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아주 먼 섬] 희망이란 소금꽃을 쥐고 사는 간절함에 대해
삶의 다채로운 양상들을 세밀하게 펼쳐 보이는 일에 일가견이 있는 작가답게, 정미경은 섬을 떠났으나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의 드라마를 세심하고 따뜻하게 그려낸다.
글 : 출판사 제공 사진 : 출판사 제공
2018.01.31
작게
크게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2.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3.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4.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5.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6.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7.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8.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9.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0.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1.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2.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3.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4.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5.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6.jpg

 

당신의아주_카드뉴스17.jpg

 

 

 

 

지난해 1월 18일, 소설가 정미경이 세상을 떠났다. 암을 발견한 지 한 달 만이었다. 너무도 갑작스런 일이라 남은 사람들의 비통함이 컸다. 그를 아끼고 그의 소설을 좋아하던 독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정미경은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희곡이 당선되고, 2001년 『세계의문학』에 단편소설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세 권의 장편소설과 네 권의 소설집을 출간하며 한국소설사에 독자적인 자리를 만들어왔으며, 이상문학상과 오늘의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정미경은 늘 새로운 이야기를 갈구했고 인간의 심리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무엇보다 한 편의 소설도 허투루 써내지 않았다. 그가 떠난 지 1년, 화가이자 그의 남편인 김병종이 그의 집필실에서 찾아낸 한 편의 소설이 세상에 선보인다. 어디에도 발표된 적 없는 그의 마지막 장편소설 『당신의 아주 먼 섬』 이다.


 

 

당신의 아주 먼 섬정미경 저 | 문학동네
손바닥 안에 삶의 희망을 쥐고 사는 사람들의 간절함에 대한 이야기다. 건너갈 희망이 있을 때 삶은 아름답지만 그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각자의 눈은 모두 다르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당신의 아주 먼 섬 #희망 #소금꽃 #아름다움
0의 댓글

당신의 아주 먼 섬

<정미경>

출판사 | 문학동네

당신의 아주 먼 섬

<정미경>

출판사 | 문학동네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