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 떨어진 찌라시에 그림을 그렸더니…
나는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한다. 어렸을 때 너무도 물자가 없어 버릴 게 없던 시골 초가집에서 살아서 그럴까? 50년 전 시골에서는 정말로 버릴 게 없었다.
글: 박재동 사진: 박재동
2012.01.31
작게
크게
나는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한다. 어렸을 때 너무도 물자가 없어 버릴 게 없던 시골 초가집에서 살아서 그럴까? 50년 전 시골에서는 정말로 버릴 게 없었다. 귀한 신문지도 화장실 휴지로 썼고 내 시험지는 할머니 담배 말아 피우는 종이로 썼다. 그 어떤 버리는 것도 거름이 되었다.

‘쓰레기’라는 말도 배추잎 시든 것 떼낸 ‘시래기’에서 나왔을 것이다. 그것도 시래기국(시락국)을 만들어 먹는다. 단 한 가지 버리면 안 되는 것은 연 만들고 남은 대나무 빚은 것이다. 할머니가 그것만큼은 썩지 않아 거름이 안 된다며 못 버리게 했다. 당연히 불에 태워 거름으로 했다. 똥도 물론 남의 집에 가서 누면 안 된다. 거름이니까.

그래서 그런지 나는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한다. 게다가 길가에 떨어져 있는 소위 ‘찌라시’들을 주워 모으는 버릇도 있다. 모든 것이 다 귀중해 보인다. 이것저것 그래도 만들 땐 신경 써서 만든 것인데…

그리고 이런 물건 하나하나가 다 이 시대를 증언해 주는 말인데… 그래서 난 찌라시든 전표든 우편물 봉투이든 어디든 그리고 싶어지고 거기다 내 나름 재미로 작품을 만들기도 한다. 올여름 그걸 전시했더니 친구 이희재 화백이 ‘찌라시 아트’로 이름 지으라 한다. 재밌다.




◈ 작가소개

박재동
1952년 경상남도 울주군(현 울산광역시) 범서읍 서사리에서 태어나 물장구 치고 소 먹이면서 자랐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 그림을 그린다며 방바닥 장판을 송곳으로 모조리 뚫어놓았는데, 부모님은 야단 대신 “잘 그렸다”는 짧은 심사평을 남겼고, 이때 일은 그의 그림 인생에 가장 결정적인 순간이 된다. 열 살 전후 부산으로 이사, 아버지가 차린 만화방에서 실컷 만화를 볼 수 있었고, 이후 대학 때까지 만화를 끼고 살았다.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 휘문고?중경고 등에서 미술교사로 일했으며, 1988년 <한겨레> 창간 멤버로 참여하여 8년 동안 한 컷짜리 ‘한겨레그림판’을 그렸다. 박재동의 만평은 기존의 시사만화의 형식을 과감하게 깬 캐리커처와 말풍선 사용, 직설적이면서도 호쾌한 풍자로 “한국의 시사만화는 박재동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진다”는 세간의 평을 들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박재동의 실크로드 스케치 기행 1, 2』 『인생만화』 『십시일반』(공저) 등의 책을 펴냈다. 예술이란 특별한 예술가들이 대중들에게 던져주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자신만의 예술을 꽃피워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있다.



 

12의 댓글
User Avatar

yeunbora0821

2012.06.30

독특하네요 저도 습작을 해보아야겠어요^^
답글
0
0
User Avatar

가호

2012.06.30

아! 저도 이제 영수증에 그림을 그려보아야겠네요. 나름 괜찮은 듯 합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아자아자

2012.03.14

저도 근검절약으로 자수성가하신 농군네를 부모님으로 아직도 두고 있습니다. 그게 몸에 배었지요. 버리고 나면 꼭 쓸일이 생겨서 못 버리게 됩니다. 그걸 잘 이용하는 지혜가 십분 발휘되기전 창고가 크면 좋은데...ㅎ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박재동의 손바닥 아트

<박재동>

출판사 | 한겨레출판

Writer Avatar

박재동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