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우 칼럼] 소년이여, 신화가 되었는가
일본 서브컬쳐의 역작,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을 통해 '인간'이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2025.11.24
최현우
이실비 첫 시집, 어둠의 배후에서 다시 쓰는 사랑
시집을 묶고 나니 드는 생각은, 이 시집이 자동차 뒷좌석에 태워져 덜컹거리며 바라보는 풍경 같아요.
2025.11.24
출판사 제공
지친 하루 끝, 당신의 마음을 데워 줄 이야기
저는 윤오를 통해, 겉으로는 괜찮아 보이는 삶일지라도, 그 안에 자신의 마음이 없다면 그건 온전히 행복이라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2025.11.24
출판사 제공
[김미래의 만화절경] 오카자키 교코의 이름 붙이기
오카자키 교코가 만화 속 인물에 ‘치와와’라는 이름을 붙인다. 이름만큼의 행복과 불행과 어려움과 지루함을 떠올리면서.
2025.11.24
김미래
[나이듦을 읽다] ‘죽어감(dying)’에 대한 정밀한 지도가 필요하다
나이든 삶의 모습을 책을 경유해 다양한 측면으로 상상해 보는 리뷰 시리즈 ‘나이듦을 읽다’. 더 나은 생의 끝자락을 모색하려 시도하는, 허대석의 『우리의 죽음이 삶이 되려면』.
2025.11.24
송병기
[이다혜 칼럼] 수치심 없는 부유함이 주는 시각적 쾌락
에이미 해커링의 영화 <클루리스>를 통해 소설 『에마』와 제인 오스틴의 세계를 읽어 봅니다.
2025.11.24
이다혜
[더뮤지컬] 외로움에서 시작해 사랑으로 끝난 이야기…뮤지컬 <비하인드 더 문> 프레스콜
배우 유준상, 정문성, 고훈정, 고상호가 말하는 뮤지컬 <비하인드 더 문>
2025.11.21
이솔희
학교생활 고민, 지금은 아이의 '돌파력'을 깨울 시간
내 속에 분명한 힘이 숨어 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 아이들은 변화합니다
2025.11.21
출판사 제공
10대 딸을 떠나보낸 엄마가 세상에 전하는 삶의 회복과 재건에 관하여
‘널 보낼 용기’라는 제목에는 이별을 받아들이려는 마음과 그 이후의 삶을 선택하려는 의지가 함께 담겨 있습니다. 아이를 붙들거나 부재를 지워내려 애쓰는 대신, 그 사실을 삶의 일부로 인정하는 데서 용기가 시작된다고 느꼈습니다.
2025.11.21
출판사 제공
[리뷰] 신과 인간의 아들
삶의 연약함과 인간의 취약함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소설, 『예수의 아들』.
2025.11.21
유상훈 (편집자)
[더뮤지컬] <미세스 다웃파이어> 리디아, 어른의 조건을 묻다
장경진 칼럼니스트가 뮤지컬 <미세스 다웃파이어>의 리디아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합니다.
2025.11.21
장경진(공연 칼럼니스트)
[에디터의 장바구니] 『빨래』 『비신비』 외
20주년을 맞은 뮤지컬 <빨래>의 대본집부터 특별한 크리스마스 단편선까지. 서점 직원의 신간 장바구니를 소개합니다.
2025.11.21
채널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