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의 인문학] 여섯 개의 기본색 + 다섯 개의 중간색
평화를 상징하는 “파랑”은 언제부터 모든 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한 것일까? 맑고 깨끗한 느낌의 “하양”이 웨딩드레스의 색으로 채택된 이유는 무엇일까? “노랑”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 결정적 이유는 금색과의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일까?
글 : 출판사 제공 사진 : 출판사 제공
2020.04.06
작게
크게

카드뉴스1.jpg

 

카드뉴스2.jpg

 

카드뉴스3.jpg

 

카드뉴스4.jpg

 

카드뉴스5.jpg

 

카드뉴스6.jpg

 

카드뉴스7.jpg

 

카드뉴스8.jpg

 

카드뉴스9.jpg

 

카드뉴스10.jpg

 

카드뉴스11.jpg

 

카드뉴스12.jpg

 

카드뉴스13.jpg

 

 

 

 

 

미셸 파스투로는 사람들이 색에 품고 있는 사회 규범과 금기, 편견 등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미로 변주되어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태도, 언어와 상상계에 미치는 색의 영향력을 역설한다. 그는 그림이나 장식물, 건축, 광고는 물론이고 우리가 일상에서 소비하는 제품, 옷, 자동차 등 이 세상 모든 것들의 색이 비밀에 싸인, 불문(不文)의 코드로 지배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제 그가 들려주는 컬러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통해 색이 가진 상징성과 역사적ㆍ사회적 의의를 짚어보도록 하자.

 

 

 

색의 인문학 미셸 파스투로, 도미니크 시모네 저/고봉만 역 | 미술문화
이 열한 가지 색 다음에는 분리와 분류가 불가능하고, 말로 표현하기도 어려운 다채로운 색들이 끝없이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 색들을 일일이 파악하고 정의하는 것은 부질없는 짓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의 댓글

색의 인문학

<미셸 파스투로>,<도미니크 시모네 > 저/<고봉만> 역

출판사 | 미술문화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