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원을 하고 퇴직한 선배 이야기다. 몇 년 전 선배는 아주 심각한 얼굴로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 가슴이 답답하다며 이야기를 꺼냈다. 그의 이야기는 이렇다. 은퇴가 다가오자 선배는 아내에게 갑자기 미안해졌다. 30여 년 동안 오로지 회사 일만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어떻게 컸는지 기억조차 없다. 그 아이들이 이제 대학도 졸업하고, 번듯한 직장을 다니며 제 몫은 너끈히 하고 살고 있는 것은 전적으로 아내 덕분이다. 선배는 은퇴하면 아내에 대한 고마움을 어떻게든 갚으리라 생각했다.
드디어 은퇴했다. 많이 서운했지만 직장인으로서는 매우 모범적인 삶이었다는 자부심이 있었다. 후배들도 그를 존경했다. 이제 아내에게만 잘하면 된다. 은퇴하자마자, 선배는 아내와 크루즈 여행을 떠났다. 유럽에서 출발하는 크루즈를 타야 폼 난다는 친구들의 경험담을 듣고, 덴마크의 어느 항구로 날아가 배를 탔다. 신혼여행 이후로 처음인 아내와의 여행은 너무나 즐거웠다.
아내와의 골프도 즐겼다. 아무리 쳐도 늘지 않는 아내의 골프실력이지만, 뒤에서 죽어라 ‘나이샷’을 외쳤다. 일요일이면 아내와 팔 짱끼고 교회도 갔다. 내내 꼬박꼬박 졸기는 했지만, 옆의 남편을 사방에 자랑하는 아내의 표정을 보며 꾹 참고 견뎠다. 백화점에서는 화장실에 간 아내의 가방을 들고 기다리기도 했다. 비슷한 자세로 기다리는 남자들과 웃으며 눈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이런 쪽팔림이야말로 진짜 행복 아니겠어?’라는 이심전심이었다. 그런데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아침이었다. 아침 식사를 마치고 아내가 쭈뼛거리며 어렵게 이야기를 꺼냈다.
“이제 좀 나가 놀 수 없어?”
어느 은퇴자의 슬픈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갑자기 너무 오래 살게 되었기 때문이다. 수십 년 전만 하더라도 은퇴하면 바로 죽었다. 은퇴한 남편과 아내가 부대끼며 사는 이런 종류의 이야기는 그저 행복에 겨운 투정이었을 따름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아니다. 은퇴한 후에도 30년은 기본이다. 이제 ‘새로운 빙하기가 닥치거나 우주인의 침공이 없다면’ 누구나 100세까지 살 수 있게 되었다. 20, 30대에 결혼한 아내, 남편과 100살까지 살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부부가 50년만 함께 살아도 기적 같은 일이라며 ‘금혼식’으로 축하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 한 남자, 한 여자와 최소 70년은 살아야 한다. 도대체 이게 가능하기는 한 걸까?
오늘날의 ‘일부일처제’는 평균수명이 채 50세도 안 되던 시대의 유물이다. 평균수명 50세 시대에 만들어진 ‘가치’ ‘윤리’ ‘도덕’이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 시대에도 아무 문제없이 유지될 수 있으리라는 이 근거 희박한 믿음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최소한의 ‘연금’만 확보되면 은퇴 후의 삶은 아무 걱정 없을 것이라는 이 황당한 신념은 도대체 누가 퍼뜨린 것일까? 그렇다고 일부일처제를 깰 수는 없는 일이다. 인류가 발명해낸 가장 합리적인 제도인 일부일처제의 대안은 결코 없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라. 돈 많은 부자나 장동건, 김태희 같은 이가 여자, 혹은 남자를 죄다 차지해도 되는 세상을 당신은 받아들일 수 있는가? 그런 의미에서 비와 김태희의 결혼은 진정 축하해 줄만 한 일이다. 아무리 잘나도 고작 하나씩만 차지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졸혼(卒婚)’은 100세 시대에 일부일처제가 유지될 수 있는 몇 개 안 되는 대안 중 하나다. ‘부부 관계’를 유지하며, 각자의 삶을 살아보자는 이야기다. 그룹 활동을 하면서도 수시로 솔로 활동을 하는 요즘의 ‘아이돌’처럼, 부부 관계도 함께 할 수 있는 것은 함께 하고, 추구하고 싶은 삶의 내용은 각자 자유롭게 추구하자는 ‘따로 또 같이’의 철학이다.
『졸혼 시대 - 낡은 결혼을 졸업할 시간』의 저자 스기야마 유미코는 ‘졸혼’의 가능성을 아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졸혼’ 개념을 처음 만들어낸 작가답게 서로를 구속하지 않는 ‘열린 부부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한다. 글도 참 잘 쓴다. 그저 남의 사례를 객관적으로(즉, 지루하게) 나열하지 않는다. 작가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과 고민으로 다른 부부의 관계를 관찰한다. 그래서 재미있다. 그래서 더 생각하며 읽게 된다.
젊은 남자들부터 읽어야 한다. 다 늙어서 고민해봐야 답이 전혀 안 나오기 때문이다. ‘졸혼’은 추구하는 삶의 콘텐츠가 있어야 가능한 방식이다. 평생 추구할 수 있는 삶의 내용이 없다면 ‘졸혼’은 늙은 남자에게 아주 치명적이다. 젊은 여자들도 꼭 읽어야 한다. 아이들 교육, 남편의 승진은 아주 잠시의 고민이기 때문이다. 이 바쁜 시기가 지나면 아주 오랫동안 한가하고, 여유로운 시간이 온다. 내 삶의 내용은 오래 생각하고, 미리미리 준비해야 가능하다. 추구하는 삶의 내용이 있는 여인은 아무리 늙어도 아름다운 법이다. 아, 은퇴 후 ‘젖은 낙엽’처럼 딱 붙어 떨어지지 않는 남편을 피하려면 남편과 아무 관계없는 자신만의 삶이 있다는 것을 미리부터 경고해야 하는 까닭도 있다.
착각하지 말자. ‘졸혼’은 중년부부의 권태로운 삶에 대한 한가로운 이야기가 절대 아니다. ‘평생 추구하는 삶의 가치가 있는가’ ‘가족이나 직장으로부터 자유로운 내 삶의 콘텐츠가 있는가’에 관한 질문이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의 행복과 만족은 결코 거저 주어지는 게 아니다.
아무튼, 오랜만에 흥미로운 일본 책을 만났다.
-
졸혼 시대스기야마 유미코 저/장은주 역 | 더퀘스트(길벗)
저자는 자신이 겪은 중년의 위기와 졸혼으로 그 위기를 이겨낸 과정, 이를 계기로 다른 부부들의 졸혼 사례를 취재한 에피소드를 꾸밈없이 공개한다. 가식이 없는 글에는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결혼 생활의 고민이 담담하게 나타나 있다.
김정운 (문화심리학자)
문화심리학자이자 '나름 화가'.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에디톨로지> <남자의 물건>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집필했다. 현재 전남 여수에서 저작 활동에 몰두하고 있다.
lyj314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