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최초 발견한 소행성 ‘통일’
11월 5일은 국내 천문계에 경사스러운 날이다. 1998년, 한국인이 최초로 발견한 소행성 ‘통일’을 국제천문연맹(IAU)이 공식 인정한 날이기 때문이다.
글 : 채널예스
2013.11.05
작게
크게

20131105d.jpg

재미있는 별자리여행

 

11월 5일은 국내 천문계에 경사스러운 날이다. 1998년, 한국인이 최초로 발견한 소행성 ‘통일’을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이 공식 인정한 날이기 때문이다. 그 당시까지 8000개가 넘는 소행성이 발견되었지만, 한국인이 발견한 소행성은 한 개도 없었다.

 

소행성 ‘통일’을 발견한 사람은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으로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인 이태형(李泰炯) 박사이다. 1964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공학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우주과학과를 졸업(이학박사)하였다.

 

조선일보 과학 자문위원이며 한국과학기자협회 명예회원, 한국과학언론인회, 한국과학저술인협회 정회원에 속해있다. 1995년 중앙일보와 천문대 주최 제 3회 천체사진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았으며, 국내 최초로 소행성 ‘통일’을 발견한 공로 등으로 과학기술부 신지식인으로 선정되었다.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장과 대전시민천문대 대장,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심의위원 등을 역임했다.

 

1996년 가평 코스모피아천문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3군데 천문대를 기획했다. 그가 공들여 세운 강원도 영월 봉래산의 별마로천문대는 안성기와 박중훈이 출연한 영화 <라디오 스타>에도 나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태형 박사의 대표 저서인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은 초판이 3일 만에 동날 정도로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다. 책은 지금까지 30만부 넘게 팔려 자연과학서적 분야에서 최대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태형 #재미있는별자리여행 #천문 #소행성 #통일
1의 댓글
User Avatar

2014.02.02

별자리눈으로 봐서는 큰 의미는 몰라도 이렇게 이야기를 덧입히면 신화처럼 느껴져요.
답글
0
0

우리 별자리

이태형 저/김한준,이주형 그림

어린왕자

<생 텍쥐페리> 저/<박성창> 역

출판사 | 비룡소

별자리 이야기

조앤 힌즈 저/승영조 역/이태형 감수

출판사 | 승산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1

<이태형> 글/<카툰플러스> 그림

라디오 스타 : 블루레이

<이준익>,<박중훈>,<안성기>

우주 속으로 걷다

<브라이언 토머스 스윔>,<메리 에블린 터커> 공저/<조상호> 역/<이태형> 감수

Deep Impact (딥 임펙트) (한글무자막)(Blu-ray) (1998)

<Morgan Freeman>,<Tea Leoni>,<Elijah Wood>,<Robert Duvall>,<Vaness Redgrave>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Writer Avatar

이태형

별 보는 사람. 1964년 춘천에서 태어나 별을 보며 자랐다. 대학에 입학해 별 보는 동아리 ‘아마추어천문회’ 활동을 하며 별과 더욱 친숙해졌다. 서울대학교 화학과 졸업 후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도시계획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우주과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에서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국내 최초의 시민천문대인 대전시민천문대, 영월별마로천문대를 비롯한 여러 시민천문대를 기획했고, 천문잡지 [별과 우주]를 창간, 발행했다. 지은 책으로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별밤 365일』『쉽게 찾는 우리 별자리』『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어린왕자와 함께 떠나는 별자리 여행』 등이 있다. 특히 1989년 펴낸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이 30만 부 넘게 팔리며 아마추어 천문 관측의 바이블로 자리 잡은 것을 계기로 천문학을 업으로 삼게 되었다. 별 보기에 관해서라면 지기 싫어해서, 사진도 못 찍는 별 전문가가 있냐는 말을 듣고 한동안 사진에 몰두해 천체사진 공모전 대상을 받았다. 일본인이 소행성에 세종대왕의 이름을 붙였을 때는 별도 하나 못 찾느냐는 높은 분의 질책에 또 한동안 소행성 탐사에 몰두해 소행성 ‘통일’을 찾아 명명하기도 했으며, 신윤복의 〈월하정인〉 제작 일자를 천문학적으로 고증하기도 했다. 언젠가 한국에 그리피스천문대 같은 멋진 천문대와 누구나 은하수를 쉽게 볼 수 있는 은하수 마을을 만들 날을 꿈꾸며 오늘도 밤하늘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