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션 롤러코스터
3편으로 접어든 시리즈물에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 캐릭터와 이야기의 신선도는 떨어지고 이야기와 소재 역시 더는 새롭지 않다. 더구나 냉전은 종식되고 첩보물의 고전적 구도가 무너진 상황에서 말이다.
국내에는 <제5전선>으로 알려진 오래된 스파이 시리즈물을 대형 영화로 만들면서 <미션 임파서블>(1996)이 취했던 전략은 전통을 깨버리는 것이었다. 스릴러의 거장 브라이언 드 팔마가 연출한 <미션 임파서블>에서 이단 헌트(톰 크루즈)가 속한 팀은 내부로부터 붕괴한다. 팀 플레이를 강조했던 TV 시리즈의 전통은 영화판에서 산산이 부서지고 심지어 이단 헌트의 연인마저 헌트를 배반한다. <미션 임파서블>에서 문제는 과연 누구를 신뢰할 수 있는가였고 결론은 아무도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오우삼이 연출한 <미션 임파서블 2>(2000)는 아예 이단 헌트의 로맨스와 낭만? 모험담으로 화면을 채운다. 남자의 극단적 낭만성을 표현하는 데 실력을 발휘했던 오우삼은 이 영화에서 톰 크루즈를 마치 홍콩 무협 영화의 낭만적인 영웅처럼 묘사한다.
6년 만에 다시 만들어진 속편 <미션 임파서블 3>에서 이안 헌트는 두 편의 전작과는 또 다른 색의 옷을 입고 등장한다.
|
|
|
영화의 오프닝을 여는 상황에서,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은 냉기 어린 악역 연기로 톰 크루즈가 연기하는 이단 헌트를 압도하며 영화의 긴장감을 한층 높인다. |
|
|
|
특유의 테마 음악과 함께 시작하는 타이틀 시퀀스 |
|
|
|
긴장된 분위기와 상반되는 약혼 파티 시퀀스. 이단 헌트는 줄리아(미셸 모나간)와 단란한 가정을 만들 준비를 착실히 해 나간다. |
강화된 팀 플레이
과연 누가 앉을 것인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미션 임파서블> 세 번째 시리즈의 감독 자리에는 초 히트 TV 시리즈물인 <로스트>와 <앨리어스>의 창조자인 J.J. 에이브람스가 앉게 되었다. 그리고 애초의 우려와 달리 <미션 임파서블 3>(이하
이 영화가 극장용 장편 영화로는 데뷔작인 J.J. 에이브람스가 전작과들 비교해
|
|
|
"5초 후에 메시지가 삭제된다"는 시리즈 특유의 전통적 지령 방식은 이 영화에서도 창조적으로 반복되고 이단 헌트는 다시 임무에 뛰어든다. |
|
|
|
초반부터 펼쳐지는 화려한 액션 시퀀스는 빠른 편집 리듬을 통해 시리즈를 관통하는 화려한 스펙터클을 선보인다. |
|
|
|
|
DVD의 서플먼트에서 톰 크루즈와 에이브람스가 강조하는 것처럼
|
|
|
바티칸 침투 작전 시퀀스에서 사용된 이 장면은 1편에서 사용된 장면에 대한 오마쥬라고 한다. |
|
|
|
|
|
|
|
직접 스턴트를 하는 것으로 유명한 톰 크루즈는 미사일의 후폭풍에 의해 차량과 부딪히는 연기 역시 직접 해냈다. |
강력한 캐스팅
그런 점에서 이 영화의 첫 장면은 주목할 만하다. 이 영화의 첫 장면을 장악하는 것은 악역인 오웬 데이비언을 연기하는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이다. 그는 권총으로 이단 헌트의 연인인 줄리아(미셸 모나간 분)의 관자놀이에 총구를 들이대고 이단 헌트를 단호하고 강력하게 윽박지르며 심리 게임의 승자로 등극한다. 이 오프닝 시퀀스의 강렬함은 이단 헌트가 설마 패배하는 게 아닌가, 라는 긴장감을 또는 헌트가 그의 연인을 잃게 되는 게 아닌가, 라는 불안감을 관객에게 전파한다. 여타의 스릴러물에서도 사용되던 방식이지만,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의 무표정한 악역 연기는 충분한 설득력을 전해준다고 하겠다. 이 오프닝 시퀀스가 타이틀 시퀀스로 이어서 자연스럽게 결혼을 앞둔 이단 헌트와 줄리아의 집 시퀀스로 이어지면서 영화는 숨 가쁜 리듬으로 질주하게 된다.
|
|
|
위기에 처한 이단 헌트는 조직 내부와 외부로부터 모두 위협을 받게 된다. |
|
|
|
오프닝 시퀀스의 위기 장면으로 점점 접근해 가는 이단 헌트는 단독 행동에 돌입한다. |
|
|
|
|
톰 크루즈는 영화에서 보이는 액션 장면 대부분을 대역 없이 연기해 냈고 그런 노슷은
|
|
|
CG로 구성된 디스크 1 메인 메뉴 |
|
|
|
장면 선택 메뉴 |

|
|
|
후반부 클라이맥스까지 가파르게 나아가던 액션 퍼레이드에서 잠시 숨을 돌리는 장면. 난기류에 휘말린 이단 헌트는 빌딩의 중간 쯤에 잠시 머문다. |
|
|
|
덮쳐오는 정유차 밑의 이단 헌트. 이 장면의 스턴트 역시 톰 크루즈가 직접 해냈다. |
|
|
|
로맨틱한 액션 히어로답게, 이단 헌트는 땀만큼이나 촉촉히 젖은 눈망울을 자주 선보인다. |
|
|
|
줄리아를 구하기 위해 사지로 뛰어든 이단 헌트의 운명은 과연 ? |
기대를 충족하는 화질
콘트라스트가 강한 조명과 강렬한 원색의 색감이 잘 살아있는

|
|
|
언어 메뉴 |
|
|
|
자막 메뉴 |
강렬한 임팩트의 음향
쉴 새 없이 액션 시퀀스가 펼쳐지는 영화답게 우퍼와 리어의 활용이 두드러지는 장면이 넘쳐나는
|
|
|
디스크 1 스페셜 피쳐 메뉴 |
|
|
|
톰 크루즈와 감독 J.J. 에이브람스가 진행하는 음성 해설 |
할리우드산 영화로는 드물게 톱 스타인 톰 크루즈와 감독 J.J. 에이브람스가 진행하는 음성 해설은 각 장면에 대한 세세한 설명 대신 영화의 성공에 대한 다소 자화자찬의 분위기로 진행된다. 동료들에게 예의 바른 것으로 유명한 톰 크루즈답게 주로 감사의 말씀이 많은 편이며 이 영화의 제작자이기도 한 그가 영화에 갖는 깊은 애정을 느낄 수 있다.
|
|
|
디스크 1: The Making of the Mission (28분 40초) |
본편만큼 빠른 편집 리듬으로 만든 대략적인 메이킹 필름으로, 이탈리아-미국-중국으로 이어지는 로케이션 장소를 따라 제작 과정을 밟아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중간 중간 배우들과 감독의 간략한 인터뷰가 담겨 있으며 주요 액션 장면의 제작 과정을 볼 수 있다.
|
|
|
디스크 1 삭제 장면 메뉴 (5분 32초) |
|
|
|
삭제된 메기 Q의 격투 장면 |
삭제된 5개의 장면이 수록되어 있다. 초반부 린지 구출 작전에 포함된 톰 크루즈와 메기 Q의 격투 장면은 영화의 빠른 리듬을 위해 삭제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영화의 맥락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 장면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첫 번째 디스크에는 2005년 MTV 영화상에서 톰 크루즈에게 헌정된 영상과 단순한 마초 학생으로 분한 <생도의 분노(Taps)>를 비롯한 초기작의 영상도 수록되어 있다.
|
|
|
|
|
|
|
|
|
|
|
디스크 2 메뉴 |
|
|
|
Inside the IMF (21분 13초) |
영화 속 비밀 정보 기관인 IMF의 이름이 붙은 이 메뉴는 배우들에 관한 메뉴다. 배우들이 각자 서로를 칭찬하는 분위기로 진행되어 다소 김새는 편이지만 화기애애한 제작 과정의 분위기를 느껴볼 수도 있을 듯하다. 각 배우은 자신의 캐릭터에 관한 소개와 영화를 촬영하면서 느낀 점 등을 간략하게 전해준다.
|
|
|
Mission : Action (25분 37초) |
영화의 주요 액션 장면의 제작 과정을 담은 메이킹 필름이다. 액션 장면을 담당해 연출한 빅 암스트롱을 비롯해 스턴트팀의 모습과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음.
|
|
|
Visualizing The Mission (10분 38초) |
복잡한 액션 시퀀스를 위해 스토리보드 대신 사용한 '사전 시각화' 장면을 볼 수 있는 메뉴. 사전 시각화는 엄청난 예산이 소요되는 액션 장면을 효과적으로 촬영하고자 활용된다고 한다. 메뉴의 뒷부분에서는 영화속 장면과 사전 시각화 장면을 비교해 볼 수도 있다.
|
|
|
Mission: Metamorphosis (8분 8초) |
이 영화에서 처음 소개된 도구인 '마스크 제조기'의 제작 과정이 담긴 메뉴다. 시드 미드라는 예술가의 디자인으로 소품팀이 제작한 후, ILM의 시각 효과 기술의 도움으로 완성된 장면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담겨 있다. 그 외에도 두 번째 디스크에는 영화 음악을 소개하는 Scoring
The Mission (4분 58초)과 미국의 인터넷 사이트 Moviefone.com의 프로그램에 출연해 대담을 나누는 톰 크루즈와 J.J. 에이브람스의 대화가 담긴 Moviefone Unscripted (8분 2초),
뉴욕, 로마, 런던, 파리, 일본에서 프리미어 행사를 진행하는 톰 크루즈와 출연진의 모습이 담긴 Launching The Mission (14분 2초)과 극장용 예고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1,2분 분량의 이스터 에그가 여러 편 수록되어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