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또예프스끼의 『죄와 벌』
글: 채널예스
2006.11.23
작게
크게


어린 시절 당당하게 읽고, 소유할 수 있었던 책은 어린이용 세계문학 전집이라든가 위인전뿐이었습니다. 저희 부모님께서도 다른 부모님과 마찬가지로 ‘아이들 교육’에 있어서는 매우 적극적인 분이셨기에 간식은 안 사주셔도 이런 종류의 책은 잘 사주셨거든요. 딱히 세계문학 전집을 싫어하는 건 아니었지만 당시 보고 싶었던 건 이런저런 종류의 만화책이었기에 ‘한 번쯤은 사놓고 읽지 않는 위인전 말고 만화책 좀 사주시면 안 되나’라고 속으로 투정부렸던 기억이 납니다. (열심히 공부시키려 하셨지만 한 번도 진지하게 공부하지 않았던 아들이었던지라 죄송합니다.;;)

그 당시 읽었던 어린이용 세계문학 전집 중 마크 트웨인의 『톰 소여의 모험』이라든지 쥘 베른의 『15소년 표류기』, 앙리 파브르의 『파브르 곤충기』, 위다의 『플랜더스의 개』 같은 흥미로운 책은 매우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만, 톨스토이나 도스토예프스키, 괴테 같은 작가의 책은 ‘아니, 세상이 이렇게 재미없고 따분한 책이 또 있단 말인가?’라든지 ‘왜 이런 사람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문학인 중의 하나인 거지?’라며 당황했었고, 학창 시절에는 ‘러시아 문학인들은 세상에서 가장 따분한 존재’, ‘고전문학은 지금 시대에 읽기엔 너무 구식이야’라는 편견에 사로잡혔죠.

하지만, 스무 살에 읽게 된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은 지금도 가장 좋아하는 소설 중 하나가 되어 버린 책인데요. 자간, 자폭도 좁은 깨알 같은 글씨로 1,500페이지가량 되는 소설을 단숨에 읽어버리고는 눈이 너무 아파 고생했던 안 좋은 기억이 있지만 읽는 내내 산소가 부족해 호흡이 가빠지는 것처럼 팽팽한 긴장감에 숨소리조차 죽여 가며 재미있게 읽은 기억도 있습니다. 이때 느꼈던 긴장감은 스티븐 킹이나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서 느끼는 긴장감과는 다른, 아주 무거운 느낌이었는데요, 아주 근사한 기분이었지요.

이렇듯 어려서 읽었던 『죄와 벌』과 성인이 되어서 읽은 『죄와 벌』이 다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때는 어렸으니까’라기보다는 그때 읽은 건 ‘어린이용 『죄와 벌』’이었기 때문이 맞는 것 같습니다. 사실 완역판이 아닌 소설은 ‘가짜’라고 말해도 될 만큼 전혀 다른 소설이기 때문이죠. 전체적인 줄거리만 같을 뿐, 그것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이 아니라 옮긴이의 『죄와 벌』이니까요. 번역을 누가 하느냐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는 소설을 아예 다른 사람이 써버리고 1,500페이지가량 되는 소설을 150페이지로 줄여버리니 그게 재미있을 리 없죠. (흔히 장발장으로 불리는 『레미제라블』 같은 경우가 가장 좋은 예가 아닐까 합니다.)

대부분의 어린이용 문학이 그렇습니다만, 이렇게까지 줄이고 편집해서 굳이 읽혀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이런 책 말고도 어린이들이 읽을 책은 무척 많은데 말이죠. 세계적인 문학인의 이름을 새기고 읽기 쉽게 줄여버려야 아이들이 많이 읽는다는 의도라면 저같이 이상한 선입견으로 가득 찬 성인을 만드는 지름길이기도 한데 말이죠.

괜히 저같이 이상한 선입견에 사로잡혀 ‘고전문학 따위는 따분해서 안 봐’라고 생각하고 계신 분은 민음사나 범우사에서 나오는 전집을 조금씩 읽어보세요. 정말 재밌는 책들이 많답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은 열린책들과 범우사 모두 좋고요.


죄와 벌
도스또예프스끼 저/홍대화 역 | 열린책들

도스또예프스끼의 장편 소설. 이 작품은 급박한 상황 속에서 속기사인 안나 그리고리예브나의 도움으로 1866년 1월부터 12월에 걸쳐 '러시아 통보'에 연재된 뒤, 1867년에 약간을 수정을 거쳐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작가로서 명실공히 도스또예프스끼의 명성을 확고하게 만든 후기 5대 장편 가운데 첫 작품인 「죄와 벌」은 겉으로는 살인 사건을 다루는 탐정 소설의 형식을 취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한 가난한 대학생의 범죄를 통해 무엇보다도 죄와 벌의 심리적인 과정을 밝히며 있으며, 이성과 감성, 선과 악, 신과 인간, 사회 환경과 개인적 도덕의 상관성, 혁명적 사상의 실제적 문제 등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6의 댓글
User Avatar

하루

2012.03.11

1500페이지를 150페이지로 줄여서 출간하는 어린이용 명작들이 대부분이었지요. 나이들어 제대로 된 책들을 마주할 때 추억비슷한 게 어렴풋이 떠오릅니다. 그래도 여전히 멋진 책들입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montana25

2006.12.07

그림너무나 이뻐서 담아갑니다 글과 그림...너무나 아름다워요^^
답글
0
0
User Avatar

좌라수나비

2006.11.28

중학생 때 집에 가는 버스 시간을 남겨두고 공립 도서관으로 부랴부랴 달려가서 책들을 읽곤 했었는데 너무 두꺼운 책이었기에 짬 낸 시간에 읽긴 무리인지라 방학하자마자 집어들었던 책이었습죠. 제가 원래 추리소설 쪽을 좋아하진라 왠지 그런 분위기인 것 같아 처음엔 기대에 부풀어 재밌다,재밌다하면서 읽었는데 100페이지도 못 읽고 굉장히 따분하고 읽기 곤욕인 책이구나 투덜대면서 읽었던 기억이 나요..그때 걍 속독으로 대충 읽고서는 다시 책장에 꽂았었다는... 몇 년 뒤 그 도서관에 다시 찾아 갔을 때 여전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던 죄와 벌을 다시 꺼내 읽고서는 읽고 있는 내내 마치 내가 라스꼴리니꼬프가 된 것 마냥 완전 몰입해서 읽어버렸었어요... 확실히 어린 마음과 생각에 읽는 거랑 어느 정도 자란 후 읽는 거랑은 차이가 너무 많이 난다는.. 캐공감한 글과 그림0_0b 였어요!!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레미제라블 1

<빅토르 위고> 저/<방곤> 역

죄와 벌 (상)

<도스또예프스끼> 저/<홍대화> 역

15소년 표류기 1

쥘 베른 저/김석희 역

톰 소여의 모험

<마크 트웨인> 글/<도널드 매케이> 그림/<지혜연> 역

출판사 | 시공주니어

플랜더스의 개

<위다> 글/<하이럼 빈즈> 그림/<노은정> 역

출판사 | 비룡소

파브르 곤충기 1

<장 앙리 파브르> 저/<김진일> 역/<이원규> 사진/<정수일> 그림

출판사 | 현암사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