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문제적 소설가 마리 다리외세크 방한
10월 28일 프랑스 논단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작가 마리 다리외세크 기자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방한은 『가시내』 출간을 기념하여 마련되었다.
글 : 채널예스 사진 : 출판사 제공
2014.11.03
작게
크게

그녀의 첫 작품은 『암퇘지』로, 한 여성이 암퇘지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렸다. 26세에 쓴 첫 작품으로 마리 다리외세크는 문단의 관심을 한 몸에 받게 된다. 첫 소설에서 소설가가 보여준 여성을 향한 관심은 『가시내』 에도 반복되는데, 소녀에서 여성으로 향해가는 여정을 파격적으로 그려냈다.

 

다리외세크.jpg

 


이날 행사에서 모습을 나타낸 마리 다리외세크는 자신이 “독자의 반응을 도발하는 작가”라고 소개하며 최근의 근황을 전했다. 그녀는 작년에 프랑스의 저명한 문학상인 메디치상을 받았다. 이 상은 대중성보다는 문학성에서 뛰어난 성취를 얻은 작가에게 주어진다. 수상 소식에 그녀는 자신의 문학성을 인정받아 기뻤다고 한다.

 

소설에서 파격을 추구하는 그녀이지만, 일상에서 마리 다리외세크는 평범한 시민이다. 세 아이를 둔 엄마이고, 가정주부의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태어난 곳은 소설 『가시내』의 배경이기도 한 프랑스 남동부에 있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파리에 거주한다.

 

그녀는 『가시내』를 읽기 전에 ‘포르노’와 자신의 글을 혼동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보통 여성의 성을 이야기하는 것을 포르노그라피라고 여기지만, 저자는 여성의 몸이 이성을 만나며 겪는 변모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며, 이런 주제에 관해 글을 쓸 뿐이라고 이야기했다. 『가시내』에는 자전적인 부분이 굉장히 많다. 어린 시절에, 청소년 시절에 썼던 일기가 훌륭한 자료가 되었다.

 

그 당시 또래 대부분이 다 일기를 썼다. 마리 다리외세크는 쓰는 것이 지루해서 녹음을 했다고 한다. 녹음한 뒤에는 정작 다시 들어볼 일이 없었다. 그러던 중 소설을 쓰면서 당시에 녹음했던 테이프를 다시 틀어보기 시작했다. 한 달 정도를 테이프를 듣는 데 투자했다. 이야기도 이야기었지만 당시의 소리를 듣는 게 감동적이었고, 작품을 쓰는 데 많은 영감을 제공했다.


IMG_6768.JPG


내용적인 면에서는 소설가가 자랐던 곳이 대서양 연안이긴 하지만 내륙 쪽으로 더 가까웠다. 그래서 동네가 다소 새로운 유행에 둔감했다. 처음으로 청소년기에 성과 사랑을 발견하는 여성, 소녀의 심리를 들으면서, 저자는 한편으론 감동을 받고 한편으로는 우습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이야기가 소설의 주제다.

 

마지막으로 소설가는 한 가지 더 당부했다. 1980년대라는 시기를 감안하고 읽어달라고. 1968년 5월 혁명 이후에 성해방이 이루어졌다. 에이즈라고 하는 병이 나타나기 전까지, 그러니까 1980년대가 성적으로는 가장 자유를 구사할 수 있는 시기였다. 인간이 성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허가되었던 시기였다.

 

이어서 마리 다리외세크와 그녀의 작품에 관해 궁금했던 질문이 이어졌고, 답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문학에 어떤 계기로 입문했느냐는 질문에는 “다른 것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글을 쓰는 게 숨을 쉬는 것과 같다고 답한 마리 다리외세크는 천상 작가였다.

 

마리 다리외세크는 이날 기자 간담회 외에도 사인회와 출간 기념회 등에 참석해 한국 독자와 만나는 시간을 가졌다.




 

 

[추천 기사]

- 왼손의 피아니스트 최혜연, 팔꿈치로 전하는 희망의 연주
- 201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파트릭 모디아노
- 당신을 떠나게 할 여행 뽐뿌! 
- 김제동 토크콘서트 노브레이크 시즌6 개막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다리외세크 #프랑스 #소설가 #여성
2의 댓글
User Avatar

앙ㅋ

2015.02.21

1980년대라는 시기를 감안하고 읽어달라고. 1968년 5월 혁명 이후에 성해방이 이루어졌다. 에이즈라고 하는 병이 나타나기 전까지, 그러니까 1980년대가 성적으로는 가장 자유를 구사할 수 있는 시기였다. 인간이 성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허가되었던 시기라고 말씀하시는 작가님 프랑스적이네요.
답글
0
0
User Avatar

서유당

2014.11.03

역시 모든 소설은 창작과 자전적 경험이 함께 녹아져 있는 게 대부분이네요. 자신의 경험이 결국은 창조적 감성을 불러온 거죠...
답글
0
0

암퇘지

<마리 다리외세크> 저/<정장진> 역

유령들의 탄생

<마리 다리외세크> 저/<권명희> 역

가시내

<마리 다리외세크> 저/<최정수> 역

가시내

<마리 다리외세크> 저/<최정수> 역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