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조선 쑥, 조선 가시내

언제나 내게 봄에 대한 첫 기억은 쑥에 가 닿는다. 그것도 코끝을 아리게 하는 알싸한 슬픔의 기억이다. 돌이켜보면 알싸하면서도 왠지 포근한 슬픔.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먼 산에 희끗희끗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건만 검은 ‘맘보 쓰봉’에 ‘나이롱 샤쓰’를 입은 아홉 살 나는, 그리고 내 동무들은 쑥을 캐러 동네 앞들로 나갔다. 언제나 내게 봄에 대한 첫 기억은 쑥에 가 닿는다. 그것도 코끝을 아리게 하는 알싸한 슬픔의 기억이다. 돌이켜보면 알싸하면서도 왠지 포근한 슬픔.

나는 다만 자연의 아이였을 뿐

겨울이 채 끝나기도 전에 나는 혹여 지금쯤 봄이 왔을까, 아직 안 왔다면 봄은 지금 어디만큼 오고 있을까를 가늠하러 들로 나갔다. 지금 생각하니 어린애가 참 요망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내가 원초적으로 갖고 있는 기다림에 대한 기억, 기다림 끝에 다가온 것에 대한 말할 수 없는 기쁨과 희열의 기억, 이 세상 모든 아름다움에 대한 기억은 다 자연에서 얻은 것이다.

내 온몸, 내 온 마음 구석구석에 배어 있는, 나도 잊어먹고 있는 수많은 감성들, 기쁨, 슬픔, 고통, 막막함, 설렘 들은 내가 자연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지 않았더라면 결코 얻을 수 없었으리라. 비 오면 비 온다고 가슴 설레고, 해 나면 해 난다고, 밤 되면 밤 온다고 혼자 가슴 두근거리는 삶은 결코 살지 않았으리라.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의 지명은 전라남도 곡성이지만 내 고향은 곡성이라기보다 자연이다. 내게 먹을 것을 끊임없이 내보내준 흙과 물과 공기와 햇빛과 별빛과 새소리와 꽃향기…… 그것들이 나를 키웠다. 그것은 경상도 봉화에서 태어난 이도 그럴 것이고 삼천포에서 태어난 이도 그럴 것이다. 우리는 다만 하루하루 밤과 낮을 보내면서 자연이 준 먹을거리를 먹으며 산다. 봉화 사람은 봉화가 키운 게 아니고 봉화의 자연이 키웠다.

곡성 사람인 나도 그렇다. 나는 다만 자연의 아이였을 뿐이다. 자연의 아이들은 비 오면 비 온다고 가슴 설레고, 해 나면 해 난다고, 밤 되면 밤 온다고 혼자 가슴 두근거리게 되어 있다. 그것이 그렇다.

봄이면 우리를 홀리던 그 냄새들

쑥은 내 모든 기쁨과 슬픔의 정서가 혼합된 상징이다. 먼 산에 희끗희끗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건만 검은 ‘맘보 쓰봉(*맘보 바지.)’에 ‘나이롱 샤쓰’를 입은 아홉 살 나는, 그리고 내 동무들은 쑥을 캐러 동네 앞들로 나갔다. 빨래터를 지나고 저수지 둑길을 지나고 계단식 논둑길을 지나, 뒤로는 자그마한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어서 바람이 드세지 않고 양지쪽이라서 햇빛이 잘 드는 묏등으로 갔다. 그때가 아마 봄방학 때였으니까 정월 보름에서 이월 보름 사이께나 되지 않을까.

칼과 바구니를 들고 양지쪽을 아무리 훑어봐도 쑥은커녕 ‘쑥 같은 것’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우리가 캘 수 있는 것은 뽕나무 밑에 우북우북 자라 있는 달래, 냉이, 광대나물뿐이었다. 그것들을 캐면서 우리는 푸념처럼 노래 불렀다. 삼천리강산에 새봄이 왔다고 농부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린다…….

옛날 촌에 살았던 가시내들은 왜 그렇게 쑥을 캐고 싶어했을까.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부터 나와 우리 동네 가시내들은 산으로 들로 나물을 뜯으러 다녔다. 봄이면 나물 뜯는 것이 일이었다. 중·고등학교 때는 뜨개질하기가 일이었지만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우리 동네 가시내들은 마치 무엇에 홀린 듯, 나물을 캐러 온 봄내 들로 산으로 쏘다녔었다.

쑥은 주로 불탄 자리에서 많이 돋아난다. 봄 햇빛을 받으며 병아리 부리처럼 뾰족 돋아난 해쑥을 무쇠 과도로 쏙쏙 도려내고 있노라면 이 세상에서 나는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을 만큼 마음이 고요해진다. 우리 동네 가시내들은 학교 갔다 오면서도 책보자기 풀어놓고 연필 깎는 칼로 쑥을 캤다. 봄에 쑥 캐기는 거의 본능적 습관이었다. 집에 와서도 또 바구니 들고 나가서 쑥을 캤다. 쑥은 아무리 많이 캐도 삶아놓으면 한 주먹밖에 안 된다. 특히 해쑥이 그렇다.

그렇게 캐온 쑥으로 그해 첫 쑥국을 끓여 먹는 밤, 온 집 안에는 은은한 쑥 향기가 떠다니곤 했다. 김치는 이미 시어빠져 묵은지가 된 지 오래, 만날 군둥내 나는 김칫국만 끓여 먹다가 내 손으로 캐온 쑥으로 쑥국을 끓여 온 식구가 ‘와아, 진짜 봄은 봄이로구나’ 하면서 새로운 쑥국을 먹고 난 밤은 왜 그리도 행복하던지. 내 생애에서 가장 행복한 밤을 꼽으라면 바로 그렇게 그해 첫 쑥국을 끓여 먹었던 밤이다. 쑥국을 양껏 먹고 난 밤에는 마음속 가득 희망의 새순이 돋아나는 느낌이었다.


그러나 또 내 생애 또렷한 슬픔의 밤으로 남은 밤을 꼽으라면, 쑥국을 말아 먹을 밥이 없어 쑥버무래기(*쌀가루와 쑥을 한데 버무려 시루에 찐 쑥버무리.)를 해 먹고 난 밤인 것을(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것은 뭐니 뭐니 해도 먹을 것이 없을 때다! 먹을 것은 많이 있어야 하는 게 아니고 그냥 먹을 만큼 있기만 하면 된다). 쑥버무래기란 밥을 해 먹을 양식이 그야말로 똑 떨어져서(곡성 같은 전라도 깡촌에서는 논이 없는 집들은 그 유구한 보릿고개를 여전히 겪고 있었다) 쑥과 싸라기(*쭉정이에서 훑어낸 쌀인데, 온전한 쌀이 아니라서 밥이 안 돼 죽을 쑤어 먹던 부스러기 쌀알.)를 버무리고 사카린과 소금을 조금 쳐서 쪄낸 것이다. 거칠거칠한 쑥과 꺼끌꺼끌한 싸라기가 목울대를 타고 넘어갈 때면 그 퍽퍽함 때문에라도 눈에서 눈물이 쏙 비어져 나오곤 했다.

쑥개떡은 또 어떤가. 쌀은 물론이려니와 싸라기조차도 없어지고 나면 이제 남은 것은 밀가루다. 언제나 그랬다. 쌀 다음에 싸라기, 싸라기 다음에 밀가루다. 쑥을 보들보들하게 삶아서 밀가루 반죽과 섞어서 쪄낸 쑥개떡. 엄마는 그 쑥개떡 몇 개를 허리춤에 차고 긴긴 봄날 사래 긴 보리밭을 맸다. 그러니, ‘만화방창 사시절에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고 하면서 꽃전을 지져 먹을 수 있는 화전놀이 날의 쑥은 그 얼마나 화려한 변신이더란 말인가. 사람들은 흔히 화전 하면 진달래꽃 수놓아진 것만을 떠올리는데, 내 기억 속의 화전은 쑥을 꽃 모양으로 무늬 놓은 지짐이로 기억된다.

엄마들은 일철 시작되기 직전의 어느 봄날 하루 날을 잡았다. 한복을 일단 곱게 입었지만 하루 종일 춤추고 놀기 좋게 허리말기쯤은 끈으로 질끈 동여매고, 손장단 잘 맞추는 남원댁이 장구 둘러메고, 음식 솜씨보다 마음씨가 더 좋은 구례댁은 무쇠 솥뚜껑 뽑아들고, 순천댁은 참기름에, 곡성댁은 찹쌀반죽이 든 함지박을 이고지고 매년 정해놓고 노는 뒷산으로 올라갔다. 무쇠 솥뚜껑을 뒤집어서 화덕에 걸쳐놓고, 반으로 자른 무에 참기름을 슬쩍 묻혀 빙 두르고, 반죽한 찹쌀을 꾹 눌러 지지면서 쑥 몇 잎을 박아놓으면 그게 바로 화전이었다.

한쪽에서는 막걸리에 취한 엄마들이 치마말기 흘러내리는 줄도 모르고, ‘만화방창 사시절에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차차차 차차차’ 노래 부르고 춤추고, 어린애들은 화전 얻어먹으며 술 취한 엄마 부르며 울다가 또 화전 한입 뜯어 먹으며 그렇게 봄볕 아래서 하루 종일 지치도록 놀다가 해거름에야 동네로 내려왔다. 내려와서 또 그냥 흩어지지 못하고 어느 한집 마당에서 달이 둥실 떠오를 때까지 춤추고 놀았다. 그날은 온 동네 아낙들의 해방의 날, 어떤 아낙 하나 식구들 밥해줄 생각하는 사람 없고, 어느 남정네 하나 밥하라고 성화부리는 사람 없었다.

그저 조선 쑥을 캤을 뿐

그 봄이 다 가도록 동네 가시내들은 쑥을 캐고 캐고 또 캤다. 쑥국에 쑥버무래기에 쑥개떡을 해 먹을 것도 아니면서도 그냥 캤다. 쑥바구니는 처음에는 냉이 반 달래 반에 쑥이 조금이었다가, 나중에는 차츰 쑥만으로 채워지다가, 날이 가면서 쑥이 조금씩 줄어들고 미나리, 돌나물이 들어차기 시작했다. 그렇게 되면 이제 가시내들은 바구니를 내던지고 무명보자기를 허리춤에 차고 나왔다. 바구니가 아닌 베보자기에 담기는 쑥은, 말하자면 쑥국을 끓이기에는 너무 파랗고 쑥버무래기를 해 먹기에도 너무 뻣세고 쑥개떡을 해 먹기에는 너무 풋내가 나는 그런 쑥이었다. 말하자면 베보자기 쑥은 설에 쑥떡을 해 먹을 쑥인 것이다. 쑥개떡이 아닌 진짜 쑥떡 말이다.

그렇게 캐온 쑥을 엄마들이 삶아서 널어서 말려서 집 안 어느 구석엔가 갈무리를 해두었다. 그동안 여름이 가고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올 동안 나와 내 동무들은 우리가 캐고 또 캤던 쑥을 까맣게 잊어먹고 있다가 설이 가까운 어느 날, 엄마가 먼지 탱탱 둘러쓴 뭔가를 물에 풀고 있으면 그때서야 ‘아, 쑥떡’ 했다.

설날 쑥떡을 먹으면서 마음은 벌써 들판으로 달려가고 있다는 것을 그 누가 알까. 그것을 알고 있는 것은 나와 내 동무들뿐. 그래서 겨우 정월 보름 지난 들판으로 봄이 지금 어디만큼 왔을까를 가늠하러 나갔던 것이다. 그러면서 불탄 자리를 괜히 후벼보는 것이다. 그러면 거기 거짓말처럼 쑥이 쏘옥 고개를 내밀고 있었으니……. 그때 비어져 나온 눈물은 도대체 기쁨의 눈물이었는지 슬픔의 눈물이었는지, 아니면 둘 다였는지 나와 내 동무들은 그때는 아무것도 몰랐었다. 다만 우리는 그해 봄에도 쑥을 캤을 뿐, 조선 쑥을 캤을 뿐. 조선 중에서도 전라도 촌가시내들이었던 우리는.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22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행복한 만찬

<공선옥> 저10,800원(10% + 5%)

공선옥이 먹고 자란 것들을 둘러싼 환경들, 밤과 낮, 바람과 공기와 햇빛, 그것들을 대하는 사람들의 몸짓과 감정들이 실린 스물여섯 가지 먹을거리 이야기을 담은 음식 산문집. 봄이면 쑥 냄새를 좇아 들판을 헤매고, 땡감이 터질듯 무르익는 가을이면 시원한 추어탕 한 솥을 고대하던 지난시절의 기억들을 소복한 흰 쌀밥 ..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김기태라는 한국문학의 새로운 장르

2024년 가장 주목받는 신예 김기태 소설가의 첫 소설집. 젊은작가상, 이상문학상 등 작품성을 입증받은 그가 비관과 희망의 느슨한 사이에서 2020년대 세태의 윤리와 사랑, 개인과 사회를 세심하게 풀어냈다. 오늘날의 한국소설을 말할 때, 항상 거론될 이름과 작품들을 만나보시길.

제 17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제 17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율의 시선』은 주인공 안율의 시선을 따라간다. 인간 관계는 수단이자 전략이라며 늘 땅만 보고 걷던 율이 '진짜 친구'의 눈을 바라보기까지. 율의 성장은 외로웠던 자신을, 그리고 타인을 진심으로 안아주는 데서 시작한다.

돈 없는 대한민국의 초상

GDP 10위권, 1인당 GDP는 3만 달러가 넘는 대한민국에 돈이 없다고? 사실이다. 돈이 없어 안정된 주거를 누리지 못하고, 결혼을 포기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다. 누구 탓일까? 우리가 만들어온 구조다. 수도권 집중, 낮은 노동 생산성, 능력주의를 지금이라도 고쳐야 한다.

잘 되는 장사의 모든 것

선진국에 비해 유독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 왜 대한민국 식당의 절반은 3년 안에 폐업할까? 잘 되는 가게에는 어떤 비결이 있을까? 장사 콘텐츠 조회수 1위 유튜버 장사 권프로가 알려주는 잘 되는 장사의 모든 것. 장사의 기본부터 실천법까지 저자만의 장사 노하우를 만나보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