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의 시대, 마음의 주인에게 되묻다 : <밀정>
서로의 표정을 숨기고 서로를 속이는 그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마주하고 선 두 사람 모두 혼란의 시대 속에서 각자의 생존법을 터득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사실이다.
글ㆍ사진 최재훈
2016.09.20
작게
크게

1.jpg

 

되묻게 된다. 혼돈의 시절, 폭압의 시절에 나는 정의를 위해 나를 희생할 수 있었을까? 배경은 일제 강점기이지만 김지운 감독이 던지는 질문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나는 한 사람이지만, 때론 나 자신도 알 수 없는 나의 마음은 여러 갈래로 나눠어 있다. 그 감정이 만들어내는 갈등과 선택의 복잡한 지형도가 영화 <밀정>의 중심 이야기다.


영화는 ‘황옥’이라는 실존 인물을 두고 ‘이정출’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가정하고 묻는다. 혼돈의 시절에 친일파로 지내는 것이 정말 괜찮았는지, 양심의 무게는 얼마나 무거운지, 그리고 그 신념을 위해 나를 희생할 수 있는지를 끊임없이 반추한다. 그 반추가 복선을 만들고, 반전을 만들고, <밀정>을 보다 다채롭고 밀도 있는 영화로 만든다. 대체 그 속을 알 수 없어 보이는 정출의 갈등은 송강호라는 배우를 통해 시시각각 그 얼굴을 달리한다.


영화의 시작부터 일본군의 앞잡이로 등장하는 이정출은 그 속을 도무지 알 수 없는 인물로 그려진다. 독립군 김장옥(박희순)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이정출은 장옥을 죽이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들은 한때 친구였으며, 시대적 비극에 휩싸이지 않았다면 적처럼 만나지 않았을 것이다. 정출의 갈등은 계속 이어진다. 일본군이면서 독립군을 도와주는, 이해되지 않는 행동들이 이어진다.


그렇다고 그가 독립군을 위해 애초 ‘밀정자’ 역할을 했던 것도 아니다. 친일파로 지내다 독립운동에 가담한 사람은 역사적으로 유래를 찾을 수가 없다. <밀정>의 모티브가 된 ‘황옥’이라는 인물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그가 독립군이었는지, 일본군이었는지, 아니면 어쩌다 그사이에 애매하게 걸쳐있는지 아직 역사와 시간은 검증되지 않았다. 하지만 김지운 감독은 그랬으면 좋겠다는 가정으로, 어쩌면 우리 시대의 양심이 만들어낸 갈등의 승리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판타지를 만들어 낸다.

 

6.jpg


일본군 이정출은 애초에 의열단의 독립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의열단에 침투해 정보를 빼 오라는 특명을 받고 의열단 우두머리 김우진(공유)을 만난다. 그들은 서로의 존재를 알지만, 호형호제하면서 친근한 체한다. 그때부터는 서로의 감정의 깊이가 어디까지 진심인지 알 수 없는 심리전이다. 서로의 표정을 숨기고 서로를 속이는 그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마주하고 선 두 사람 모두 혼란의 시대 속에서 각자의 생존법을 터득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사실이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의열단장 정채산(이병헌)이 등장한 이후부터 시작된다. 호방한 태도로 이정출을 의열단에 끼어들게 하는 것이다. 이때부터 아슬아슬한 이중첩자의 모습을 한 이정출의 모습은 극적 긴장감까지 만들어 내며 마지막 순간까지 멈추지 않고 달린다. 우진이 그를 의심하듯, 관객들도 그를 끝내 의심하면서 극적 긴장감은 고조된다. 


<놈놈놈>에서 웨스턴을 선보였던 김지운 감독은 <밀정>이라는 다소 무거운 영화 안에서도 스타일리시한 장면들을 만들어낸다. 경성을 배경으로 만들어낸 이국적인 풍광과 함께 몇몇 장면의 시각적 쾌감은 역시! 라는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이정출이 만들어내는 긴장감 속에 아슬아슬한 코미디가 섞여 극의 무게를 한 번씩 털어주면서 2시간 20분이라는 긴 러닝 타임을 잘 끌고 나간다. 복선과 반전의 틈새에 조금도 허투루 쓴 장면이 없다.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중 <밀정>은 한국적 시대극이라기보다는 속고 속이는 2중 간첩, 즉 서구의 스파이영화의 전통을 떠오르게 만든다. 그동안 가족극을 표방한 호러 코미디, 한국적 정서를 담은 슬픈 호러, 누아르, 서부극, 하드코어 등 다양한 장르를 순회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연출세계를 구축해 온 김지운 감독의 8번째 장편 영화가 스파이라는 사실은 호기심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밀정>은 그의 필모그래피에서 다소 다른 지점에 놓여 있다. 그동안 유려한 미장센을 앞세웠던 전작들과 달리 <밀정> 속 이미지는 인물의 심리와 이야기의 뒤로 살짝 밀려나 있다. 누가 적군인지 아군인지 알 수 없는 사이에, 서로를 의심하는 사이 누구라도 이중간첩이 될 수 있는 어수선한 시대의 얼굴을 먼저 들여다보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가 훑어가는 배우들의 표정에 집중하게 된다.

 
일제 강점기 시대의 경성과 식민 아시아의 돌파구 상해를 오가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도 치밀하게 잘 맞물려 돌아간다. 이정출이 또 다른 스파이에 의해 함정에 빠지는 순간, 배신과 의심이 펼쳐지는 극의 후반부에 <밀정>이 말하고 싶은 이야기가 촘촘하게 박힌다.

 

3.jpg


김지운 감독은 그 순간, 의열단과 일본 경찰의 사이에 선 이정출의 얼굴을 더욱 찬찬히 들여다본다. 정출은 철저히 일본군이 되어 조국을 팔아먹는 극한의 친일파 하시모토(엄태구)와도 멀리 있고, 목숨을 내놓고 독립운동을 펼치는 의열단과도 거리가 있는 사람이다. 어쩌면 그의 갈등과 선택은 시대 속, 자신의 목숨을 보전하기 위한 선택이었을 것이다. 그러니 그 신념 자체가 온전하고 바를 리 없다. 그럼에도 정출의 얼굴에 가장 많이 비치는 것은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자국민을 보호하고, 그 뜻을 함께하겠다는 의지라는 사실이 끝내 <밀정>을 이끌어 간다.


<밀정>에는 다양한 사람들의 얼굴이 등장한다. 공유, 한지민, 신성록, 이병헌과 쇳소리 나는 목소리로 악랄한 친일 군인 역할을 소화해낸 엄태구 중 지금의 나와 가장 가까운 얼굴은 누구인지 한번 보자. 송강호가 아니었다면, 절대 표현해내지 못했을 다양한 갈등의 표정은 <밀정>을 끝까지 믿고 보게 만드는 영화의 핵심이다. 이정출의 선택은 밝힐 수 없지만, 관객들은 수많은 표정 중 가장 마음에 드는 표정을 발견할 것이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밀정 #이중간첩 #이정출 #독립군
2의 댓글
User Avatar

cinechoe

2016.09.28

이정출의 어정쩡한 태도에 그런 의미가 있을 수도 있겠네요. 늘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민재씨

2016.09.21

밀정에 대한 평이 좋아서 어떤 영화일까 궁금했는데 이렇게 기사를 통해 심오한 속내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네요!
답글
0
0
Writer Avatar

최재훈

늘 여행이 끝난 후 길이 시작되는 것 같다. 새롭게 시작된 길에서 또 다른 가능성을 보느라, 아주 멀리 돌아왔고 그 여행의 끝에선 또 다른 길을 발견한다. 그래서 영화, 음악, 공연, 문화예술계를 얼쩡거리는 자칭 culture bohemian.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졸업 후 씨네서울 기자, 국립오페라단 공연기획팀장을 거쳐 현재는 서울문화재단에서 활동 중이다.