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리포트 - 도서전이 우리에게 남긴 것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 동안 열린 세계 최대의 도서전인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이 막을 내렸다. 무엇보다 한국이 주빈국으로 참여하여 더욱 그 의미가 깊었던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그 현장을 찾아간다.
2005.10.27
![]() |
What is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 |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로 이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면서, 도서전에서의 만남은 더 이상 필요 불가결한 요소가 아닌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추어, 또는 이러한 시대가 올 것을 예견하여, 도서전 조직위가 만든 것이 바로 이 도서전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주빈국 제도이다
<포토스케치 1 :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이모저모>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장(Messe Frankfurt)의 아고라 광장. 멀리 주빈국이 한국임을 알리는 현수막이 보인다.

아고라 광장 중앙에 위치한 책 조형물

박람회장에 눈에 잘 띄게 설치한 현대자동차의 홍보물. 현대자동차는 삼성 핸드폰과 함께 독일 사람에게 사랑받는 2대 아이템 중 하나다.

박람회장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포럼. 텔레비전으로 실시간 중계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의 히트 상품, 주빈국 제도
단지 출판관계업자들만의 잔치로 자리매김될 수도 있었을 도서전이 ‘문화 올림픽’으로 불릴 만큼 그 위상이 높아질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주빈국 제도 때문.
도서전 조직위는 해마다 한 나라를 선정해 주빈국으로 삼는다. 주빈국으로 선정된 나라는 도서전 전시공간 중 연면적 2,700평에 자국 문화의 진수를 전 세계에 뽐낼 수 있는 기회를 갖는 셈. 1976년부터 시작된 주빈국 제도는 라틴아메리카를 시작으로 1980년 아프리카, 1988년부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의 국가들이 참여하여 출판뿐 아니라 자국의 문화, 경제, 사회 전반을 홍보하는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역대 주빈국은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출판문화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노벨문학상 수상을 위한 초석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의 주빈국 한국 Korea Guest of Honor Presentation
<직지에서 U-Book까지>라는 슬로건이 내세워진 프랑크푸르트 메세 포룸관 2층 주빈국관. 10월 20일 오전에만 해도 사람들의 발길이 다소 뜸하던 주빈국관은 도서전 폐막일이 가까워질수록 점점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매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찾는다는 한 독일인에 의하면 이는 역대 주빈국과 비교해봤을 때 이례적인 일이라고.
주빈국관은 모두 5개의 Zone으로 구성되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책인 ‘직지’, 단 한 자라도 오?탈자가 없는 팔만 장의 대장경 등 출판의 역사를 보여주는 Zone 1, 요즘 한국의 출판 현황을 보여주는 한국의 아름다운 책 100권과 전 세계에서 출판된 한국에 관한 책 1,500여권이 전시된 Zone2, 한국에 대하여 거의 모르는 외국인에게 한국을 알리고 그들이 쉽게 다가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국의 책 100권을 전시한 Zone3. 특히 이곳은 주빈국관 전시의 중심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책의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로 전시된 것이 인상적이었다. 한국의 거석 유적을 형상화한 구조물에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된 한국의 책 100권을 유비쿼터스 텍스트의 형태로 가공하여 PDA와 노트북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 것. Zone4에서는 박경리, 고은, 최인훈 등 한국문학의 거장 12명이 시원한 전신사진과 소개글과 함께 전시된 곳. Zone 5 이벤트 홀에서는 매일 문화 포럼, 작가와의 만남 등 각종 행사가 있었다. <직지에서 U-Book까지>라는 슬로건이 시사하는 바대로 과거와 현재가 적절히 균형이 맞추어진 모습으로 꾸며진 것.
<포토스케치 2 : 주빈국관 풍경>

주빈국관 풍경. 한국의 거석 유적을 형상화한 구조물에 한국의 책 100권을 유비쿼터스 텍스트의 형태로 가공하여 PDA와 노트북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주요 컨셉이다.

조선왕조실록 등 한국 출판의 역사에 관한 전시물을 보고 있는 방문객들

한국 문학의 거장 전시물을 보고 있는 방문객

‘한국의 아름다운 책 100’

‘Books on Korea’. 전 세계에서 출판된 한국에 관한 책 1,500여권이 전시되었다.

U- book을 시연해 보고 있는 외국인. U-Book은 주빈국관에서 가장 인기가 높았다.

전시된 U- book. 오른쪽의 책을 노트북으로 볼 수 있다.

PDA로 시연되고 있는 김수영의 시 「거대한 뿌리」
| ||||
여전히 한산한 한국관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이 우리에게 남긴 것
![]() |
무엇보다 가장 아쉬었던 점은 도서전 기간 중 한국관을 찾는 외국인들이 그다지 없었던 점이다. 국내 유수 출판사 중 하나인 랜덤하우스중앙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한국관을 찾는 방문객은 예년보다는 분명 늘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부스를 지키기가 민망할 정도”라고 한다. 매우 바쁘게 각종 비즈니스 미팅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하퍼콜린스, 펭귄북스 등 여러 영미권 출판사들과 비교해 봤을 때 분명 대조가 되는 풍경이다. 이것은 도서전의 가장 큰 의미가 자국의 출판물을 외국에 소개하고, 비즈니스 기회 창출 및 책 거래에 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한국 출판이 세계 속으로 스며들어가기까지의 길이 아직 멀다는 점을 시사한다.
![]() |
어쩔 수 없이 다시 이제부터 시작이다. 19세기 서세동점 이래 “받아들이기”만 했던 문화의 흐름을 커다랗게 한번 꺾는 역사적인 역류까지는 욕심부리지 않더라도, 우리의 마음에 폴 오스터가, 괴테가, 그리고 권터 그라스가 스며들었듯이 한국의 저서들이 그네들의 마음에 스며들기 위해서는 우선은 우리 출판 산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우리 출판물의 내실이 갖추어져야 하고, 콘텐츠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것을 누가 하겠는가? 정부의 정책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책을 사랑하는, 그리고 좋은 책을 읽고자 하는 독자의 마음일 것이다.
<포토스케치 3 : 한국관과 외국 출판사 부스 풍경>

한국관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 각 출판사마다 비슷한 면적으로 부스를 만들어 전반적으로 공간의 탄력성이 약하다는 느낌이다.

미니어쳐 도시로 제작된 파주 북시티와 이를 촬영하고 있는 독일 방송관계자.

한국관 개막식에 참가한 소설가 조정래. 소설가 조정래는 도서전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언론의 관심을 받은 소설가 중 한 명이었다.

미국의 타임 워너 북그룹 부스. 미국 주요 출판사 부스는 이처럼 널찍한부스 공간을 확보하여 중앙에 미팅을 위한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하는 점이 특징이다. 출판사 로고와 함께 출판사를 대표하는 작가의 사진을 크게 배치하여 관람객들로 하여금 비주얼적인 면이 먼저 다가가게 하는 것은 이번 도서전에서 확인한 부스 디자인의 큰 트렌드이다.

영국의 펭귄 북스사 부스. 페이퍼백을 최초로 탄생시킨 이 출판사의 거대한 펭귄 로고는 그 어떤 출판사의 로고보다 크고 눈에 잘 띄었다. 그네들의 자사 브랜드에 대한 자긍심이 얼마나 높은지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각종 미팅으로 분주한 미국의 한 출판사 부스. 영미국가권의 출판사 부스는 대부분 이렇게 비즈니스 미팅으로 꽉 채워져 있었다.

딕 브루너 출판사의 대표 캐릭터 미피. 태어난지 올해로 50년이 된다.

Macmillan Children's Books 의 대표 캐릭터 snow bear. 우리나라에도 이런 세계적인 캐릭터가 나오길 바란다.
8개의 댓글
추천 기사
필자
김정희
독서교육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요즘 독서 생활 탐구] 프란츠 김동연, 관객과 독자의 경계를 허물며](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1/20251105-06187e87.jpg)
![[취미 발견 프로젝트] 집 사랑꾼을 위한 여름 바캉스](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7/20250729-c9b8f183.jpg)

![[예스24 큐레이션] 책을 담아내는 그릇, 판형](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6/20250627-d60538f2.jpg)
![[Read with me] 더보이즈 주연 “성장하고 싶을 때 책을 읽어요”](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4/12/20241219-0fe5295b.jpg)
앙ㅋ
2012.03.21
채널예스
2005.11.07
yucca99
2005.11.04
'우리의 마음에 폴 오스터가, 괴테가, 그리고 권터 그라스가 스며들었듯이'라고 쓰셨는데요. 제가 잘 몰라서 묻습니다. 폴 오스터도 독일인인가요? 미국인 아니던가요? 이상한 질문 올려서 죄송^^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