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이 본 기사

[인터뷰] 김하나, 황선우 “저희는 재미에 진짜 진지해요.” 1
[인터뷰] 김하나, 황선우 “저희는 재미에 진짜 진지해요.”

‘좋은 것을 좋다고 말하는’ 김하나, 황선우 작가의 세 번째 공저 『하와이 딜리버리』. ‘일상에 바다를 끼워 넣고 싶다'는 마음으로 매일 소개한 915곡을 담은 음악 선곡집.

2025.08.20

염은영

[구구X리타] 미래의 백과사전 2
[구구X리타] 미래의 백과사전

이상하고 아름다운 책 ⑥ - 백과사전도 나무위키도 담지 못한, '나머지 지식'을 포괄하는 미래의 백과사전을 상상하며.

2025.08.19

이연숙(리타)

신이인 시인의 작업실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3
신이인 시인의 작업실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난 열심히 살다가 흉해졌다"는 시인의 말을 건네며 시작하는, 신이인 시인의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작업 이야기.

2025.08.13

박소미

[김이삭 칼럼] 인디밴드 ‘동근생’의 노래로 보는 타이완 문화 4
[김이삭 칼럼] 인디밴드 ‘동근생’의 노래로 보는 타이완 문화

중화권 대중문화와 문학 ① - ‘대만 감성’이 주목받는 지금, 음악과 문학을 통해 타이완 문화를 더욱 깊게 이해해 봅니다.

2025.08.12

김이삭

[인터뷰] 오은 “산문은 수렴하듯 쓰고, 시는 발산하듯 쓰죠“ 5
[인터뷰] 오은 “산문은 수렴하듯 쓰고, 시는 발산하듯 쓰죠“

시인 오은이 불러내는 무수한 밤, 그리고 밤에만 착해지는 사람들.

2025.08.11

신연선

아트러버라면 놓쳐선 안 될 2025년도 신상 미술관 3곳 6
아트러버라면 놓쳐선 안 될 2025년도 신상 미술관 3곳

천안의 새로운 예술스팟 뮤지엄 호두, 고분 품은 새로운 미술관 풍경 오아르미술관, 사진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꼭 방문해야 할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을 소개합니다.

2025.08.07

이지현(널 위한 문화예술 공동 대표)

원소윤 작가의 작업실 - 『꽤 낙천적인 아이』 7
원소윤 작가의 작업실 - 『꽤 낙천적인 아이』

지금 한국에서 가장 힙한 스탠드업 코미디언 원소윤의 『꽤 낙천적인 아이』 작업 이야기.

2025.08.06

박소미

[인터뷰] 조예은 “소외되거나 경계 밖에 있는 존재들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게 이야기의 의무라고 생각해요.” 8
[인터뷰] 조예은 “소외되거나 경계 밖에 있는 존재들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게 이야기의 의무라고 생각해요.”

‘2025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조예은의 세 번째 소설집 『치즈 이야기』. “이 이야기는 무서운 이야기인가요? 웃기는 이야기인가요?”

2025.08.05

염은영

성해나 작가의 책장 9
성해나 작가의 책장

25년 상반기를 『혼모노』로 뜨겁게 달군 성해나 작가가 한여름에 어울리는 B급 영화와 보사노바를 추천합니다.

2025.08.04

성해나

하현 작가의 작업실 - 『어쩌다 마트 일을 시작하게 됐어요?』 10
하현 작가의 작업실 - 『어쩌다 마트 일을 시작하게 됐어요?』

일하는 나와 글 쓰는 나 사이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고 있는, 하현 작가의 『어쩌다 마트 일을 시작하게 됐어요?』 작업 이야기.

2025.08.04

이참슬

1 [인터뷰] 김하나, 황선우 “저희는 재미에 진짜 진지해요.” [인터뷰] 김하나, 황선우 “저희는 재미에 진짜 진지해요.”
2 [구구X리타] 미래의 백과사전 [구구X리타] 미래의 백과사전
3 신이인 시인의 작업실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신이인 시인의 작업실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4 [김이삭 칼럼] 인디밴드 ‘동근생’의 노래로 보는 타이완 문화 [김이삭 칼럼] 인디밴드 ‘동근생’의 노래로 보는 타이완 문화
5 [인터뷰] 오은 “산문은 수렴하듯 쓰고, 시는 발산하듯 쓰죠“ [인터뷰] 오은 “산문은 수렴하듯 쓰고, 시는 발산하듯 쓰죠“
6 아트러버라면 놓쳐선 안 될 2025년도 신상 미술관 3곳 아트러버라면 놓쳐선 안 될 2025년도 신상 미술관 3곳
7 원소윤 작가의 작업실 - 『꽤 낙천적인 아이』 원소윤 작가의 작업실 - 『꽤 낙천적인 아이』
8 [인터뷰] 조예은 “소외되거나 경계 밖에 있는 존재들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게 이야기의 의무라고 생각해요.” [인터뷰] 조예은 “소외되거나 경계 밖에 있는 존재들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게 이야기의 의무라고 생각해요.”
9 성해나 작가의 책장 성해나 작가의 책장
10 하현 작가의 작업실 - 『어쩌다 마트 일을 시작하게 됐어요?』 하현 작가의 작업실 - 『어쩌다 마트 일을 시작하게 됐어요?』

더 보기

arrow 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