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무의미의 축제
밀란 쿤데라 저/방미경 역 | 민음사
쿤데라 시대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알리는 14년만의 신작 소설
현존하는 최고의 작가 중 하나죠. 밀란 쿤데라가 14년만의 장편소설을 발표했습니다. 제목도 쿤데라 답죠. 모두 7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1부 챕터의 제목은 ‘주인공들이 등장한다.’ 입니다. 그 자체가 밀란 쿤데라가 정석으로 불리는 소설 기법을 따라가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죠. 이 작품에는 네 명의 주인공이 등장합니다. 하지만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달리 전부 남자 캐릭터입니다. 도입부에 인상적인 화두가 나오는데요, 바로 배꼽에 관한 부분입니다. 주인공 중 한명이 길거리에서 배꼽티를 입은 여자를 보고 여러 가지 생각을 합니다. 에로스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배꼽은 모든 여성들이 같다는 겁니다. 그래서 무의미하다는 전제한 다음에 “그렇다면 배꼽이 우리에게 전하는 에로틱한 메시지는 무엇일까?”라고 질문을 하며 이야기를 풀어 갑니다. 이런 방식은 쿤데라가 가장 잘 구사하는 방식 중 하나인데요 흥미롭지 않을 수 없습니다.
![]() |
사회를 말하는 사회
정수복 등저 | 북바이북
한국 사회를 읽을 수 있는 30개의 키워드
최근 현대 사회를 진단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 책들 30권에 관한 서평 모음집이면서, 그자체로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을 담아 놓은 30명의 필자의 글들을 모은 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기획 시점과 의도 자체가 세월호의 비극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수많은 문제점을 모두 모아놓은 비극이 바로 세월호 사건이라고 볼 수 있을 텐데요. 세월호 사건 후, 우리 사회를 근본부터 돌아보자 라는 자성의 움직임 역시 강하게 나타나고 있고, 이 책 역시 그렇습니다. 한국 사회가 가진 총제적인 문제를 이 책을 읽으며 일별하면서 생각해보는 것도 무척이나 의미 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
스탠리 큐브릭
스탠리 큐브릭 저/진 D. 필립스 편/윤철희 역 | 마음산책
글이 편하다며 인터뷰를 꺼리던 그의 몇 안 되는 ‘말’들이 온전히 담긴 책
마음산책 출판사에서 펴내고 있는 영화감독 인터뷰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스탠리 큐브릭하면 과작의 거장입니다. 그렇게 많은 작품을 만들지 않았음에도 만든 작품들은 하나같이 해당 장르에서 걸작, 수작, 대표작으로 논의가 되는 감독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탠리 큐브릭은 사실 인터뷰를 극도로 꺼린 사람입니다. 하지만 영화 감독이라는 신분 때문에 영화가 개봉 할때마다 인터뷰를 진행했고, 그런 몇 안 되는 인터뷰를 모았다는 점에서 이 책이 더욱 가치 있는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책을 보다보면 스탠리 큐브릭이 얼마나 꼼꼼하고 완벽주의자인지 알 수 있는 답변들이 담겨 있고요, 그가 가진 섬세함과 솔직한 면모까지 살펴볼 수 있는 책입니다.
이동진
어찌어찌 하다보니 ‘신문사 기자’ 생활을 십 수년간 했고, 또 어찌어찌 하다보니 ‘영화평론가’로 불리게 됐다.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지만 한 번도 꿈꾸진 않았던 ‘영화 전문가’가 됐고, 글쓰기에 대한 절망의 끝에서 ‘글쟁이’가 됐다. 꿈이 없었다기보다는 꿈을 지탱할 만한 의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제, 삶에서 꿈이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되물으며 변명한다.

![[오정은의 미술과 문장] 불안 시대의 낭만 - 전통을 재조립하는 미술](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0/20251023-fd5a2af8.jpg)
![[추천핑] 어쩔 수 없이 밀려남에 고하다](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9/20250919-727bd620.jpg)
![[리뷰] 자신에게 일어나지 않은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죠?](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5/20250508-1a283524.jpg)
![[여성의 날] 우리는 유령국가다](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3/20250306-722027e6.png)

빛나는보석
2014.08.13
메롱
2014.08.12
자신이 읽어보지 않더라도 책에서 느껴지는 깊고 진한 감성들이 느껴지네요.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