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노벨문학상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도서 인기
- 저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체르노빌의 목소리』 수상 전 한달 보다 20배 가량 판매 증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포함해 3040 관심 높아… 앞으로 출간될 신작도 인기 기대
글 : 예스24
2015.10.12
작게
크게

지난 8일 올해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언론인 출신 벨라루스의 여성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가 선정되며, ‘목소리 소설(Novels of Voices)'이라 불리는 그녀의 저서에 국내 독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_문학동네 제공.jpg

 

대한민국 대표 인터넷 서점 예스24(대표 김기호, www.yes24.com)는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저서 중 현재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2권의 도서에 대해 수상 전 한달 동안 판매가 거의 없다가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된 8일 저녁 8시 이후부터 11일 오전 9시까지 판매량이 20배 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특히 8일 국내 출간된 도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노벨문학상 발표 직후 135권이 팔리며 반향을 일으켰다.

 

 순위

 도서명

 출판사

 9/8~10/7

 10/8~10/11(9시)

 1

 체르노빌의 목소리

 새잎

12

87

 2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문학동네

 -

 135

 

 

대표작 『체르노빌의 목소리』,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3040 독자들에게 사랑 받아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대표작 중 하나로 전쟁에 직접 참전한 여성 200여 명의 목소리를 엮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는 3040 독자 비율이 68.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성 비율은 60.7%로 남성 구매율 39.3%보다 높게 나타났다. 1986년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 사건 이후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체르노빌의 목소리』은 역시 3040 독자 비율이 72.1%였으며, 여성과 남성 독자가 각각 52.8%, 47.2%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10월 11일 9시 기준 해당 도서 2권의 성연령별 구매는 30대 여성이 20.9%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여성(19.1%), 30대 남성(16.4%) 순이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구매자 성연령별 분석 

 성연령별

 남

총합계 

 10대

 0.0%

 0.0%

 0.0%

 20대

 3.0%

 9.8%

 13.1%

 30대

 8.2%

 21.3%

 29.5%

 40대

 16.4%

 23.0%

 39.4%

 50대

 9.8%

 3.3%

 13.1%

 60대

 1.6%

 3.3%

 4.9%

 총 계

 39.3%

 60.7%

 100.0%

 

『체르노빌의 목소리 구매자 성연령별 분석 

 성연령별

 남

총합계 

 10대

 0.3%

 1.4%

1.7%

 20대

 5.1%

 7.4%

 12.5%

 30대

 17.4%

 20.9%

 38.3%

 40대

 15.1%

 18.7%

 33.8%

 50대

 8.1%

 4.1%

 12.2%

 60대

 1.3%

 0.4%

 1.7%

 총

 47.2%

52.8%

 100.0%

 

조선영 예스24 도서팀장은 “알렉시예비치의 도서가 현재는 단 2권 번역 출간되었으나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인해 더 출간 검토될 예정으로, 앞으로 출간될 신간들도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예스24는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를 비롯해 2003년부터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들의 책을 소개하는 기획전을 진행하고 있다. 대상 도서를 2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YES포인트 500원 차감과 함께 알베르 까뮈 노트를 증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예스24 홈페이지(www.yes24.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스24 노벨문학상 수상작 특별전

http://www.yes24.com/eWorld/EventWorld/Event?eventno=117239

 

예스24_2015 노벨문학상 수상 발표 이벤트.jpg

 

 

* 참고

 

 

『체르노빌의 목소리』&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합계 성연령별 분석

 

 연령대

 남

총 계 

10대

 0.3%

 1.3%

1.6%

20대

 5.1%

 7.6%

 12.7%

30대

 16.4%

 20.9%

 37.3%

40대

15.2%

19.1%

34.3%

50대

 8.3%

4.1%

12.4% 

60대

 0.8%

 0.4%

 1.2%

70대

 0.4%

 0.1%

 0.5%

 46.5%

53.5%

 100.0%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노벨문학상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체르노빌의 목소리
0의 댓글

체르노빌의 목소리 : 미래의 연대기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저/<김은혜> 역

출판사 | 새잎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저/<박은정> 역

출판사 | 문학동네

Writer Avatar

예스24

예스24는 삶의 동기를 제공하는 문화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공연, 전시 등을 통해 끊임없이 계속되는 모두의 스토리와 함께 합니다.

Writer Avatar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1948년 5월 31일 우크라이나 서부의 스타니슬라브(現 이바노-프란콥스크)에서 우크라이나인 어머니와 당시 군인이던 벨라루스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의 아버지는 퇴역 후 가족과 함께 벨라루스의 작은 마을로 돌아와 부부가 함께 교사로 근무했다. 알렉시예비치는 재학 중 학교 신문에 다수의 시와 산문을 기고했다. 졸업 후 기숙사 보모, 농촌지역 교사로 2년간 재직하며 소련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한 ‘고용증명서’를 1965년 취득했고, 1966년에는 고멜 시 나로블의 지방 신문사에서 일했다. 그리고 마침내 민스크에 위치한 벨라루스 국립대학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972년 대학졸업 후 브레스트 지방 베레사의 지역신문사 기자와 공립 학교 교사로 동시에 근무했다. 이듬해 민스크 지역신문에 취직한 후 저널리즘에 온전히 종사하기로 결정했다. 1976년에는 문학잡지 [네만]에서 통신원으로 시작해 곧 보도부장이 되었다. 같은 해에 첫 서적 『나는 마을에서 떠났다』를 완성했다. 그러나 시골 주민의 도시 이주를 금한 소련 정부의 융통성 없는 여권정책을 비판한 내용으로 인해 출판은 금지되었다. 훗날 알렉시예비치 자신도 ‘보도성이 너무 짙다’며 책의 출판을 반대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단편, 에세이, 르포 등 다양한 문학장르를 시도했다. 당시 벨라루스 작가 알레스 아다모비치가 ‘집단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영역을 개척하던 중이었다. 아다모비치는 알렉시예비치가 ‘있는 그대로의 삶을 묘사하는’ 자신만의 문학방식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주었다. 이 방식의 궁극적 목표는 일상의 콜라주 형태로 개인의 목소리의 합창을 만드는 데 있었다. 1983년 탈고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에서 처음으로 이 방식을 도입했다. 이 책에서 작가는 세계2차대전에서 전투원, 당원, 공무원으로 참전했던 소련 여군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들의 전쟁 중과 후의 운명을 연구했다. 그 후 2년간 책의 출판을 위해 검열과 투쟁하면서 알렉시예비치는 ‘대조국전쟁(세계2차대전의 러시아식 표현)의 영광에 먹칠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결국 소위 ‘반공 태도’로 인해 일자리마저 잃었다. 책은 소련에 페레스트로이카가 도래한 1985년에야 모스크바와 민스크에서 동시 출판되었다 (1987년 독일어, 1988년 영어 번역본). 러시아 국내에서만 2백만 부 이상 팔리며 독자와 비평가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작가는 책을 연극과 기록영화로도 각색하였고 영화 버전은 라이프치히 국제 기록영화 주간에서 ‘은비둘기상’을 수상했다. 두 번째 저서 『마지막 증인』도 소위 ‘이념적 가치의 부재’라는 이유로 출판이 미뤄지다 1985년에 벨라루스에서 빛을 보았다 (1989년 독일어 버전 『Die letzten Zeugen』).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세계2차대전과 스탈린 시대를 겪은 여성과 어린이의 시각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의 고통스러운 경험도 묘사한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정부가 주도한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운동 덕분에 알렉시예비치는 더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그녀는 다수의 라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완성했고, 영화감독과 협업했으며 유명한 모스크바 연출가 아나톨리 에프로스를 위한 작품 등 다양한 시나리오와 극본을 집필했다. 여느 작품과 마찬가지로 차기작 『아연 소년들: 아프간 전쟁으로부터 울리는 소비에트 목소리』(1989)에도 상당한 시간을 들였다. 작가는 아프간 전쟁 참전군과 ‘아연 소년들’이라 불린 전사자(이들의 유해는 아연 관에 담겨 돌아왔다)의 어머니와 5백 건 이상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책은 10년 간 지속되었던 아프간 전쟁을 비신화하는 데 기여했고, 이로 인해 알렉시예비치는 1992년부터 여러 차례 민스크 법정에 섰지만 유죄 판결은 받지 않았다. 1993년에는 다음 작품 『죽음에 매료되다』를 완성했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소련 제국의 종말을 받아들이지 못한 사람들의 자살과 자살기도를 분석했다. 그 후에는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핵 참사를 다룬 알렉시예비치의 대표작, 『체르노빌의 목소리』(1997)를 쓰기 시작했다. 이 책은 참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이들을 심리적으로 묘사했다. 독일 신문 ‘프랑크푸르트 룬트샤우’는 작품을 ‘애도와 고발로 이뤄진 가공할 만한 진혼곡’이라 평가했다. 실제로 핵 ‘사고’가 인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끔찍한 보고서로 이뤄진 이 책은 유사 시 전세계 인류를 위한 지침서가 되었다. 벨라루스 현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센코가 집권한 1994년부터 알렉시예비치의 책은 그녀의 모국에서는 더 이상 출간되지 않았다. 그녀의 작품은 학교 교과과정에서도 삭제되었다. 1998년 라이프치히 유럽이해 도서전에서 수상한 알렉시예비치는 상금으로 『체르노빌의 목소리』의 러시아어판을 구입해 벨라루스로 반입했다. 바로 이 시기부터 알렉시예비치에 대한 벨라루스 당국의 공격이 심화되었다. 그녀의 전화가 도청되었고, 대중 앞에 나서지 못하게 되었으며 CIA와 결탁한다는 혐의까지 받았다. 2000년에는 국제피난처도시네트워크(ICORN)로부터 보호를 제안 받아 프랑스 파리에서 몇 년 동안 거주했다. 그 후에는 스톡홀름과 베를린에서 장학금을 받았다. 작가는 독일학술교류처(DAAD)의 ‘베를린 예술가 프로그램’에 초빙되어 자신의 최신 저서를 집필했다. 2011년 알렉시예비치는 벨라루스 독재정부의 핍박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민스크로 귀국했다. 『세컨드핸드 타임』은 독일에서 출간된지 일주일 만에 9,000부가 팔리며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또한 2013년 프랑스 에세이 부문 메디치상을 수상했으며, 문학잡지 [Lire]의 2013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앞서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주요 문학상 중 하나인 독일출판협회상을 수상했다. 이 책은 소련이 붕괴되고 20년 후 '붉은 인간'이라 명명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작품활동 초기부터 ‘목소리의 소설’이라는 자신만의 문학장르를 개척했다. 이에 따라 그녀의 모든 작품은 세계2차대전 시기부터의 러시아 역사와 함께 진행한다. 독일어로 출판된 그녀의 최신작 『Secondhand-Zeit. Leben auf den Truemmern des Sozialismus』 (2013년 9월)는 최근 몇 년간 사회적 격변을 겪은 이들의 정체성 모색 과정을 반영한다. 매 작품마다 많은 인터뷰를 통해 우선 전반적인 그림을 그리고, 그 후에는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각 개인에게서 얼마나 많은 인간성을 찾을 수 있고 그 개인 속의 인간성을 보호’하는 작업을 한다. 정서적 역사에 대한 알렉시예비치의 문학적 연대기를 접한 많은 이들은 그녀를 구 소련 국가 거주자들의 ‘도의적 기억’이라 칭한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작품은 35개 국어로 번역되었다. 아울러 다수의 연극, 라디오 드라마, 다큐멘터리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작가는 폴란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 문학보도상(2011)과 독일 도서전 평화상(2013), 2015 노벨문학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