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0년간, 거대도시 사람들의 모습은 급격하게 달라질 것이다. 그 숨 가쁜 변화 속에서 거대도시민의 이동을 어떻게 구상하고, 이를 구현해 내는지가 미래 우리들의 건강과 행복, 그리고 넷 제로의 달성까지도 좌우할 것이다.
칼럼 > 시사/과학/건강 > 전현우X정희원의 거대도시에서 이동하기 | 2023.10.04
다정하고 존중받는 삶을 원한다면 내 몸의 신호에 먼저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
예스 인터뷰 > 7문 7답 | 2023.10.04
행복을 알고 싶다면, 우리 집으로 오세요
칼럼 > 공연 > 맨 끝줄 관객 분더비니 | 2023.10.04
한 걸음 한 걸음은 한땀 한땀 꿰매는 행위다. 걸음이 반복되는 사이에 우리는 마주치고 멀어지고 접었다 펼쳐지며 새로운 장면을 만든다.
칼럼 > 대중문화 > 김지연의 그림의 등을 쓰다듬기 | 2023.10.04
[100호 특집] 고명재 "왜 사람들은 사랑할 때와 죽을 때 편지를 쓰는가. 왜 삶보다 사랑은 더 어려운가"
대학을 다니면서 가장 심장이 뛰었던 순간은 수업 중 『혼자 가는 먼 집』이라는 시를 처음 봤을 때. 한 사람이 시 속에서 정신없이 웃고 있었다.
문화 뉴스 > 특집 기획 > 채널 특집 | 2023.10.04
지금도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를 펼치면 소설이 쓰고 싶어진다.
문화 뉴스 > 특집 기획 > 채널 특집 | 2023.09.27
오늘도 지는 태양이 하늘을 붉게 물들인다. 서쪽으로 떨어진 태양의 불길이 저 너머의 한 대륙을 이글이글 불태우는 것처럼 보인다. 그곳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세상은 여전히 신비로운 이야기로 가득하다.
문화 뉴스 > 특집 기획 > 채널 특집 | 2023.09.27
‘책임’감을 가지고 ‘어떤 책’을 소개하는 시간이죠. ‘어떤,책임’ 시간입니다.
문화 뉴스 > 책읽아웃 | 2023.09.27
[책읽아웃] "맨 마지막 말은 사랑한단 말밖에 남지 않았다" (G. 신미나 시인)
“삶을 가끔 흐린 눈으로 보아야 할 때가 있다. 정확한 진실이 삶을 찌를 때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시는, 첫 산문집 『다시 살아주세요』를 출간하신 신미나 시인님 나오셨습니다.
문화 뉴스 > 책읽아웃 | 2023.09.27
[100호 특집] 김화진 "<ㅇㅇ와 ㅇㅇ>라는 제목의 소설을 쓰고 싶어"
문학이 문학만이 아니라 친구도 가능하게 했기에 문학을 더욱 사랑할 수 있었다는 것.
문화 뉴스 > 특집 기획 > 채널 특집 |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