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관의 나이에 발표한 데뷔 앨범 의 초기 성적은 부진했으나 2년 후인 1997년 밥 딜런 콘서트의 오프닝 무대를 장식하며 형세를 뒤집었다. 숨 가쁘게 역주행한 앨범은 미국에서만 1,100만 장 이상 팔렸고 'Who will save your soul', 'You were meant for me', 'Foolish games' 세 곡의 싱글이 탑 20에 안착했다. 포크 록을 시작으로 컨트리와 키즈팝, 일레트로 팝을 경유한 미국 싱어송라이터 쥬얼은 7년 만의 새 앨범 에서 그간의 자양분으로 미국의 음악 정신과 전통을 혼합한 아메리카나(Americana)를 시도했다.
컨트리와 포크 풍의 전작 이후 7년간 충전한 음악적 에너지를 고스란히 반영했다. 삶의 좌절과 희망에 관한 진솔한 고백은 개인의 서사를 공감대로 확장했고 쥬얼은 에이브릴 라빈과 폴 아웃 보이의 앨범을 제작했던 프로듀서 부치 워커와 공동 프로듀서를 맡아 다채로운 스타일을 아울렀다.
청소년 노숙자에 관한 다큐멘터리 에서 영감받아 작곡한 'No more tears'는 조지 해리슨의 'All things must pass'처럼 '이 또한 다 지나가리라'라고 위로를 건네며 미국 록밴드 후티 앤 더 블로피시의 보컬이었던 다리우스 러커와 하모니를 이룬다. 가사 전체에 'Half'(반)이라는 단어를 심은 'Half life'는 컨트리와 가스펠을 섞은 가창으로 삶의 반환점을 노래한다.
미국이 백인 만의 것이 아니듯 아메리카나는 흑인 뿌리의 소울과 블루스를 포괄한다. 이미지 고착화를 지양했던 쥬얼은 신보에서 영국의 소울 가수 더스티 스프링필드나 전설적인 재즈 싱어 사라 본, 엘라 피츠제럴드의 영향력을 드러냈고 보컬 이펙트와 펑키(Funky) 그루브가 복고적인 'Alibis'와 브라스 사운드가 돋보이는 'Living with your memory'에서 흑의 아메리카나를 소환했다.
'You were meant for me'를 불렀던 목소리는 세월의 더께가 쌓여 성숙해졌고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서사가 'Foolish games'의 풋풋함과는 또 다른 독립적 여성을 노래했다. 29년 차 베테랑 뮤지션의 품격과 중년 여성의 여유가 두루 묻어 나오는 앨범이다.
Jewel - Freewheelin' Woman (CD)
Jewel
추천기사
폭시스, 완전한 팝스타로 돌아오다 | YES24 채널예스
본연의 내향적인 면모를 잠시 감춰둔 채 완전한 '팝스타'의 자세로 담대하게 나선 모습이다. (2022.05.04)
사바, 꺼지지 않은 시카고 힙합의 불씨 | YES24 채널예스
시류의 편승을 거부하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는 사바의 자세는 꺼지지 않은 시카고 힙합의 불씨를 증명한다. (2022.05.04)
카밀라 카베요, 음악적 뿌리를 찾아가는 여정 | YES24 채널예스
국제적 성공을 거둔 스물다섯의 팝스타는 새 앨범 를 통해 라틴 뮤직의 정통성을 모색했다. (2022.04.27)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