 미’는 중국의 짝퉁? - 김진경의 신화로 읽는 세상

바람의 미학, 김소월 시를 다시 읽는다 - 김진경의 신화로 읽는 세상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1. 한국의 미는 곡선의 미일까?

80년대 필화 사건으로 서대문 구치소에 갇혀 있을 때의 일이다. 일제강점기 때 지은 감방의 다다미도 없는 마룻바닥에 앉아 있노라면 몹시 춥다. 그래서 겨울엔 솜을 두툼하게 둔 간편 한복을 차입해 입는다.

이 겨울 한복을 대개 옥창 밖으로 보이는 뒷산에 진달래꽃이 지고 복숭아꽃이 피는 4월 말까지는 입는다. 봄에는 내복까지 입고 겨울 한복을 입으면 더우니까 대개 러닝, 팬티만 입고 그 위에 겨울 한복을 입는다. 그러면 봄바람이 소매 끝의 열린 틈으로 들어와 생선의 배처럼 불룩한 팔 부분에서 체온과 뒤섞여 휘돌며 곰실거리는데 그 느낌이 참 대단하다. 어느 봄날 옷 속으로 들어와 체온과 뒤섞이는 봄바람을 음미하며 창밖 산에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를 바 라보다가 문득 참 한가한 질문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한국의 미는 과연 곡선의 미일까?’

고등학교 때 교과서에 한국의 미는 곡선의 미 운운하는 수필이 있었다. 멋들어지게 적당히 구부러진 기와집의 추녀, 한복의 맵시 등을 예로 들었던 것 같다. 고등학교 때 그 글을 배울 때는 제법 그럴듯하게 여겼는데 한복을 입고 생활하다보니 아무래도 그게 아닌 것 같았다. 밖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한복의 곡선이 아름다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한복을 입고 생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한복의 곡선을 제대로 볼 수조차 없다.

한복을 입고 생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한복의 아름다움은 바람의 아름다움이다. 한복은 바람 주머니로 되어 있는 옷이다. 저고리의 팔 부분이며 불룩한 바지, 양장처럼 짧거나 밑이 퍼지지 않고 오므라드는 한복의 치마가 그렇다. 한복의 보온방식은 바람을 차단해서 보온하는 방식이 아니다. 저고리 소매는 바람이 들어올 수 있도록 조금 열려 있다. 조금씩 들어오는 바람은 체온과 섞여 따뜻해지고, 따뜻해진 바람은 불룩한 바람 주머니에서 곰실거리면서 뒤에 들어오는 바람과 끊임없이 섞이며 체온과의 온도 차를 줄인다. 그럴 때 따뜻해진 바람의 잔가닥들과 덜 데워져 찬 느낌을 주는 바람의 잔가닥들이 뒤섞이며 살갗에 닿는 느낌이 참 대단하다. 한복의 곡선은 바람 주머니 옷을 만들다보니 결과적으로 나타난 것일 뿐이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한복만이 아니다. 음식문화도 그렇다. 한국의 음식문화는 발효가 특징이다. 발효에는 바람이 결정적이다. 조기는 영광 법성포의 바람 속에서 말려야 맛있는 굴비가 되고, 홍어는 나주 영산포의 바람 속에서 삭혀야 제맛이 나고, 과메기는 영일만 바닷가의 겨울바람 속에서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말려야 제맛이 난다. 김치, 간장, 된장, 고추장, 젓갈들이 제맛을 내려면 각자에 맞는 적절한 바람을 만나야 한다. 한옥도 마찬가지다. 한옥은 바람을 완전히 차단해서 보온하는 집이 아니다. 한옥은 숨을 쉬는 집이다. 흙벽은 바람을 다 막지 않고 조금씩 드나들게 한다. 창호지 문도 마찬가지다. 창호지 문은 바람을 완전히 막는 문이 아니다. 바람을 부분적으로 통과시킨다. 그래서 겨울에는 문풍지를 달아 통과하는 바람의 양을 줄인다.


특히 창호지 문을 생각하면 한국의 미를 ‘곡선의 미’처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것 자체가 부당하다는 느낌마저 든다. 창호지 문을 달고 사는 집에서는 마당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시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은 문을 열지 않고도 오감을 작동시켜 누구인지 느낌으로 안다. 한국의 전통문화는 시각 우위의 문화가 아니다. 한국의 전통문화는 오감을 다 동원하는 직관의 문화이다. 이에 반해 서양의 문화는 시각 우위의 문화이다. 한국의 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를 비교해보면 이러한 점을 금방 알 수 있다.

서양의 사실적인 풍경화는 원근법이 두드러진다.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의 눈 위치로부터 가까운 것은 크고 뚜렷하게, 먼 것은 작고 희미하게 그린다. 이것은 이성 중심 세계관의 표현이다. 서구 근대기독교문명에서는 인간의 정신 즉 이성은 신적 속성으로, 육체는 동물적 속성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성의 창인 눈은 다른 감각기관과 비교할 수 없는 우월성을 가진다고 생각했다.

우리 산수화에는 원근법이 없다. 산봉우리들이 겹겹이 떠 있는데 그 밑은 구름과 안개에 가려져 있어 어떤 게 멀리 있는 산이고 어떤 게 가까이 있는 산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림의 밑쪽 구석에는 너?바위가 조그맣게 그려져 있고 그 위에 사람이 점처럼 아주 작게 그려져 있다. 그 바위 위에 점처럼 그려진 사람이 지금 산수를 바라보는 사람이다. 산수화는 자연을 대상화하여 눈으로 보고 그린 그림이 아니다. 산수화는 자연으로 들어가 그 자연의 일부로서 오감을 작동시켜 느낀 바를 직관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서구인이 한국에 잠시 머물면서 느낀 바를 ‘한국의 미는 곡선의 미’라고 말한다면 ‘뭐 그렇게 볼 수도 있겠지’ 하고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서구인은 워낙 시각 우위의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고, 또 잠시 머물면서 밖으로 드러나는 것 이상을 파악하기는 어려울 테니까. 하지만 한국학자가 ‘한국의 미는 곡선의 미’라고 말하는 건 참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것은 시각문화에 익숙한 서구인이 피상적으로 바라본 한국문화의 모습을 우리의 본질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거니까.

중국과 비교해보아도 한국의 미를 ‘곡선의 미’라고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국은 농경이 상대적으로 일찍 시작되어서 그런지 용을 자기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용은 그 유래가 어떠하든 후대의 모습은 구름의 형상을 품고 있다. 구름의 형상은 무한히 피어나는 곡선이다. 중국의 어디에 가나 이 현란한 곡선을 만난다. 이쯤 되면 곡선의 미는 중국의 미라고 해야 하는 게 아닌가? 혹자는 중국의 현란한 곡선에 비해 한국의 곡선은 완만하고, 부드럽고, 우아하다고 강변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건 너무 옹색한 주장이다. 그런 정도라면 동양권 문화의 일반적 모습이지 굳이 한국을 특징짓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계속)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자음과 모음 R (격월간) : 2010년 9·10월 [2010년]

편집부 편9,500원(5% + 3%)

이번 호 특집으로는 ‘교과서 비판’을 다뤘다. 청소년들이 가장 오랫동안 붙잡고 싸워야 하는 대상이 교과서다. 교과서는 왜 청소년들에게 싸움의 대상이어야만 할까. 교과서는 능동적이며 창의적이어야 할 청소년들에게 ‘상상력의 덫’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일방통행의 사고를 주입까지 한다. 그럼에도 교과서에 대한 비판은 물..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