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사람의 마음
감독의 팬이라면 이번이 ‘매력의 최대치’ 로 보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김훈 작가의 소설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화장>은 굉장히 싫은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글ㆍ사진 홍준호
2015.04.16
작게
크게

임권택 감독의 신작인 <화장>은 김훈 작가가 2004년에 발표한 동명의 단편소설이 원작이다. 원래 <화장>의 영화화에 욕심을 낸 사람은 <8월의 크리스마스>를 만든 허진호 감독이었다. (임권택 감독은 <칼의 노래>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 허진호 감독이 영화화를 포기하게 되고, 이후 <화장>은 발표한지 10년이 지나 임권택 감독에 의해 영화화 된다. 그는 현대를 다뤘다고 해도 어딘지 모르게 주류와 동떨어진 주제를 다뤄오거나, 주로 좀 더 이전의 시기, 옛 조선시대 등을 주로 다뤄왔다. 그래서 도회적 정서를 지닌 <화장>의 영화화는 감독의 이름을 생각하면 낯설면서도 또 새롭다. 임권택이 자주 변화하는 감독이긴 했지만 말이다.

 

1.jpg


도입부에서는 장례식 시퀀스가 등장한다. 오정식의 내면 풍경을 묘사한 일종의 환상이다. 흔히 감독의 작품에 대해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이미지이기도 한데, 작품에서 환상으로 처리했기에 이번 작품은 전작과 다르다는 선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화장>은 주인공이자 화장품 회사의 상무인 오정식(안성기) 상무가 뇌종양을 앓는 아내 (김호정) 를 간호하던 중, 회사 여직원인 추은주 (김규리) 를 좋아하게 된다는 줄거리다. 임권택의 영화는 김훈의 원작과는 다른 각색들이 몇몇 있다. 원작의 문체는 비위 약한 사람이 읽으면 당장 속에서 뭔가가 올라올 듯 적나라하고 징글징글한 묘사로 유명하다. 거의 탐미적인 경지인데, 감독은 이런 요소들을 꽤 간소화 시켰다. 원작이 다른 사람의 손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나름의 각색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임권택은 이 과정에서 거의 발버둥치듯 김훈의 세상을 외면하려 노력한다. 어떤 순간들에서는 거의 원작 활자를 옮겨온 것도 모자라 감독의 압도적인 내공까지 동반한 박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그걸 제외하면, 영화는 원작의 설정이 반영되는 시퀀스를 대부분 설렁설렁 무감한 방식으로 찍고 있다. 원작에서 정식이 앓고 있는 전립선염과 배뇨 장애 증세, 회사 화장품 광고에 넣어야 할 문구를 고르는 설정들이 기억 나지 않을 정도로 말이다. 특히 원작과 영화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추은주라는 여인을 묘사할 때다. 원작에서 그녀는 철저히 '오정식에게만 매력적’ 이었다. 소설에서 오직 그의 말을 통해서만 매혹적인 인물로 육화 될 뿐, 비중 자체가 철저히 주변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영화는 아예 추은주를 위한 이야기를 만들고, 또 다른 여주인공으로 등극시킨다. 이는 단편소설이었던 원작을 장편영화로 옮기는 과정에서 필요했던 각색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그러나 영화는 여기서 두 가지 갈래가 생긴다. 원작은 삶과 죽음을 다루는 과정과 묘사에서 풍부한 감흥을 제공하되, 어떤 현실성을 느끼긴 힘들었다. 영화는 이야기를 더 개인적인 영역으로 끌고 내려와 원작에 없었던 부분들을 획득해 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그저 ‘한 남자의 불륜 이야기’ 로만 받아들여질 여지도 생기게 하고 말았다.


2.jpg

 

좀 많이 이상하다


임권택 감독은 언제부터인가 인물의 감정을 드러내는 순간들을 전보다 미련 없이 간소화 했다. 거의 ‘몽타주 영화’ 인가 싶을 정도인데, 그 때문에 한 때 관객들에게 편집이 미완성인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젠 이 방식은 곧 나름의 영화적 리듬을 만들어 내어 작품의 매력이 됐다. 물론 영화를 만드는 감독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신들이 있다 싶으면 잘라낼 수 있다. 하지만 임권택 감독의 작품 속에서 이런 삭제의 순간은 결코 허투루 넘길 수 없으며, <화장>도 마찬가지다. 가령 예고편에 있었던 장면과 대사들 일부가, (내가 잘못 보고 들은 게 아니라면) 극장판에는 없었다. 오 상무가 슬로우 모션으로 유흥가를 지나가며 눈물을 흘리는 순간이 아주 미세하게 잘려나갔거나, 그의 아내가 “당신 마음 속에 있는 사람이 누구냐구. 말해…” 라고 외치는 대사가 들리지 않았다는 얘기다. 만약 온전히 놔 뒀으면 극 중 인물들이 속마음을 내보임으로써, 관객이 감정적으로 공명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봤다.


그러나 죽어가는 아내를 두고 젊은 여자에게 끌리는 남자, 대변이 줄줄 새는 자신의 모습을 수치스럽게 여기며 남편에게 미안함을 가지는 아내의 모습. 이들이 품고 있는 생각과 감정을 모두 드러내는 게 어찌 보면 관객 앞에서 벌거벗겨지는 것과 같다. 영화는 꽤 많은 흐름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크게 드러내지 않게 만드는 게 그들에 대한 ‘예의’ 라고 여기는 듯 하다. 임권택 감독과 예의라는 요소는 평론가들에 의해 자주 설명되어 왔는데, <화장>은 그걸 확연히 느낄 수 있는 작품 중 하나다. 작품은 오정식과 그의 아내가 서로에게 느낄 미안함과 고마움, 욕망과 비통함을 유추하지만 완전히 파악하지는 않는다. (가령 정식의 아내가 구토를 할 때 딸이 와서 커튼을 치는 순간이 있는데, 이는 카메라와 관객의 시선을 가리기 위해 쳐지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을 것이다. 등장인물들이 언젠가 접하게 될 대상이 ‘죽음’ 이니까. 죽음의 의미와 취해야 할 자세가 무엇인지 어떻게 알겠는가? 섣부른 배려는 지나친 오지랖이다. 그래서 작품은 삶과 죽음이 무엇인지에 관한 풍성한 생각거리 대신 건조한 정서를 택한다.


감독의 팬이라면 이번이 ‘매력의 최대치’ 로 보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김훈 작가의 소설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화장>은 굉장히 싫은 작품일지 모르겠구나 싶다. 추은주는 영화로 건너오면서 중년의 깊은 맛을 좋아하는 여자가 됐고, 현실 속에서 죽음의 문제를 충돌시키는 태도는 본편을 불륜 이야기처럼 보이게 했다. 결국 어쩔 수 없이 자꾸 근본적인 의문이 든다. 이 이야기를 하기 위해 ‘굳이’ 김훈 작가의 동명소설을 가져올 필요가 있었을까? 차라리 다른 감독이 만들었으면 어땠을까. 소설의 시선과 설정, 화법들을 찾아보기 힘들어 아쉽기 이전에, 임권택 감독에 의해 창작된 특성들이 원작에 존재했던 것들보다 더 낫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감독의 독특한 개성과는 별개로, 원작이 단물조차 다 빨리지 못한 채 홀대 받았다는 느낌이 든다. 그 홀대하는 행위를 신선하게 볼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작품적으로 호감이 들지는 않는다. 나는 아직까지는 감독의 전작인 <달빛 길어올리기>가 더 취향에 맞다. 아직까지는 말이다.


3.jpg

 

 

 

 

 

 

 

 

[추천기사]


- 마음의 지도를 그리는 여행 <와일드>
- <백설공주 살인사건> 세 치 혀와 세 마디 손가락이라는 흉기
- 이기적이고 거친 박동의 오르가즘 <위플래쉬>

-놓친 사랑의 거리, 그 쓸쓸함 〈엘리노어 릭비 : 그 남자 그 여자〉
- 아님 말고 내던진 칼날이 향하는 곳 <소셜포비아>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안성기 #화장
1의 댓글
User Avatar

언강이 숨트는 새벽

2015.04.25

흠,,원작의 기억이 고통이었지만 그래도 내면에 담은 여자상을 어떻게 그릴까 궁금했는데..그렇군요...왜 그랬을까요?죽음도 삶의 이쪽에있는 질투를 비켜가진 못한다는 걸 선명하게 보여주려는 의도치곤 의도가 확실히 의아한 일임에 더 봐야겠군요.어쨌든..
답글 (1)
0
0
Writer Avatar

홍준호

네이버(에서 전혀 유명하지 않은)파워블로거, 대학졸업생, 딴지일보 필진, 채널 예스에서 글 쓰는 사람. 혼자 작품을 보러 다니길 좋아하고 또 그런 처지라서 코너 이름을 저렇게 붙였다. 굳이 ‘리뷰’ 라고 쓰면 될 걸 뭐하러 ‘크리티끄’ 라고 했냐 물으신다면, 저리 해놓으면 좀 고상하게 보여서 사람들이 더 읽어주지 않을까 싶어서다. 이거 보시는 분들 글 마음에 드시면 청탁하세요. 열과 성을 다해 써서 바칠께요. * http://sega32x.blog.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