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발견 프로젝트] 독서하고 싶은 공간 만들기
독서하고 싶은 마음을 자극하는 편안한 공간을 만들어줄 책과 아이템.
글 : 이참슬
2025.02.26
작게
크게

개구리가 잠에서 깨는 따뜻한 봄날이 다가오고 있다. ‘텍스트힙’ 트렌드에 발맞춰 올봄에는 산뜻하게 방을 꾸미고 책 속 무한한 세계로 푹 빠져보면 어떨까. 이번 취미 발견 프로젝트에서는 독서하고 싶은 마음을 자극하는 편안한 공간을 만들어줄 책과 아이템을 소개한다. 

 

STEP1. 소장욕을 불러일으키는 아름다운 책

내용만큼 아름다운 표지로 눈길을 사로잡는 다섯 권의 책. 

 


『사랑과 결함』

예소연 저 | 문학동네


한국문학의 기대주, 제48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예소연의 첫 소설집. 2023년 문지문학상 수상작 「사랑과 결함」, 이상문학상 수상작 「그 개와 혁명」 등을 비롯한 열 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사랑한다는 이유로 서로를 갉아먹고 훼손하다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사랑을 다짐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파과』 (리커버)

구병모 저 | 위즈덤하우스


노인, 여성, 킬러. 강렬한 여성 서사를 탄생시킨 구병모 작가의 대표작. 짧은 시간 빛나다 사라질 살아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뜨거운 찬사를 담은 소설이다. 양장 개정판 표지는 한 문장 한 문장 혼신을 다해 밀고 나가는 구병모 작가의 작품 세계와 꼭 닮은, 한 땀 한 땀 정성으로 피어난 이은정 자수 화가의 작품을 활용해 새롭게 표현했다. 


『셰리』

시도니 가브리엘 콜레트 저/장소미 역 | 녹색광선


감각적이고 혁신적인 문체, 대담한 주제, 주체적인 여성상, 복합적인 인물 묘사로 후대 여성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프랑스 작가 콜레트의 정수가 담긴 소설. 셰리와 레아의 복합적인 관계를 통해 사랑과 열정, 전통적 성 역할과 사회적 통념에 대한 도전, 자유에 대한 갈망, 흐르는 시간과 노스텔지어 등 여전히 울림을 주는 보편적인 주제를 이야기한다. 

 


『나목』

박완서 저 | 세계사


한국 문학의 거목 박완서 작가의 발자취를 간직하기 위한 ‘박완서 아카이브 에디션’으로 박완서 데뷔작 『나목』을 새롭게 선보였다. 6.25 전쟁 당시 작가의 자전적 경험이 담긴 이 작품은 박완서 40년 작품 활동에 근간이 되는 소설이다. “나목에겐 아직 멀지만 봄에의 믿음이 있다. 나무를 저리도 의연하게 함이 바로 봄에의 믿음리리라.” (본문 중) 세월을 꿰뚫는 동시대성을 가진 박완서의 명작을 특별하게 소장해 보자. 


 

『좋아하는 곳에 살고 있나요?』

최고요 저 | 휴머니스트


공간을 취향에 맞게 가꾸는 행복을 소개하고 방법을 알려주는 책. 최고요 작가의 『좋아하는 곳에 살고 있나요?』 는 큰 공사 없이 작은 시작으로 공간을 변화시키고 가꾸는 생생한 노하우로 가정살림 분야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 값비싼 가구 없이도 정성과 애정만으로 자신만의 아름다운 공간을 만드는 팁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TEP2. 작은 소품 하나로 색다른 분위기 만들기

특별한 ‘킥’이 될 다섯 가지 아이템.


 

좌식의자 패브릭 접이식 등받이의자 쿠션 자세교정


좁은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줄 좌식 소파. 작지만 알찬 사이즈와 가벼운 무게로 실용적인 접이식 소파 베드로 아늑한 휴식을 즐겨 보자. 

 


[리센스] 오늘의 한 권 – 독서조명


공간에 무드를 더해줄 독서 조명. 그라데이션 빛 조절 기능으로 섬세하게 밝기를 조정할 수 있고, 자석으로 어디든 부착할 수 있는 무선 형태로 기존 공간의 분위기를 헤치지 않고 따뜻함을 더해줄 것이다. 

 


[리센스] 오늘의 책장 – 기본형


책을 읽게 하는 습관을 길러줄 마법의 책장. 좁은 책상에도 올려놓을 수 있는 실용적인 사이즈로 어디서든 세 네 권의 책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천연 느티나무로 핸드메이드 방식으로 제작하는 소가구로, 자연스럽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클림트 - 아터제 (아터 호수)


인테리어에 작은 포인트를 주고 싶다면? 좋아하는 사진이나 그림을 걸어 분위기를 바꿔 보자. 클림트의 눈을 통해 그가 사랑했던 아터제 호수를 바라보며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을 보내도 좋겠다. 


 

무민 캔들 라지자 510g 2개


특별한 공간감을 원한다면 향기를 채워보면 어떨까? 체리크러쉬, 레몬라벤더, 퓨어코튼, 컵오브자스민, 러블리로즈 등, 크게 취향을 타지 않는 다섯 가지 스테디셀러 향기로 집중력을 높여 보자. 





* AI 학습 데이터 활용 금지

6의 댓글
User Avatar

juseonlove

2025.03.22

좋아요
답글
0
0
User Avatar

cha6676

2025.03.22

좋아요
답글
0
0
User Avatar

shraz9

2025.03.21

좋아요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Writer Avatar

이참슬

다양한 사람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Writer Avatar

구병모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2009년 『위저드 베이커리』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제2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한 『위저드 베이커리』는 신인답지 않은 안정된 문장력과 매끄러운 전개, 흡인력 있는 줄거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늘의작가상, 김유정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데뷔작 『위저드 베이커리』는 기존 청소년소설의 틀을 뒤흔드는, 현실로부터의 과감한 탈주를 선보이는 작품이었다. 청소년 소설=성장소설 이라는 도식을 흔들며, 빼어난 서사적 역량과 독특한 상상력으로 미스터리와 호러, 판타지적 요소를 두루 갖추었다는 평을 받았다. 작품을 지배하는 섬뜩한 분위기와 긴장감을 유지시키면서도 이야기가 무겁게 얼어붙지 않도록 탄력을 불어넣는 작가의 촘촘한 문장 역시 청소년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의 새로운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였다. 구병모 작가는 한 인터넷 웹진에서 '곤충도감' 이라는 작품을 연재했다. 이름을 가리고 봐도 구병모 작가의 작품인지 알 수 있을 만큼 작가 특유의 분위기가 살아 있는 작품으로, 용서에 대한 것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2015년 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로 오늘의작가상과 황순원신진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단 하나의 문장』 장편소설 『네 이웃의 식탁』, 『파과』, 『아가미』, 『한 스푼의 시간』이 있다.

Writer Avatar

시도니 가브리엘 콜레트

프랑스의 작가, 마임배우, 무용수, 저널리스트. 20세기 전반기에 가장 독보적인 프랑스 작가. 프랑스 역사상 국장으로 장례를 치른 최초의 여성. 20대인 1900년부터 1903년까지 클로딘 연작 4편을 썼고(거의 감금된 상황에서) 남편의 필명으로 출간되었다. 1년에 1편씩 썼으니 엄청난 생산성에 가혹한 노동 착취라 할 만하다. 이 클로딘 연작은 당대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둔다. '세기 최초의 사춘기 소녀'가 탄생한 것이다. 일상의 경험, 내밀한 감정, 사적 관계를 탐구하는 유연하고 서술적인 산문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문학적 경향, 내면의 복잡성을 포착하고 일상생활의 세부 사항을 조사하려는 당시의 문학적 경향에 딱 들어맞았다. 콜레트는 일곱 살에 발자크를 비롯해 코르네이유 등 프랑스의 고전을 탐독한다. 전직 군인이자 전쟁에서 한쪽 다리를 잃은 세금 징수원이었던 아버지로부터 프랑스어와 글쓰기 수업을 받았다. 부모의 따듯한 사랑 속에서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특히 집 안뜰의 정원에서 관찰 기술을 터득한다. 부르고뉴의 숲과 정원, 그 향수는 평생 콜레트 글쓰기의 근원에 자리 잡았다. 남편 윌리(Willy)는 당대의 영향력 있는 음악 평론가이자 작가, 그리고 출판 업자였다. 그는 젊은 아내를 파리의 문학계와 음악계에 소개했는데, 그곳에서 가브리엘은 부르고뉴의 거친 악센트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다. 젊은 아내의 글쓰기 능력에 놀란 Willy는 그녀를 쉐도우 대필작가로 이용한다. 클로딘 시리즈는 당시 문화현상이 될 정도였다. 클로딘의 단발머리가 도처에서 튀어나와 파리를 휘젓고 다녔다. 1906년 자신의 글에 관한 그 어떤 권리도 얻지 못한 채 남편과 별거에 들어간 후 콜레트는 뮤직홀에서 당대 최초의 여성 마임 배우가 된다. 그녀의 의상, 그리고 동료 여배우와의 키스 등으로 쇼는 경찰로부터 공연 금지를 당하기도 했다. 1906년 윌리와 헤어진 후에 쓰기 시작한 글들이 바로 출간을 앞둔 「les vrilles de la vigne 포도덩굴손」이다. 스무 편의 짧은 이야기 속에 어린 시절의 정원과 숲의 기억, 그리고 당시의 파트너인 마틸드 드 모니(미시)와의 이야기 등을 담고 있다. 이 시기 콜레트는 작가로서의 직업적인 성취도 이루기 시작한다. 1912년 콜레트는 정치인이자 언론인인 Henry de Jouvenel을 만나 결혼한다. 외동딸 Colette Renee de Jouvenel을 두었지만 남편이 바람을 피우자 40세의 나이에도 당시 16세였던 남편의 아들 베르트랑 드 주브넬 (Bertrand de Jouvenel)과 5년 동안 연인관계로 지낸다. 이때의 이야기가 1920년 소설 '셰리'로 출간된다. 소설은 베르트랑 드 주브넬과 관계를 맺기 몇 년 전인 1912년에 구상했다고 해서 환상이 현실이 된 것이라 말하기도 한다. (두 번째 남편과는 1923년에 이혼) 1910년대 후반엔 신문의 평론 기고와 연극 각색에도 참여하고 Maurice Ravel과 음악 작업도 함께하면서 배우, 작가, 가수이자 작곡가로 벨 에포크의 유명 인사가 된다. 1929년엔 대공황 속에서 생계를 위해서 파리의 rue de Miromesnil 에 '미용 연구소' 일종의 뷰티샵을 열고 자신의 이름으로 된 향수와 화장품을 만들고 여성들의 피부관리를 직접 해주기도 했다. 물론 기대했던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1년 만에 문을 닫는다. 그 해 콜레트는 자신보다 16살 적은 나이의 세 번째 남편인 Maurice Goudeket을 만나 결혼한다. 전쟁 중에는 남편 모리스가 유대인 출신이라는 이유로 게슈타포에 의해 체포되자 비시 정부의 유력 인사들을 비롯해 각계의 인물들을 동원해서 남편을 수용소에서 구출해낸다. 고관절염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그녀는 주로 침대에서 수많은 신문에 글을 쓰고 소설을 출판한다. 그녀의 비정치적 성향과 재정적 필요로 인해 독일 점령기의 협력주의 신문, 페탱주의 신문에도 글을 썼고 지하 언론의 저항 세력으로부터는 거친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독일 점령을 옹호하거나 찬양하는 글은 한 번도 쓴 적이 없었다. 그녀는 점령기의 일상, 전시의 여성들의 삶의 고단한 풍경을 써나갔을 뿐이다. 1945년엔 만장일치로 공쿠르 아카데미에 선출되었고 1949년에는 공쿠르 아카데미의 회장이 된다. 명성을 얻으려면 자신의 이미지를 잘 활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빨리 이해한 그녀는 20세기에 가장 많은 사진이 찍힌 작가로 남는다. 1954년 8월 3일 사망 후 가톨릭교회의 장례식은 거부당했지만, 프랑스는 여성 사상 최초로 국가 장례로 콜레트의 마지막을 기념하며 페르라세즈 묘지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